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ological Estimation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3초

북한산 국립공원의 토양 및 식생에 대한 이용영향 및 심리적 수용력의 추정 (Recreation Impacts on Soil and Vegetation and Estimation of Psychological Carrying Capacity in Mt. Bukhan National Park)

  • 이경재;김준선;우종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6-65
    • /
    • 1987
  • 북한산국립공원에서 이용객에 의한 자연환경의 변화 및 이용객 심리조사를 수행하기 위하여 야영장 및 피크닉 장소 18개소에 조사구를 설치하였다. 15개소에 대해서는 자연환경파괴조사를 하였고, 3개소(대동문지역, 북한산장지역, 인수산장지역)에 대해서는 폭10m의 belt transect을 설치하여 이용객에 의한 토양성질 및 식생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3개장소에서 설문을 통해 이용객심리를 조사하였다. Transect조사지에서 환경피해가 심한 중심지에서 숲속으로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토량경도, 100$m^2$당 수목개체수, 하층 초본층의, 피도 유사도지수는 회귀관계가 성립되었다. 야영장중심에서 숲속으로 100~130m까지 인간에 의한 토양 및 식생의 번화가 있었다. 인간간섭에 내성이 강한 수종은 초록싸리, 국수나무, 다래, 노린재나무이었고, 약한 수종은 물푸레나무, 팥배나무, 진달래였다. 설문에 의한 심리적인 만족도조사를 하여 각 항목들의 요인분석을 직각회전방법에 의하여 실시한 결과, 북한산의 피크닉장소를 이용하는 이용객의 심리적 만족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Factor I )은 물리적 인자로 화장실, 쓰레기통, 음료수에 관한 변량이 높게 부가되었다. 다음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Factor II )은 사회적 인자로 이용객의 혼잡도, 소음정도, 주변환경의 보전성이 높게 부가되어 있었다. 만족도에 의한 심리적인 수용력을 추정한 결과 25$m^2$/인 이었다.

  • PDF

도박중독 문제의 본질에 충실한 평가/진단 및 비율 산정 (Evaluation/Diagnosis and Related Rates Reflecting the Nature of Gambling Problems)

  • 이순묵;김종남
    • 한국심리학회지ㆍ건강
    • /
    • 제14권1호
    • /
    • pp.1-26
    • /
    • 2009
  • 본 연구는 도박중독문제를 어떻게 정의하고 접근해야 최선일 것인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이에 도박중독문제의 본질을 규정하고, 도박중독 발생과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포괄하여 도박문제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작업이 선행된 후에야 도박의 문제를 정확하게 진단, 분류, 평가하고 나아가 유병률이나 발병률의 균형잡힌 산정도 가능할 것이기 때문이다. 우선 도박중독 개념과 관련하여서는 전문가 간에 상이한 견해를 보이고 있으므로 도박 중독에 대한 광의의 정의와 협의의 정의 등으로 세분하는 것이 의사소통에 혼란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도박행동을 중독인가 아닌가, 병적인가 아닌가 등 이분법적으로 구분하기보다 연속선상에 존재하는 것으로서 바라보아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최근 등장하고 있는 도박행동에 대한 다원적 및 다층적 관점을 소개하였는데, 이러한 관점의 장점은 도박문제를 개인의 책임으로만 떠넘기는 것이 아니라 도박문제와 관련된 다양한 주체들이 책임을 나누고 문제해결을 위해 공동대처하도록 촉진한다는 점이다. 또한 현재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도박중독 평가척도들의 제한점을 극복한 척도의 제작이 필요한 바, 새로운 척도 개발 시 필요한 유의사항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도박관련 정책 추진시 유병률과 발병률의 산정이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는바, 도박중독문제의 본질에 충실한 유병률과 발병률 추정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공원잔디공간의 『레크레이션』 수용능력에 관한 연구(I) -잔디에 미치는 답압의 영향 및 수용능력의 답압회수 기준설정- (A Study on the Recreation Carrying Capacity of Lawn Areas in Parks(I) -Estimation of treading times criteria based on the tolerence of the turf to treading pressure-)

  • 엄붕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3-68
    • /
    • 199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recreation carrying capacity of lawn areas in parks. Recreation carrying capacity in this study is composed of two parts, ecological carrying capacity and psychological carrying capacity. As the first part, this paper deals with the treading times criteria based on the tolerence of the turf to treading pressure. The plant material used for this study was Zoysia japonica, and the treading experiment was done in the experimental fields in Kyungju and Suwon, Korea. The major results of the first part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1. As shown in annual change of the growth of the turf, The growth of turt grass was represented by the number of leaf. 2. The tolerance to treading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time of treading treatment. And the tolerance varies depending on growth rate of grasses, which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recipitations. 3. From the result of different numbers of simulated treading treatment, the damage of the turf was increased by the increase of the frequency of treading. And the damage was very serious within short period(about 20 days) in high frequency(over 20 times/day) of treading treatment. But low frequency(1∼3times/day) of treading shows good effects on the growth of the turf. 4. The criteria of treading number per day for each carrying capacity level are estimated as 7 times/day for optimum carrying capacity, 13 times/day for standard carrying capacity, and 20 times/day for critical carrying capacity.

  • PDF

공간의 의식적 주시와 정보의 탐색활동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eatures of Conscious Observation of Space and Search Activities for Information)

  • 김종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117-124
    • /
    • 2014
  • This study has inferred the mechanism of psychological observation activities through comparison analysis of the observation data acquired from eye-tracking and their post-estimation. The results of their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s. First, even though the frame of analysis has been set up so that there might not be any change to the number of the sections even with any change of consecutive observation times, the fact that the time by area decreases along with the change of consecutive observation from three times to six and nine times means that the time spent on "recognition" of space information reduces in the course that the feature of observing for space information switches from "perception to recognition". Second, the subjects moves their eyes incessantly in order to acquire space information while observing the space, whe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space which the subjects searched for information by means of observation activities" and "that which they thought they observed that remaining in their consciousness". The appreciation of this kind of difference is very significant for the analysis of observation features. Third, the short observation (0.1 second, three times of consecutive observations) is consistent with "Ares I, intensively searched = that marked as having been observed consciously" by 60%, while the long-time observation (0.3 second, 9 times of consecutive observations) had 56%, which was relatively high, of "Area I, searched intensively ${\neq}$ that marked as having been observed consciously", which means that the observation feature seen at the activities of "consciousness : unconsciousness" and "observation : search" had some change in the course of changing from "perception to recognition".

학교와 부모를 통한 소비자사회화가 청소년 및 대학생소비자의 충동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랜덤효과 모형 (Consumer Socialization on Adolescent Impulsive Buying Behavior through School and Parents: A Random Effects Model)

  • 김정은;김지하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4권4호
    • /
    • pp.385-395
    • /
    • 2016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consumer socialization on Korean adolescent impulsive buying behavior. The current study used the third and sixth waves from the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 survey that has been administer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ince 2004. The subjects were high school juniors and university sophomores in 2006 and 2009, respectively. The final sample for panel regression analysis included 1,718 individuals. Two major agents of socialization (school and parents) were utilized in our model. Parent financial behavior (if the parents had savings) and the effectiveness/helpfulness of economics education in middle or high school were included in our estimation model. Two categories were included as individual factors: (1) psychological aspects and personal traits covering variables such as stress from self-image, academic stress, self-regulation, and a tendency of risky behavior and (2) financial behavior and attitudes, which include work experience, amount of money in hand, shopping habits, and if parental financial support is expected after high school graduation. The results from a random effects model revealed that the effects of consumer socialization through school was marginally significant, while through parents was not. Stress from self-image and the level of self-regula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Neither risky behavior nor academic stress were a significant factor for impulsive buying behavior. The amount of money available in hand and shopping habits showed a significant influence. Implications for educators, parents and policy makers are identified.

도시 녹지 가치 평가를 위한 탄소 흡수량 추정 - 서울시를 대상으로 - (Estimation of Carbon Uptake for Urban Green Space: A Case of Seoul)

  • 이동근;박진한;박찬
    • 환경영향평가
    • /
    • 제19권6호
    • /
    • pp.607-615
    • /
    • 2010
  • Urban green space is often at the centre of the debate on urban substantiality because it provides functions of space, e.g. for wildlife, recreation, growing vegetables, psychological wellbeing, social interaction, etc. Traditionally, the various functions of urban green spaces clearly show that green spaces contain important values that contribute to the overall quality of urban life. After Kyoto protocol, it has becoming important to more accurately evaluate carbon uptake by urban green space. Many studies have analyzed the benefits, costs, and carbon storage capacity associated with urban green space. These studies have been limited by a lack of research on urban tree biomass and carbon uptake by soil, such that estimates of carbon storage in urban systems. This study calculate more accurately the amount of carbon uptake by urban green space. This study also complement the existing methods to estimate the urban green space carbon uptake. It has been studied how to evaluate carbon uptake function of urban green space. The surface area of urban green space increased 5% by complemented method and carbon uptake is also increased. Based on this result, the carbon uptake per capita was analysed and compared to the area of carbon uptake. And this study discussed the reasons fo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new and earlier estimates, as well as implications for our understanding of the global carbon cycle. In conclusion, these results could contribute as preliminary data to policy makers when climate change adaptation strategy is established.

피지이론과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주정중독증 환자의 긴장도 평가 (Estimation of Tension Status for Alcohol Dependent Patients using Biofeedback Training and Fuzzy Theory)

  • 성홍모;시재우;윤영로;윤형로;박진한;신정호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91-198
    • /
    • 1999
  • 바이오피드백은 혈압 심박율, 말초체온, 호흡, 근전도 등과 같이 자율신경에 의해 지배받는 신체 기능들을 훈련을 통해 스스로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자율신경의 이상으로 인한 여러 가지 질병들을 치료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이다. 븐 논문에서는 주정중독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바이오피드백 훈련을 실시할 수 있도록 근전도, 호흡, 맥파, 말초체온, 피부전기전도도 등 다섯 가지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바이오피드백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을 이용해 주정중독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바이오피드백 훈련을 실시하였다 이완 바이오피드백 훈련을 실행하였으며 생체신호변화에 대해 퍼지이론을 적용하여 긴장상태를 판단하였다. 8명의 주정중독증 환자들이 실험에 참가하였으며 측정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환자 군은 일반인에 비해서 높은 긴장도 값을 보였다. 2) 환자들의 긴장도 값은 훈련 회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 PDF

경관영향평가 항목선정을 위한 타당성 평가 (Estimation of Validity for Item Selecting of Landscape Impact Assessment)

  • 오명성;조현주;이현택;나정화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6권
    • /
    • pp.7-15
    • /
    • 2008
  •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erms of estimating the validity by setting evaluation items in view of integrating not only original beauty and visual areas but also natural ecological areas based on questionnai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ccording to literature study, 17 items such as variety, the character of sites in terms of landscape, the beauty of landscape, visibility, and ratio of green visibility are selected. Also, 21 items such as variety of animals and plants species, size of green area, and ecological naturalness are selected in the area of landscape ecological resources. 2) As a result of questionnaire of the group of landscape experts, animals and plants ecological areas show 5.6341, the highest in importance analysis according to assessment areas. Also, as a result of importance analysis on items in each area, for example, in the area of visual resources, the item of skyline analysis is 6.0488, the highest. 3) As a result of corelation of item meaning on landscape effect assesment, for example, meaningness of psychological assessment item and landscape site item indicate 0.710, the highest coefficient correlation. 4) As critical assessment items per unit project, items such as damage minimization of original land features for project in terms of point, ratio of green visibility, variety of animals and plants species marked above 8.0 as high important medium. The project in terms of line, minimization of original land features, preservation of worthy biotope showed high point and the character of sites in terms of landscape, minimization of original land features, the size of green area, and analysis of skyline marked above 8.5 as high importance points. On the contrary, items for climate and soil showed relatively low points.

  • PDF

CE 기법을 적용한 수목원의 편익제공 가치 추정 연구 - 경남수목원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Values of Individual Services of an Arboretum using the CE Method - Focused on Gyeongnam Arboretum -)

  • 강기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51-59
    • /
    • 2013
  • 본 연구는 수목원이 제공하는 물리적, 심리적인 서비스를 그 종류에 따라 이용객이 인식하는 효용가치를 화폐액으로 추산하여 그 크기를 비교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목적을 위한 분석의 도구는 각각의 변수에 따른 효용가치의 크기를 추산해 낼 수 있는 CE(Choice Experiments) 기법을 이용하였다. 개별서비스의 가치추정을 위한 프로파일의 작성은 SPSS 통계패키지의 직교설계를 이용하여 25개의 프로파일을 추출하여 각각의 프로파일이 중복되지 않도록 75쌍의 질문 항을 만들어 1인당 5세트씩, 3개의 문항을 질문하여 3,510개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현재의 수준을 기준으로 한 이용객의 지불의사액이 가장 큰 속성은 '현재보다 수목의 종류를 50% 더 다양하게'하는 속성이 7,956원의 추가적 지불의사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두 번째가 현재의 원로 디자인보다 매우 독특한 원로디자인의 가치가 6,025원으로 나타났으며, 수목원 관람 시 개인 안내원이 가이드를 해 주는 것이 단체로 안내해 주는 것보다 약 3배 정도 더 많은 추가비용을 지불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경남수목원의 이용객들이 가치를 높게 인식하는 것은 수목원 본래의 기능인 수목의 수집과 전시기능에 가장 높은 효용가치를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그 다음으로 다양하고 울창한 수목을 잘 관찰할 수 있는 독특한 원로의 디자인에 그 가치를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수목원 운영주체에서 알고자 하는 이용객의 특정한 효용의 가치를 비교 또는 측정해 보고자 할 경우,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수목원뿐만 아니라 타분야의 개별 환경재의 가치추정에 대한 기초자료의 제공을 위한 선행연구의 개념으로 제시되어질 것이다.

전남지역 노인에서 우울 및 자아존중감의 인식정도에 따른 영양위험도 및 영양소 섭취량의 변화 양상 (The Changes of Types of Nutritional Risk and Nutritional Intake according to Depression and Self-esteem among the Elderly in Chunnam Province)

  • 김복희;정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8호
    • /
    • pp.97-107
    • /
    • 2008
  • 본 연구는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119명을 대상으로 우울정도와 자아존중감의 두 가지 심리적 요인이 영양위험도와 영양소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했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Scale)을 적용하여 우울정도를 판정한 결과, 정상은 43.7%, 경도 우울 21%, 중등 우울 21%, 중증 우울 14.3%로 각각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우울정도를 비교하면 경도 이상 우울에 해당되는 비율이 남자노인에서 47.1%, 여자노인에서 60.0%로 나타났다. 2. 자아존중감(General Self Efficacy Scale;GSES)점수 합의 평균은 전체에서 45.9점, 남자노인에서 51.9점, 여자노인에서 43.6점으로 남자노인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 < 0.05). 3. NSI Checklist를 적용하여 영양위험도를 평가한 결과 전체 대상자 중 정상은 69.7%, 중간위험 군은 30.3%였으며, 성별에 따라 비교한 결과 남자노인에서는 85.3% vs. 14.7%, 여자노인에서는 63.5% vs. 36.5%로 나타났다(p < 0.01). 4. 영양소 섭취수준을 평가한 결과, 남녀 모두 에너지는 섭취기준의 76%이었으나, 칼슘, 칼륨, 아연, 비타민A, 리보플라빈, 나이아신의 섭취량은 영양섭취기준의 60%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5. 영양위험도는 우울정도와는 양의 상관관계를(r = 0.385, p < 0.01), 영양소 섭취량은 자아존중감과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단백질, 칼슘, 인, 아연, 철, 나트륨, 터아민, 리보플라빈, 나이아신, 비타민B6, p < 0.05). 즉, 우울정도가 높을수록 영양위험도가 증가하는 반면에, 자아존중 감에 대한 인식도가 높을수록 영양소 섭취량이 높게 나타났다. 6. CBS-D Scale 합의 4분위 구간별 영양위험도 점수는 증가하였으며(Q1 = 2.90, Q2 = 4.31, Q3 = 3.52, Q4 = 6.52, p < 0.001), 자아존중 감 점수 합의 4분위에 따라 에너지를 포함한 대부분의 영양소 섭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특히 단백질(Q1 = 71.4, Q2 = 74.7, Q3 = 80.3, Q4 = 92.9, p < 0.05), 인(p < 0.05), 아연(p < 0.01)의 섭취량은 유의적인 수준에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노인의 영양위험도와 영양소 섭취량은 심리적 요인들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전반적으로 영양상태가 좋지 못한 노인들에서 우울과 같은 심리적, 정신적 문제들을 과소평가하거나 적절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한 경우에는 영양문제를 가속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