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ological Capitals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1초

호텔 종사원의 심리적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Psychological Capitals of Hotel Employe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s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Ownerships-)

  • 하용규;강상묵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485-495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특등급 호텔기업 종사원의 심리적자본이 심리적주인의식과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심리적주인의식이 심리적자본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심리적자본이 심리적주인의식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주인의식이 심리적자본과 조직몰입의 관계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치열한 경쟁환경 하에 경쟁우위를 위해서 호텔산업의 조직관리 측면에 심리적자본의 중요성, 심리적주인의식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관리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노인의 사회자본이 자존감과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Social Capitals Affecting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 정원철;박선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235-245
    • /
    • 2013
  •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자본이 자존감과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부산에 소재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162명을 상대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의 사회자본과 심리적 복지감에서는 공적신뢰가 높다고 인식할수록, 규범이 낮다고 인식할수록 그리고 여성 노인이 남성 노인보다 심리적 복지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사회자본과 자아존중감의 관련성에서는 공적신뢰, 공식적 네트워크, 규범이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자아존중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함의를 논의하였으며, 추후 연구과제와 연구의 한계를 논의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노인의 사회자본과 자존감 및 심리적 복지감의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요양보호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검증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s on Service Quality and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Professional Care Workers)

  • 이문재;조춘범;김정화
    • 한국노년학
    • /
    • 제39권3호
    • /
    • pp.531-548
    • /
    • 2019
  • 본 연구는 장기요양보호 현장요양보호사들의 심리적 요인과 서비스 질,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실증분석을 통해 파악하여 서비스 질 향상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안산시, 안양시, 부천시, 광명시에 소재하는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에게 총 43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미회수 및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393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심리자본은 서비스 질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긍정심리자본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직무만족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제도적 차원에서의 인적자원관리를 통한 긍정적 심리자원과 역량강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책이 요구된다. 둘째,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과 서비스 질에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인지하고 시설운영에 접목시킬 수 있는 기관 환경변화가 필요하다.

동료교수활동이 간호학과 신입생의 셀프리더십, 심리역량 및 학업만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er teaching on self-leadership, psychological capitals and learning satisfaction among nursing freshmen)

  • 정인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71-78
    • /
    • 2020
  • 본 원시실험연구의 목적은 동료교수활동이 간호학과 신입생의 셀프리더십, 심리역량 및 학업만족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30분간 12회의 동료교수활동 전후 측정된 설문조사결과를 SPSS 21로 기술통계, t-test, ANOVA와 paired t-test를 시행한 결과, 처치 전후 주관적 학교성적이 낮은 집단의 학업만족과, 토론 선호도가 보통 이하인 집단의 낙관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처치 전후 셀프리더십과 심리자본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p=.002, p=.044), 심리자본의 하위영역 중 자신감과 복원력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06, p=.015). 결론적으로 동료교수활동은 간호학과 신입생의 셀프리더십과 심리역량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간호교육과정에서 다양한 형태의 동료교수활동을 적용하는 추후 연구를 제언한다.

노인체육 활성화를 위한 노인체육지도자의 긍정심리자본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s of the Elderly Physical Director for the Activation of the Elderly Sports)

  • 손지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27-39
    • /
    • 2020
  • 본 연구는 노인체육지도자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성과와 직무열의 및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스포츠센터 및 노인체육센터 5곳의 노인체육지도자 227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노인체육지도자의 긍정심리자본은 조직성과의 모든 하위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체육지도자의 긍정심리자본은 직무열의의 모든 하위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체육지도자의 긍정심리자본은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긍정심리자본은 조직원들의 조직성과와 직무열의 및 혁신행동을 높여주는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고 긍정심리자본이 노인체육지도자의 근무환경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입증한 데 큰 의의가 있다.

독거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융복합적 요인 (Convergence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 박지선;유영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63-70
    • /
    • 2016
  •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실천대안을 모색하고자 사회환경적, 심리적, 신체적 요인 등 융복합적 요인들과 건강관련 삶의 질 간의 관련성을 구조방정식모형으로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2014년 지역사회건강 조사 대상자 중 65세 이상 1인 가구의 13,771명이다. 분석자료는 사회자본, 스트레스, 주관적 건강상태, EQ-5D이고, SPSS 23.0과 AMOS 23.0으로 분석했다. 분석결과 모형의 적합도는 CFI=.906, GFI=.955, RMSEA=.074로 양호한 수치였다. 변수 간 관련성은 독거노인의 사회자본은 스트레스 감소 및 주관적 건강상태를 높이고, 삶의 질 향상으로 이어졌다. 따라서 독거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독거노인 돌봄서비스 확대 및 이들이 참여할 수 있는 공간 마련 등 사회자본 증대를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예비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 교직에 대한 열정의 매개효과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Passion for Teaching)

  • 좌승화;이해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193-201
    • /
    • 2023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긍정심리자본이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교직에 대한 열정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예비유아교사 198명을 연구대상으로 Window용 PASW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과 교직에 대한 열정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기술통계 및 Pearson 적률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Sobel Test를 이용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 교직에 대한 열정, 교사전문성의 인식수준은 보통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긍정심리자본, 교직에 대한 열정, 교사전문성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긍정적 심리자본이 교사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매개변인인 교직에 대한 열정은 긍정심리자본과 교사전문성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사전문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접근방법에서 긍정심리자본과 교직열정이 효과적임을 규명하였고, 예비유아교사가 지녀야 할 교사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육적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을 매개로 조직동일시와 태만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the Loafing Behaviors with Job Satisfaction as a Mediator)

  • 한나영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107-122
    • /
    • 2017
  • 본 연구는 긍정심리자본(자기효능감, 낙관주의, 희망, 복원력)이 직무만족을 매개로 조직 동일시와 태만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긍정심리자본이 어떤 경로를 통해 조직 동일시, 태만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통합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부산 소재 금융업을 대상으로 공변량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실증 분석을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긍정심리자본 중 자기효능감, 희망, 복원력이 직무만족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 희망이 직무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낙관주의는 직무만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이 조직 동일시에 정(+)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직무만족이 태만행동에 부(-)의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긍정심리자본과 조직 동일시 및 태만행동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희망과 태만행동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제외하고 모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 한계점 그리고 미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