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ological status

검색결과 965건 처리시간 0.025초

탈성매매여성들의 사회적응에 대한 연구 - 근거이론 방법 접근 - (A Study on the Readaptation of the Women Who have Engaged in Prostitution - A Grounded Theory Approach -)

  • 김영숙;이근무;안준리
    • 사회복지연구
    • /
    • 제37호
    • /
    • pp.429-455
    • /
    • 2008
  • 본 연구는 성매매 경험여성들의 사회재적응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실체이론 구성과 당사자들의 사회재적응을 도울 수 있는 실천적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스트라우스와 코빈(1990)이 제안했던 근거이론방법을 선택했다. 원자료는 심층면담과 문서기록수집, 관찰을 수행하여 수집했다. 자료분석은 지속적 비교방법을 사용했다. 연구에는 성매매에 종사했던 9명의 여성들이 참여했다. 원자료를 분석한 결과 개방코딩 단계에서 116개의 개념과 29개의 하위범주, 1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과적 조건은 적대적 환경과 스스로 찍은 낙인으로 했다. 현상은 익명의 존재로 살아가기로 했다. 맥락적 조건은 가족응집, 위축된정서, 떠밀림으로 했다. 중재적 조건은 사회적 존재로서의 자기회복욕망, 반동적 재구성으로 했다. 결과는 심리적 나그네와 더듬이 살이로 했다. 선택코딩에서는 핵심범주 고르기와 유형분석을 했다. 핵심범주는 생활세계로 부터의 떠남과 귀환의 반복으로 했다. 유형은 현실안주형과 자기엄폐형으로 분류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자역사회기반의 사례관리모델개발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2015년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활용한 1인 가구 건강생활습관과 삶의 질 분석 (A Study on the Health-related Lifestyle and Quality of Life in Single Household based on KHP 2015 Data)

  • 전혜진;이혜련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62-70
    • /
    • 2019
  • 본 연구는 1인 가구의 건강생활습관과 삶의 질 특성을 확인하여 상관성을 분석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한국의료패널 2015년 자료를 활용하여 1인 가구라고 응답한 설문 자료에서 건강생활습관 및 삶의 질 관련 변수를 선정하였다. 우리나라 1인 가구의 평균 나이는 68.19세로 여성이 71.3%를 차지하였으며, 사별로 인한 1인 가구가 64.8%였으며, 주관적 건강상태는 '보통'이 42.3%였다. 흡연자는 31.7%, 음주자는 34.7%였으며, 신체활동량은 비활동군이 55.3%로 가장 많았다. 삶의 질은 15점 만점에 $13.31{\pm}1.828$점이었으며, 흡연빈도, 음주빈도, 신체활동과 삶의 질 점수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인 가구와의 비교연구를 통해 흡연 및 음주가 삶의 질에 영향을 끼치게 되는 매개 요인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색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자료를 바탕으로 1인 가구를 대상으로 하는 사회관계를 지지하는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국가적 차원에서 사회적 지원 체계의 마련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한국 요양시설 노인의 주 돌봄자 부담감에 대한 통합적 고찰 (An Integrated Review on Main Caregiver's Burden of Elderly in Korean Nursing Home)

  • 김은정;성경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6호
    • /
    • pp.267-277
    • /
    • 2019
  • 본 연구는 통합적 문헌고찰 방법을 통해 국내 요양시설에 노인을 입소시킨 주 돌봄 제공자의 돌봄 부담감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문헌은 1990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게제된 문헌으로 검색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총 23편의 연구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주 돌봄 제공자의 개인의 생리사회적 요소에 따른 부담감으로는 돌봄 제공자가 효의식과 죄책감이 높을수록, 노인이 2가지 이상의 질환을 앓고 있을 경우 돌봄 부담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부담감은 노인의 연령이 많을수록, 돌봄 기간이 1-3년인 경우가 높았다. 경제적 부담감은 주 돌봄 제공자의 나이가 많을수록, 노인의 병력기간이 길수록 높게 나타났고 심리적 부담감은 돌봄 제공자가 아들인 경우와 노인이 고령일수록, 요양시설 입소 초기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적 특성에 따른 부담감은 노인의 기능상태가 나쁠 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요양시설에 노인을 입소시킨 주 돌봄 제공자의 돌봄 부담감에 관심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앞으로 본 연구의 결과들은 돌봄 부담감을 낮추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할 것이다.

원격재활서비스 참여가 지역사회 장애인의 건강증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rticipating in Tele-rehabilitation Service on Health Promotion and Quality of Life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y)

  • 차예린;정봉근;이성아
    • 재활복지
    • /
    • 제22권3호
    • /
    • pp.169-188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원격재활서비스를 소개하고, 지역사회 장애인에게 적용하여 그들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함이다. 본 연구에서의 원격재활서비스는 재활훈련 프로그램과 원격상담으로, 최종 참여자는 천안시 C 장애인 자립생활센터 뇌병변장애인 3명이다. 연구 방법은 혼합연구로 양적 연구로는 대상자 간-다중기초선 실험설계, 질적 연구로는 원격상담을 통한 이야기식 면접을 이용하였다. 기초선, 참여 중, 참여 후의 주관적 건강수준변화, 상지기능/근력, 관절가동범위검사를 일정 간격 시행하고, 참여 전후에 삶의 질 검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심리 사회적 건강증진 요소가 향상되었고, 둘째, 신체적 건강증진(상지기능/근력, 관절가동범위) 요소가 유지 및 향상되었으나 변화가 적었다. 셋째, 삶의 질은 사전보다 사후의 평균값이 높았다. 질적 연구에서는 주관적 건강상태, 정서적 안정감, 유익성, 자기효능감에서 긍정적 변화를 경험하고 있었으며, 서비스참여에 만족을 보였다. 이로 보아, 원격재활서비스 참여가 지역사회 장애인의 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국내 지역사회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원격재활 서비스 구축과 프로그램 개발 및 확산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Affective Computing 분야의 지식생산, 지식구조와 네트워킹에 관한 분석 연구 (Analytical Research on Knowledge Production, Knowledge Structure, and Networking in Affective Computing)

  • 오지선;백단비;이덕희
    • 감성과학
    • /
    • 제23권4호
    • /
    • pp.61-72
    • /
    • 2020
  • 경제 불안정과 고령화, 경쟁격화 및 개인 가치관의 변화 등 사회 문제가 점점 심각해질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를 해결 가능한 방안 중 하나로써 감성컴퓨팅 관련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감성컴퓨팅 연구 키워드를 중심으로 국내 및 글로벌 연구의 지식구조와 주요 키워드, 연구생산 현황 및 국가간 협력관계 및 주요 키워드별 네트워크 등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 학술데이터 베이스(Scopus)로부터 해당 키워드를 중심으로 논문을 검색하였으며, 서지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중국과 미국이 Affective computing 분야에서 지식생산이 활발하였고, 한국은 약 10% 정도로 저조한 상황이다. 주요 키워드는 Affective computing을 중핵으로 주로 컴퓨팅 처리 및 감성분석, 인식을 분류하는 연구 및 사용자들의 모델링, 심리 분석이 주요 연구 키워드이다. 국가 간 협력구조는 중국과 미국이 가장 큰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고, 그 외에 영국, 독일, 스위스, 스페인, 캐나다 등이 협력을 주도하고 있다. 한국의 연구협력은 다양하지 않고 연구생산도 저조한 결과를 보였다. Affective computing 분야의 연구발전을 위해 미국, 중국 등 주요국과의 연구협력 강화와 연구파트너의 다양화를 위한 시사점을 결론으로 제언하였다.

성인 비혼 남녀의 비혼 유형 관련 요인 탐색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factors related to types of never-married among adult men and women)

  • 김지유;조희선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01-228
    • /
    • 2018
  • Objectiv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lassify never-married types of adult men and women and explore factors related to these types. Never-married types were categorized into 4 types according to continuity and voluntariness: continuous voluntary type; changed voluntary type; continuous non-voluntary type; and changed non-voluntary type. Factors related to types of being single were examined in terms of socio-demographic factors, individual and psychological factors (self-esteem, depression), dating relationship factors (current relationship status), original family factors (parental conflict, relationship with parents, parents' demand for marriage), marriage related factors (division of roles after marriage), and occupation related factors (work values, employment instability). Method: As for research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never-married adult men and women between the ages of 35 and 49 living in Seoul, Gyeonggi or Incheon areas. Of 300 copies of questionnaire distributed, data from 295 copies were processed using SPSS 24.0 program for multinomial logit analysis. Result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of never-married men respondents, continuous voluntary type accounted for 20.5%; changed voluntary type 18.9%; continuous non-voluntary type 49.6%; and changed non-voluntary type 11.0%.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related to continuous non-voluntary type among never-married men are age, religion, average monthly income, while the factors related to changed voluntary type are religion, self-esteem, depression, and frequency and strength of parental conflict, while the factor related to changed non-voluntary type men was living with parents. Examining never-married women respondents, it was found that, continuous voluntary type accounted for 33.9%; changed non-voluntary type 19.6%; continuous non-voluntary type 22.6%; and changed voluntary type 23.8%. The factor related to continuous non-voluntary type among never-married women was parents' demand for marriage, while the factors related changed voluntary type were age, depression and strength of parental conflict. Also, the factors related to changed non-voluntary type of never-married women were age, religion, living with parents, depression and parents' demand for marriage. Conclusion: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continuous non-voluntary type formed the largest group among never-married men, whereas continuous voluntary type was the majority in never-married women. Both never-married men and women chose to remain single when they are living with their parents and their parental conflict is intense. Parents' demand for marriage was related to women, but not to men.

패션 영역에서 디지털 전환 관련 연구동향 및 지식구조 (Research Trends and Knowledge Structure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Fashion)

  • 최영현;정진하;이규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319-32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정보학적 접근을 통해 디지털 전환을 다룬 국내 패션 관련 연구동향과 지식구조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국내 학술연구에서 나타난 관련 연구의 연도별, 학술지별 현황을 파악하고,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주요 연구 주제어를 도출하며, 시기별 주요 연구 동향과 지식 구조를 분석했다. 2010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 학술 플랫폼에 게재된 159편의 연구를 수집했고, Python 3.7을 통해 데이터를 정제했으며, NodeXL 1.0.1을 통해 중심성 측정 및 네트워크 구현을 진행했다. 분석 결과 관련 연구는 2016년을 기점으로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며, 주로 의류학, 예술학 학술지에 밀집된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플랫폼, AR/VR이 가장 많이 언급되는 주제어로 나타났으며, 소비자 심리분석, 마케팅 전략 제시, 사례 분석이 주요 연구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군집화를 통해 의류학의 세부 분과별 주요 연구 내용을 도출할 수 있었다. 시기별 주요 주제 분석 결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비자 중심의 연구에서 플랫폼이나 서비스에 대한 전략 제시 또는 디자인 개발 연구로 보다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에 대한 패션 분야의 통찰력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관련 주제의 연구를 설계하는데 기초연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Effect of Hominis Placenta Pharmacopuncture for a Patient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Multi-Center Trial

  • Kim, Yunna;Eom, Yoon Ji;Kwon, Dohyung;Lee, Jae Hyok;Jung, In Chul;Cho, Eun;Lee, Ji Eun;Cho, Seung-Hun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81-93
    • /
    • 2021
  • Objectives: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is condition of cognitive decline shown in transition from normal aging to dementia. Hominis placenta pharmacopuncture (HPP) is a treatment that combines effects of medication and acupuncture by injecting Hominis placenta into acupoin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HPP for MCI. Methods: This was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wo-center clinical trial. Eligible patien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either the HPP group or the placebo group. HPP or saline as placebo was administered to participants for eight weeks. Changes in symptoms were observed. The primary outcome was difference in mean change of Korean Version of the 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MoCA-K) score between the HPP group and the placebo group. Cognitive function, overall status of mood and sleep, and quality of life (QoL) were also assessed. Safety assessment and economic analysis were then conducted. Results: Thirty participants were enrolled. One participant in the placebo group dropped out. The score of MoCA-K increased after treatment. Its mean change was smaller in the HPP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HPP ameliorated Global Deterioration Scale and Korean Dementia Rating Scale subtests for attention, organization, and memory compared to the placebo. However, none of them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Mood, sleep, and QoL all improved more in the HPP group than in the placebo group, although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as no adverse event probably related to the drug. HPP treatment needed KRW 345,000 more than the placebo group in improving Geriatric Quality of Life scale-Dementia score by one point for one year. Conclusions: Although HPP treatment did not significantly improve cognition, it changed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in MCI.

국내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적 건강결정요인: 통합적 문헌고찰(2018~2020)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South Korea: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2018~2020))

  • 김유림;이현경;이혜연;이미경;김수경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30-444
    • /
    • 2021
  • Purpose: This study is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to analyze health problems and social determinant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in South Korea. Methods: An integrative review was conducted according to Whittemore & Knafl's guideline. An electronic search that included publications from 2018 to 2020 in the PubMed, EMBASE, Cochrane Library, CINAHL, RISS, and KISS databases was conducted. Of a total of 67 records that were identified, 13 finally met full inclusion criteria. Text network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o identify keywords network trends using NetMiner program. Results: The health problem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were classified into mental health (depression, anxiety, suicide and acculturative stress) and health risk behaviors (smoking, risky drinking, smartphone dependence and sexual behavior). As social determinants affecting the health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biological factors such as gender, age, and visible minority, and the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acculturative stress, self-esteem, family support, and ego-resiliency were identified. The sociocultural factors were identified as family economic status, residential area, parental education level, and parents' country of birth. As a result of text network analysis, a total of 41 words were identified.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mental health and health risk behaviors should be considered as interventions for health promo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Our findings suggest that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broaden the scope of health determinants to account for the effect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health care system.

보건계열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와의 관계 : 작업치료학과 대학생을 중심으로 (Relationship of Life Stress to Stress Coping in Health-Related Majors : Focusing on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 박경아;이안나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353-361
    • /
    • 2020
  • 본 연구는 보건계열 작업치료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학생들의 심리적 안정 및 스트레스 대처에 대한 다양한 방법과 방향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2019년 6월 1일부터 7월 30일까지 전라도 소재의 5개 대학교 작업치료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 36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대상자가 직접 설문지에 대답하게 하였다. 연구 결과 생활스트레스는 일반적 특성인 성별, 학년, 가족관계, 경제수준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스트레스 대처는 성별에서만 차이가 나타났다. 생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스트레스 대처의 하위영역인 정서 완화적 대처, 소망적사고 등의 소극적 대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생활스트레스의 하위영역 또한 스트레스 대처의 하위 영역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성공적인 대학생활, 더 나아가 사회생활에 잘 적응하기 위해서는 대학생활 동안의 생활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을 끊임없이 개발하고 적용 효과에 대한 후속 연구가 여러 방면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