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Advertisement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35초

한국의 가치문화 교육을 위한 광고 자료 선정 (The Study of Selecting Advertisement Materials for Korean Value System Education)

  • 정미경
    • 한국어교육
    • /
    • 제28권4호
    • /
    • pp.221-244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educational contents and criteria for selecting advertisement materials by exploring the necessity of value system education in Korean culture education. Furthermore, the study aims to suggest advertisements that contain meaningful materials through the criteria among the public and commercial advertisements as of 2017. Advertisements have advantages in three aspects as they focus on current culture, cultural implications and the ease of teaching and learning. These advantages indicate the usefulness of advertisements in value education. Also, the research of Hofstede (2010), Kang (2007), and Kim et al. (2011) provide discussion regarding educational contents. Subsequently, the criteria for selecting advertisements are further developed a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The criterion are to consider the objectives of culture education, to take into account the learning situation, to find relevance between the contents of the advertisement and the contents for the value system education, and consider expressive methods of advertisements and extensibility to the activities. Next, advertisements were selected for core educational items and the list of 22 is presented according to the value system, educational contents and the criterion of the advertisements discussed in the above.

시각인터페이스적용효과 및 공간표현을 활용한 증강현실광고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Augmented Reality Advertisement using Visual Interface Effect and Spatial Expression)

  • 진주오;장청건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626-637
    • /
    • 2019
  •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computer and digital technologies, those technologies were used in advertising.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marketing, a virtual space or character using 3D graphic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advertisement.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augmented reality in terms of interface design and spatial expression of augmented reality through case study. Firstly, we wante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the augmented reality advertisement and interface effects. Secondly, we wanted to find the spatial expression methods. The sample survey case studies based on 42 articles from 2012 to 2018 using Chinese and Korean site sharing augmented reality advertisement. The results of the case studies were divided into two parts. Fir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augmented reality types and interface effects were found basing on the augmented reality index. It means that the augmented reality index can be illustrated by using the augmented reality type. Simultaneously, the augmented reality type can be illustrated using the interface effect. The second part was that the types of display were used as a spatial representation. And the results showed that mobile display and public place display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지방자치단체 TV광고의 크리에이티브 비교분석 (An Analysis and Comparison on Creative of Local Government's TV Commercial)

  • 백재훈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121-132
    • /
    • 2007
  • 디지털과 정보통신을 기반으로 한 사회 환경 변화는 동시대의 정보와 문화를 자유롭게 교환하고 소비함으로 인해 지역 간의 문화의 격차를 점차 해소하고 있다. 특히 1995년 지방자치단체가 출범한 후 각지방은 중앙정부 의존 방식에서 벗어나 지역의 자원과 인력, 문화를 가지고 지역을 개발하여 자립하려는 지역 간의 무한 경쟁체제에 처해있다. 이러한 경쟁체제하에 지자체는 각각의 문화와 지역성을 내세워 다른 지역과 차별하기 위한 개발전략과 더불어 다양한 이벤트와 홍보활동을 통해 지역의 브랜드화를 추구하고 있다. 지역 간의 브랜드화와 지역의 자생적 경쟁 구도하에 광고환경도 급 변화하고 있으며 이는 광고에 있어 크리에이티브의 변화를 의미한다. 광고의 크리에이티브와 완성도는 신뢰와 호감을 유도함으로 인해 광고의 설득적 기능을 효과적으로 행하게 하는 주요한 요인이 된다. 이러한 요구에 의해 먼저 정부광고가 빠른 속도로 변화하였고 지자체광고의 변화도 이미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의 시기에 TV광고 현황을 비교분석 하여 효과적인 지자체 TV광고의 크리에이티브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Xibo4u: 개인맞춤형 광고를 지원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Xibo4u: Digital Signage for Personalized Advertisement)

  • 이우건;김남일;윤은민;진재환;이명준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359-1367
    • /
    • 2015
  • 디지털 사이니지는 상업공간이나 공공장소에서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된 디지털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각종 정보 및 광고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 맞춤형 광고를 지원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소프트웨어 솔루션인 Xibo4u의 개발에 대하여 기술한다. Xibo4u는 광고 콘텐츠 및 광고 카테고리를 관리하는 Xibo4u 서버와 개인 관심분야 정보를 기반으로 고객에게 광고를 보여주는 광고 디스플레이 장치, 고객이 관심분야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스마트폰 앱으로 구성되며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인 Xibo를 확장하여 개발되었다.

스토리텔링 TV광고의 특성과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Storytelling Advertising)

  • 신일기;최윤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0호
    • /
    • pp.541-55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스토리텔링광고의 실제적인 광고효과과정을 총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스토리텔링광고는 소비자들의 광고효과 인식에 과정에서 감정적 반응이 공감과 몰입 태도간의 강한 연합관계를 갖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광고에 대한 보다 체계적이고 강력한 태도를 유인할 수 있는 측면으로 해석 할 수 있다. 특히 기존 연구에서 논의된 광고에 의해 생성된 감정이 수용자의 광고에 대한 태도와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준다는 주장이 다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특징적인 광고전략이 있음을 보여줌으로서 광고전략과 광고 형태에 대한 관계를 제시할 수 있으며, 광고 유형에 따라 수용자의 반응 유발을 위한 고려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대공간구조물의 Interactive Media 적용 사례 분석 (A Case Study on Using Interactive Media of Large Space Structure)

  • 김식;윤성원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71-78
    • /
    • 2011
  •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적용사례를 보면 공공공간의 경우 내 외부의 소규모 공간에 관객과 작품이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으며, 일반건축물은 외벽이나 벽면에 LED 프로젝터 등을 설치하여 정보전달과 광고를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일반건축물과 공공공간의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적용과는 다르게, 대공간 구조물의 지붕에 인터랙티브 미디어를 적용한 연구에 관한 사례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 논문은 기존 일반건축물과 공공공간건물의 인터랙트 미디어를 적용한 사례를 11개의 대공간 구조물 사례 결과와 비교하여 콘텐츠,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기술장치 등 4 가지 항목으로 분석하였다. 대공간구조물은 (39%) 컨텐츠를 대부분 활용하여 인터랙티브 미디어를 전달하고 있으며, 차츰 놀이(27%), 광고(17%), 메시지(17%)의 순서로 다양하게 전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회적 책임 활동 주제와 광고모델 및 메시지 소구방식에 따른 CSR광고 제작전략 (CSR Ad Strategy Based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me, Model and Message Appeal)

  • 유승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호
    • /
    • pp.159-168
    • /
    • 2019
  • 본 연구는 사회적 책임활동 광고를 효율적으로 집행하기 위해 광고모델 선정 전략을 중심으로 사회적 책임활동광고 제작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자료분석은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 책임활동 주제와 관계없이 모델의 가치부합성 요인이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경제 분야의 경우에는 모델의 신뢰성이 중요하며, 반면 환경 분야에서는 모델의 매력성이 더욱 중요하였다. 둘째, CSR 광고 제작자들이 CSR 광고모델을 연예인을 선정할 때는 가치부합성이 높은 모델을 선정하는 것이 효과적인 반면, 전문가일 경우에는 가치부합성 뿐만 아니라 매력성과 신뢰성이 높은 모델을 선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셋째, 감성적 메시지를 활용하여 CSR광고를 제작할 때 광고모델의 가치부합성과 신뢰성을 중요하게 고려해야한다. 반면, 정보적 메시지를 활용하여 CSR광고를 제작할 때 광고모델의 가치부합성과 매력성을 중요하게 고려하여 모델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사회적 책임광고를 제작할 때 사회적 책임활동 주제와 광고모델의 이미지가 관련성이 높은 모델을 선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현대 공간 디자인의 매체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dia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Interior Design)

  • 신홍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30-37
    • /
    • 2007
  • According to the passage of an age, a method which communicates each other between the city and space, and space and a human has changed. Recently, as the city is developing related with the public, the sphere and a territory of activity of a public has been wider in an environment of the city. Therefore, development of night scenery and the rise of a medium of a vision are accompanied with a new material and the high-technology. Innovation of abundant techniques tends to being surface and mass media, and breaks from the architectural aspect of space as mutual expansion of relations between interior and exterior, and making a boundary obscurely. Space design represents peculiarity of non-territorial which modern art, an advertisement, a media and a reflection are integrated as getting over above tendency. As we find out methods which the public can communicate with the space in wider territory, the public and the space can extend mutual relations and the design of modern space is been varying a part as the space which has a context of city and synthetic sociality for the public by avoiding independent objects.

A Review on the Application of Eye-tracking in Design Areas

  • Park, Hee-Sok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391-401
    • /
    • 2016
  •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examine domestic literature on eye-tracking in the design area, and to present new eye-tracking application directions. Background: Eye-tracking was introduced in the experimental psychology field for the first time in the 1950s. Eye-tracking has high utilization values in the design application area because eye-tracking can accumulate data on what people see, providing the quantitative values on eye movement. Method: This study examined the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as well as the papers presented in conferences from 2000 to 2016 through DBPIA. Results: Although the use of eye-tracking technology was slightly meager in the product design area, it has been actively used for the evaluation analyses of preference and attention in architecture/public design. Eye-tracking also presented a method to design advertisement that is helpful to advertisement effect measurement, and product salesin the advertisement design area. Since detail psychological analysis is possible, the application of eye-tracking in the studies related with user interface has been active. Conclusion: The eye-tracking technology is projected to be actively used as a new interface means, such as in helping in disabled people's communication and in device control, in addition to conventional application areas. Application: This study would be of help to find future research areas of eye-tracking.

Structuralist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Brand Identity Symbolization in Nike Advertising

  • Ji-Young, KWAK;Wan-Young, LEE;Jun-Su, KIM
    • Journal of Sport and Applied Science
    • /
    • 제7권1호
    • /
    • pp.11-20
    • /
    • 2023
  • Purpose: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symbolization of brand identity in Nike golf advertisements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sporting goods ad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study employed Socher's semiotic theory to analyze characteristics embedded in Nike video advertisements. In specific, the study selected 'No cup is safe' among Nike video ads and analyzed structures of ad message and presented metaphors of ad messages. Results: As a study on the semiotic analysis of communication by case,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brand identity pursued by Nike in the advertisement is symbolized by identifying the signifier and signified in the advertise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segment and analyze a total of 8 advertisement scenes, from the most important tee shot in golf, setting the aiming, sending to the center of the fairway, and applying the general situation of ball in and hole out to the cases of Tiger Woods and McIlroy, thereby helping the general public. Conclusions: Summary of above results showed that it was also conveying the message of metaphor and metonymy that 'I can be like Tiger Woods and McIlroy' by using Nike golf products. Further implication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