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Participating in Tele-rehabilitation Service on Health Promotion and Quality of Life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y

원격재활서비스 참여가 지역사회 장애인의 건강증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Cha, Yerin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Soonchunhyang University) ;
  • Jung, Bong-Keun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Soonchunhyang University) ;
  • Lee, Seong A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Soonchunhyang University)
  • 차예린 (순천향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정봉근 (순천향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이성아 (순천향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Received : 2018.07.31
  • Accepted : 2018.09.27
  • Published : 2018.09.30

Abstract

The aim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Tele-rehabilitation service on health promotion and quality of life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y. The subjects were 3 men who agreed with participating in service and were assessed of health promotion level with physical/psychological scales and quality of life. The service consists of 20 sessions for 13 week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l participants improved psychosocial health promotion (subjective health level) factor. Second, physical health promotion (upper limb function, strength, range of motion) maintained and improved, but there was little change. Third, the quality of life was higher than before. In addition, qualitative research showed that participants experienced a positive change in subjective health status, emotional stability, benefit, and self efficacy, and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service. Based on the results, it was shown that participation helps improve the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the individuals with disability in the community. This study can be used it as a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Tele-rehabilitation service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y in local community.

본 연구의 목적은 원격재활서비스를 소개하고, 지역사회 장애인에게 적용하여 그들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함이다. 본 연구에서의 원격재활서비스는 재활훈련 프로그램과 원격상담으로, 최종 참여자는 천안시 C 장애인 자립생활센터 뇌병변장애인 3명이다. 연구 방법은 혼합연구로 양적 연구로는 대상자 간-다중기초선 실험설계, 질적 연구로는 원격상담을 통한 이야기식 면접을 이용하였다. 기초선, 참여 중, 참여 후의 주관적 건강수준변화, 상지기능/근력, 관절가동범위검사를 일정 간격 시행하고, 참여 전후에 삶의 질 검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심리 사회적 건강증진 요소가 향상되었고, 둘째, 신체적 건강증진(상지기능/근력, 관절가동범위) 요소가 유지 및 향상되었으나 변화가 적었다. 셋째, 삶의 질은 사전보다 사후의 평균값이 높았다. 질적 연구에서는 주관적 건강상태, 정서적 안정감, 유익성, 자기효능감에서 긍정적 변화를 경험하고 있었으며, 서비스참여에 만족을 보였다. 이로 보아, 원격재활서비스 참여가 지역사회 장애인의 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국내 지역사회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원격재활 서비스 구축과 프로그램 개발 및 확산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순천향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