•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Bicycle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31초

탄소 저감 및 건강 정보를 위한 U-health Bike 웹 서비스 (U-health Bike Web Services for Reducing Carbon and Health Information)

  • 김창진;김우완;장상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2호
    • /
    • pp.249-256
    • /
    • 2013
  • 오늘날 화석연료의 과다사용으로 인한 지구온난화의 문제가 전 세계적으로 화두 되면서 우리 정부와 선진국들은 환경 친화적이며 건강을 증진시키는 교통수단으로 자전거 이용을 활성화시키고 있다. 기존 공영자전거 시스템들은 위치추적, 자전거 대여 관리와 같은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탄소저감 측정이나 자전거 사용 정보와 같은 이용자 측면의 서비스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녹색성장의 원동력이 되는 교통수단인 자전거로부터 수신한 센싱 데이터를 가공하여 사용자들의 건강정보, 환경정보, 녹색정보, 개인정보, 상담 서비스와 탄소저감량 정보를 제공한다. Web 2.0 기술을 접목하여 구현함으로써 자전거의 사용자 측면에서 참여와 공유의 개념을 확대한 저탄소 녹색성장 실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공유 모빌리티 따릉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평가 및 개선 방안 제안 (Usability Testing and Improvement of Mobile Application of Shared Mobility Ttareungi)

  • 이성현;문새연;오시연;홍진아;정영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2호
    • /
    • pp.377-388
    • /
    • 2021
  • 세계적으로 공유경제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최근 국내에도 다양한 공유 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있다. 국내 공유 모빌리티 산업을 대표하는 서비스 중 하나인 서울시 무인 공공자전거 대여 서비스 '따릉이'는 높은 인지도와 이용률에 비해 따릉이 대여에 필수 매개체인 따릉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사용성은 개선되지 않아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한다. 본 연구는 따릉이 주 이용자인 20~30대를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 (Usability testing)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따릉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 갖는 문제점을 파악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따릉이와 같이 공공성을 갖는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의 디자인 고려사항을 제안하였다. 이는 공유 모빌리티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지역 교통수단별 이동시간과 호흡량을 고려한 미세먼지 흡입량 추정에 관한 연구 (Estimation of PM10 and PM2.5 inhalation dose by travel time and respiratory volume in common transport microenvironments in Seoul, Korea)

  • 이용일;정원석;황도연;김태성;박덕신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97-105
    • /
    • 2018
  • Recently, people's interest in particulate matter (PM) has been increasing, due to its hazardous health eff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centrations and as well as the inhaled weight of PM, correlated with person's heart rate in subway, bus, vehicle and bicycle in the major public transportation (Sadang - Jamsil and Nowon - Dongdaemun) in Seoul. The concentration of $PM_{10}$ and $PM_{2.5}$ were measured from each of transportation means and calculated the average concentrations which were 87.2 and $57.8{\mu}g/m^3$ for subway, 62.8 and $42.5{\mu}g/m^3$ for vehicle, 61.5 and $36.8{\mu}g/m^3$ for bus and 53.0 and $29.4{\mu}g/m^3$ for bicycle in $PM_{10}$ and $PM_{2.5}$ respectively. Inhalation dose for $PM_{10}$ and $PM_{2.5}$ were estimated at 248.1 and $139.4{\mu}g$ for bicycle, 56.7 and $39.3{\mu}g$ for vehicle, 49.4 and $29.9{\mu}g$ for bus and 44.3 and $29.1{\mu}g$ for subway, respectively. Even though subway had the highest concentration, the highest inhalation dose was the bicycle. It was due to the long travel time-exposure and breathing rate which leads to maximum of $PM_{10}$ 5.6 and $PM_{2.5}$ with 4.8 times inhalation dose comparing with other modes of transportation. With regards to future studies, the amount of inhalation in each transportation means should be considered in risk assessments of PM.

SARIMAX 모형을 이용한 공공자전거 수요추정과 평가: 서울시의 COVID-19 영향을 중심으로 (Estimation of Shared Bicycle Demand Using the SARIMAX Model: Focusing on the COVID-19 Impact of Seoul)

  • 홍정열;한은룡;최창호;이민서;박동주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10-21
    • /
    • 2021
  • COVID-19 발병으로 세계는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으며, 각 국에서는 전염병 확산을 감소시키고 안전한 통행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사회적 거리두기가 가능한 공공자전거 활성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COVID-19 시대에서 공공자전거의 공급정책, 전염병의 확산 등의 외생요인들이 공공자전거 이용수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이를 반영한 장래수요예측 방법론을 제시하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기존 시계열 모형이 가지고 있는 외생요인 미반영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SARIMAX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본 분석을 통하여 외생변수인 COVID-19 발병률과 공공자전거 공급량이 공공자전거 이용수요와 양(+)의 관계에 있다는 것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2022년까지 4만5천대의 공공자전거가 공급되고, COVID-19의 발병률이 현재 수준으로 지속될 경우, 서울시 공공자전거는 2021년 연간 약 3천2백만 대, 2024년에 약 4천6백만 대의 이용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자전거 수단분담률 추정모형 구축 및 자전거 수요요인분석 (A Bike Mode Share Estimation Model and Analysis of the Bike Demand Factor Effects)

  • 이규진;최기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45-155
    • /
    • 2010
  • 녹색교통으로서 자전거 이용활성화가 사회적으로 큰 조명을 받고 있으나 효과적인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자전거 이용특성에 대한 구체적이고 치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는 1995년 이래 2007년까지 자전거도로를 9,170km나 정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동기간동안 자전거 수단분담률이 오히려 감소(국토해양부, 2009)한 점을 통해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2006년 조사된 '수도권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303,308개)를 이용하여 통행 주체별 자전거 수단분담률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원 수강목적과 오피스텔 거주자의 자전거 수단분담률이 각각 3.75%, 3.13%로 통행 주체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한 서울시의 자전거 수단분담률 추정모형을 구축하였다. 동시에 로지스틱 회귀계수에 대한 승산비(odds ratio)의 산출을 통해 자전거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과 영향 정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단거리 통행, 학원가와 공원, 오피스텔 주택가 중심의 자전거 이용활성화가 효과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공공자전거 경제적 효과 분석 - 고양시 및 창원시를 대상으로 - (Economic Effect Analysis for Bike-Sharing in KOREA - Focus on Goyang and Changwon City -)

  • 김동준;정성엽;한상용;신희철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63-73
    • /
    • 2014
  • PURPOS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conomic effect of bike-sharing after its introduction in Korea. METHODS : This study reviews current bike-sharing situations in Korea and other nations. We conduct surveys on bike-sharing system's bike usage patterns and economic benefits in Changwon and Goyang cities where public bikes are the most popular in the nation. Economic benefits are itemized after reviewing relevant previous studies. Then, the survey is implemented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Then estimated benefit is compared to the cost which is necessary for bike-sharing introduction and operation. RESULTS : Using the average WTP per household, the total economic benefit of bike-sharing is estimated as much as 1.75 billion KRW to 3.75 billion KRW in Goyang and Changwon city. Using estimated benefit, economic effect of bike-sharing are calculated as 0.69 and 1.00, respectively. CONCLUSIONS :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bike-sharing could be useful economic policy in Korea. However, economic effect of bike-sharing differs by city.

A Study on Predicting the demand for Public Shared Bikes using linear Regression

  • HAN, Dong Hun;JUNG, Sang Woo
    • 한국인공지능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7-32
    • /
    • 2022
  • As the need for eco-friendly transportation increases due to the deepening climate crisis, many local governments in Korea are introducing shared bicycles. Due to anxiety about public transportation after COVID-19, bicycles have firmly established themselves as the axis of daily transportation. The use of shared bicycles is spread, and the demand for bicycles is increasing by rental offices, but there are operational and management difficulties because the demand is managed under a limited budget. And unfortunately, user behavior results in a spatial imbalance of the bike inventory over time. So, in order to easily operate the maintenance of shared bicycles in Seoul, bicycles should be prepared in large quantities at a time of high demand and withdrawn at a low time. Therefore, in this study, by using machine learning, the linear regression algorithm and MS Azure ML are used to predict and analyze when demand is hig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demand for bicycles in 2018 is on the rise compared to 2017, and the demand is lower in winter than in spring, summer, and fall. It can be judged that this linear regression-based prediction can reduce maintenance and management costs in a shared society and increase user convenience. In a further study, we will focus on shared bike routes by using GPS tracking systems. Through the data found, the route used by most people will be analyzed to derive the optimal route when installing a bicycle-only road.

결합재 페이스트 충전에 다른 포러스콘크리트의 물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Basis Properties Matter of Porous Concrete According to Filling Binder Paste)

  • 윤상혁;김영진;박희곤;정근호;이영도;정상진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33-338
    • /
    • 2003
  • Although porous concrete is resently used as a pavement at a parking lot, a public squre and a bicycle road, we use without enough examining. most the maintenance of quality for porous concrete is only dealt with strength and color tone. also, there is not yet enough fundamental data about dynamical properties for strength, rate of void and water permeability. even when it is applied to at the scene, it is been a matter. Accodingly in this study analyzed influences through the dynamical properties, combination, and time to vibration. After the analyzation, they investigated peculiar dynamics which are strength of porous concrete, rate of void, and water permeability follow the rate of increase on an admixture making pozzolan reaction. This is purpose to improve capacity of the sidewalk permeable concrete and development of the economical technique for pavement.

  • PDF

빅 데이터 가시화 기술을 적용한 공공데이터 콘텐츠 구현 - Map가시화 기법 (Implementation of public data contents using Big data Visualization technology - Map visualization technique)

  • 박선희;김정호;유현배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1427-1434
    • /
    • 2017
  • 4차 산업화의 가속화로 인하여 우리 주변의 데이터가 급속도로 증가하였다. 이에,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 이상으로 데이터 분석을 통해 얻어진 데이터의 성질과 의미를 보다 손쉽게 파악하고 데이터의 가치판단에 유연하게 적용 할 수 있어야 한다. 가시화 표현기술은 현재 많은 분야에서 관심을 받고 있다. 가시화는 데이터 분석 결과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그래프, 차트 등으로 사용자가 보다 쉽게 데이터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어, 즉각적인 판단이 가능하게 하여 빠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그중에서도 사용자들의 활용 가치가 높은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가시화에 대한 관심도가 높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가시화를 표현 할 수 있는 다양한 소프트웨어들 중에서 R 라이브러리와 R Studio를 활용하여 전국 자전거 보관소 설치 장소의 공공데이터를 가시화 하는 콘텐츠를 구현하였다.

공공자전거 임대내역 데이터를 활용한 마이크로 모빌리티 패턴분석 연구 (A Study on Micro-Mobility Pattern Analysis using Public Bicycle Rental History Data)

  • 조재희;백가은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3-95
    • /
    • 2021
  • In this study, various usage patterns were analyzed after establishing a data mart for micro mobility analysis based on the rental history of public bicycles in Seoul. Rental history data is origin-destination data that includes the rental location and time, and the return location and time. About 1500 rental location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cation to create a 'station type' dimension. We also created a 'path type' dimension that displays whether the rental location and return location are the same. In addition, a derived variable called speed, which is obtained by dividing the distance used by the time used, is added, and through th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iding area and the reason for the rental can be estimated. Meanwhile, administrative district link, administrative neighborhood link, and station type link were created to apply network analysis. Through this analysis, the roles and proportions of administrative districts, public facilities, and private facilities engaged in micro-mobility services were visualized. 49.9% of rentals occur at rental offices near transportation facilities, and half of them occur at rental offices near subway stations. The number of rentals during the evening rush hour is more than double that of the morning rush hour. When the path type is unidirectional, there is a fixed destination, so the distance and time used are short, and the movement speed tends to be high. In the case of round-trip, the purpose of use is exercise or leisure, so the distance and time used are long, and the movement speed is slow.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an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s for selecting new rental locations, providing convenient services for users, and developing user-specialized produ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