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ological trauma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23초

국가폭력 트라우마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탐구 (A Qualitative Study using the Grounded Theory on the Trauma Experiences of State Violence Victims)

  • 김석웅;강영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30권1호
    • /
    • pp.1-33
    • /
    • 2024
  • 본 연구는 국가폭력 피해자들의 경험에 대해 알아보고, 국가폭력 트라우마와 일반 트라우마의 차이를 밝히며, 국가폭력 트라우마 치유에 도움이 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국가폭력 피해당사자와 가족으로 제주4·3사건 11명, 여수·순천10·19사건 11명, 5·18민주화운동 6명을 포함하여 총 2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내용을 근거이론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총 170개의 개념과 57개의 하위범주, 20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중심현상은 국가폭력으로 발생한 직접적인 피해들이었으며, 여기에는 외상후 스트레스, 사회적 낙인, 공동체로부터의 고립, 사회·경제적 문제, 가족 해체 등이 있었다. 과정분석 결과, 참여자들의 경험은 '외상', '고립', '저항', '체념', '회복', '성장'의 총 6단계로 구분되었으며, 각 단계는 순차적, 상호적인 영향을 주고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들을 중심으로 국가폭력 트라우마와 일반 트라우마와의 차이점과 공동체 지지 등의 사회·문화적 요인이 국가폭력 트라우마 치유에 중요한 요인임을 논의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Evaluation of Anxiety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Disc Displacement according to Diagnostic Criteria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s

  • Park, Junhyong;Shim, Young-Joo;Lim, Hyun-Dae;Lee, You-Mee;Kang, Jin-Kyu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3권4호
    • /
    • pp.125-130
    • /
    • 2018
  • Purpose: The etiology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TMDs) is complex and multifactorial including trauma, anatomical, pathophysiological,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Psychological factors can induce or sustain TMDs in various ways. And psychological problems, such as anxiety and depression can be occurred due to TMDs. Therefore, evaluation of psychological factors in patients with TMDs is important. Although disc displacement (DD) is crucial in clinical situation, most of studies have focused on the relationship of psychosocial factors and myofascial pain. And also, Subtypes of DD can cause different degrees of discomfort,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psychological states of the patients according to the subtype. The Hospital Anxiety Depression Scale (HADS) is one of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to evaluate the psychological factors. HADS-Anxiety (HADS-A) and HADS-Depression (HADS-D) are assessed through 14 ques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xiety and depression assessed by HADS in patients diagnosed with subtypes of DD according to diagnostic criteria for TMDs. Methods: Four hundred thirty nine patients were diagnosed as one of the subtypes of DD. One hundred fourty nine subjects with no symptoms were set as control groups. All of them answered the HADS for Koreans. The cut-off score for anxiety and depression was set a score of 8. The chi-square test was performed to evaluate association between DD and anxiety/depression.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ADS-D between five groups (p<0.01).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ADS-A. All the DD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ADS-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except the DD without reduction without limited opening group. The DD without reduction with limited opening group showed the highest rates in HADS-D (40.4%). Conclusions: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depression in treatment of the patients with DDs.

소방공무원의 심리적 응급처치 필요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ecessity of Psychological First Aid for Firefighters)

  • 김주현;박상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385-390
    • /
    • 2023
  •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스트레스에 대한 심리적 응급처치 필요성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0명의 구급대원을 대상으로 1:1 심층 인터뷰를 통해 구급대원의 근무환경, 외상 후 스트레스 경험, 심리적 응급처치 경험 등을 분석하여 소방관의 정신건강 향상을 위한 심리적 응급처치의 필요성에 대한 정책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소방공무원을 현장에 배치해 외상 후 스트레스와 그로 인한 신체 증상을 미리 교육한 뒤 외상 사건에 노출될 필요가 있다. 둘째, 소방공무원은 외상환자에 노출된 후 적절한 시기에 심리적 응급처치를 해야 한다. 셋째, 정신건강 업무를 전문적으로 수행할 인력과 제도적 장치의 보완이 필요하다. 넷째, 소방공무원에 적합한 맞춤형 전문의료서비스와 심리지원을 위해서는 소방복합치유센터와 국립 소방병원의 연계가 필요하다.

슬래셔 영화에 나타난 사이코패스의 분장 코디네이션 연구 (A Study of Psychopaths' Make-up Coordination Expressed on the Slasher Films)

  • 장미숙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99-406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how psychopaths' psychological factors are expressed on the characters' visual styles in the make-up coordination of slasher films. Psychopath is an ordinary person who has suffered some terrible trauma (humiliation, the death of a loved one, rape, psychological abuse), and features a disorder that consists of multiple components ranging on the emotional, interpersonal, and behavioral spectrum. Slasher films are sub genre of horror films that psychopathy characters, namely, Leather Face, Michael Myers, Jason Voorhees, Kenny Hampson, Harry Warden, Freddy Kruger and Billy kill the unfamiliar victims by cruel weapons with mercilessly. Their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make-up coordination were shown in concealment, cruelty and suggestion. The concealment was presented by killers' masks, the cruelty was represented by their weapons, and the suggestion, especially space-time and status was depicted by their garments.

코로나19 재난 상황에서 공감이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위험지각과 간접외상을 통하여 (The Effect of Empathy on Anxiety and Depression in COVID-19 Disaster : through Risk Perception and Indirect Trauma)

  • 한정수;최주희;이상옥;김유리;김성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609-625
    • /
    • 2021
  • 수천 명의 목숨을 앗아가고 일상생활에서 많은 면을 변화시킨 코로나19의 대유행이 한국에서 시작된 지 1년이 지났다. 코로나 대유행은 신체적 건강에만 영향을 끼친 것이 아니라 심리적인 부분에도 영향을 주며, '코로나 블루'라고 불리는 집단적 사회 스트레스 현상을 일으켰다.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대유행을 재난의 관점에서 바라보며, 공감이 재난에 관련된 심리적 변수인 위험지각과 간접외상을 통해 불안과 우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일반 대중 214명의 설문 데이터를 구조방정식모델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상자의 53.3%가 불안을, 35.7%가 우울증을 경험했으며 이는 2019년 정부에서 발표한 수치보다 약 6배 높게 나타났다. 구조방정식모델에서 정서적 공감은 위험지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인지적 공감은 간접적 외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위험지각과 간접외상은 모두 불안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불안은 우울증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인지적 공감만이 불안과 우울에 유의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코로나 대유행이라는 사회적 재난 상황에서 나타난 집합적 우울 현상을 개인의 인지적·정서적 공감 수준 관점에서 이해하려한 새로운 시도라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가진다.

응급구조원, 지하철 승무원, 아동보호전문기관 사회복지사의 대리 외상과 외상 후 성장 (Vicarious Trauma and Posttraumatic Growth in Emergency Workers, Subway Operators, and Child Protective Service Workers)

  • 이영선;이소래;주성아;고영빈;김예진;한인영
    • 사회복지연구
    • /
    • 제43권1호
    • /
    • pp.249-273
    • /
    • 2012
  • 본 연구는 응급구조원, 사상 사고를 경험한 지하철승무원, 아동보호전문기관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직종, 심리적 고통, 대리 외상, 일반적 특성에 따른 외상 후 성장을 비교 분석한 연구이다. 분석 결과 첫째, 대리 외상은 세 집단 모두 위험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고 특히 지하철승무원의 대리 외상이 높았으며, 외상 후 성장은 사회복지사가 가장 높고 지하철승무원이 가장 낮았다. 둘째, 대리 외상과 외상 후 성장은 상관관계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침습과 회피의 하위항목이 외상 후 성장과 상관관계가 높았다. 셋째,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종, 침습, 회피, 종교, 성별의 순서로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 결과를 바탕으로 대리 외상 위험 직종에 대한 정신건강서비스 제공과 외상 후 성장의 치료적 적용을 제언하였다.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의 작업치료적 접근에 관한 고찰 (A Review of Occupational Therapy Approach for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 최유임;박수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286-294
    • /
    • 2010
  •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은 외상, 신경 손상, 골절, 뇌졸중, 척수 손상과 수술 등에 의해 부적합하게 발생하는 만성 신경병성 통증증후군으로, 질환의 경과, 치료법 등 모든 면에서 생물심리사회적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작업치료에서는 생물학적, 심리적, 사회적 요소를 고려한 다학제적인 치료적 접근이 유용할 것이다. 생물학적 치료는 모든 영역에서의 독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지의 기능적 사용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심리적 치료는 이완/바이오피드백 훈련과 인지행동치료를 제공하고, 사회적 치료는 레크리에이션 치료와 직업 재활을 실시할 수 있다. 복합부위통증증후군에 대한 작업치료는 다양한 전문 분야의 협조적인 치료과정을 통해 기능 회복과 통증 관리, 심리적 요인들의 회복을 이끌어 내야 할 것이다.

학령전기 입원 아동의 건강 및 질병 개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alth/Illness concepts in Hospitalized Preschoolers)

  • 성미혜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6권3호
    • /
    • pp.291-304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health and illness concepts of hospitalized preschoolers. The subjects were 52 hospitalized preschoolers from 3 to 6 grade in one general hospital.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by author.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r 2, 2000 to Jun. 30, 2000. Data were coded and categorized by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Hospitalized preschoolers's answers about health concepts were coded and then classificated to 7 categories(physical well-being, food, powerfulness, exercise, obedience to authority, cleanliness, sleep.) 2. Hospitalized preschoolers's answers about health behavior to maintenance health were coded and then classificated to 8 categories (food, obedience to authority, treatment, exercise, cleanliness, powerfulness, sleep, psychological stability). 3. Hospitalized preschoolers's answers about prevention of illness were coded and then classificated to 9 categories(food, treatment, obedience to authority, powerfulness, emotional stability, psychological stability, exercise, physical well-being, ability of social adaption). 4. Hospitalized preschoolers's answers about cause of illness were coded and then classificated to 3 categories(illness, trauma, food). 5. Hospitalized preschoolers's answers about treatments of illness were coded and then classificated to 9 categories(treatment, rest, emotional stability, sleep, psychological stability, food, obedience, exercise, powerfulness). 6. The levels of health and illness concepts in this sample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physical causality.

  • PDF

Education Programs for Disaster Mental Health: Website-Based Review

  • Hyun-Seo Park;Joohee Seo;Sang-Ho Kim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43-59
    • /
    • 2023
  • Objectives: Although a manual for a disaster medical support using Korean medicine doctors for disaster survivors has been developed, education programs for using the manual in disaster situations need to be developed.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xisting online education programs for disaster mental health to develop education programs for Korean medicine doctors. Methods: We conducted website searching for disaster mental health education programs using Google. Compositions, contents, hours, methods, costs, organizers, and targets of included educational program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Results: After searching, eight websites among a total of 64 were included for the analysis. Lectures consisted of Psychological First Aid, Skills for Psychological Recovery, Self-Care, and Psychological Education after a disaster experience. Training hours for each program ranged from 30 minutes to 31 hours. All lectures were given only online. They could only be taken online. Free lectures were the most common ones. Most of them were for the general public. Conclusions: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information regarding trends of online education programs for disaster mental health. Our information could be used for developing disaster trauma response education programs for Korean medicine doctors in the future.

성폭력 상담자 대리외상 경험에 대한 개념도 연구 (Concept Mapping Analyzing on Counselors' Vicarious Trauma Experience from Working with Victims of Sexual Violence)

  • 허찬희;이지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457-47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성폭력 상담자 대리외상 경험의 심층내용을 탐색하고 이에 대한 개입전략을 개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성폭력 상담 현장에서 3년이상 근무한 12명의 성폭력 상담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개념도(concept mapping) 방법을 활용하여 성폭력 상담자 대리외상 경험에 대한 내용 탐색과, 그 개념 구조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성폭력 상담자 대리외상 경험에 관한 60개의 핵심 문장을 추출하였다. 이후 심층 면접 참여자와 같은 조건의 평정 참여자 19명에게 핵심 문장을 분류하고 평정하도록 한 뒤, 다차원적 척도법과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x축의 부정적 인식차원과 심리·정서적 차원, y축의 개인 내적 차원과 행동적 차원이 나타났고, 일에 대한 몰입과 회의감, 정서적으로 동화되는 경험, 성에 대한 과민성, 남성에 대한 경계 증가, 안전감 위협이라는 5개의 군집이 나타났다. 이는 성폭력 상담자가 경험하는 성폭력 상담자 대리외상의 내용을 범주화하여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그동안 국내 성폭력 상담자 대리외상에 대한 양적인 연구에 필요성이 대두 되었던 결과를 다시 확인 하였고, 성폭력 상담자 대리외상 척도 개발의 필요성을 확신하는 결과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