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ological Attractiveness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5초

청소년기 여학생의 심리적 특성과 또래수용이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eer Acceptance on Korean Female Adolescents' Clothing Behavior)

  • 김희창;이수경;고애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43-57
    • /
    • 2000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identify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eer acceptance on female adolescents'clothing behaviors(clothing attitudes and preference for up-to-date style), and 2)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lothing behaviors among subject groups classified by sociometric status. The questionnaires dealing with public/private self-consciousness, adolescent egocentrism, self-efficacy and clothing behaviors were adapted from precious studies. Peer acceptance was measured using Coie and Dodge(1983)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485 middle and high school girls living in Seoul, Korea. From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eer acceptance on clothing behaviors, clothing sexual attractiveness, clothing exhibition, and clothing importance were found to be influenced by public self-consciousness, adolescent egocentrism and peer acceptance. Fashion leadership and psychological dependence were influenced by egocentrism and self-efficacy. Preference for up-to-date style was influenced by egocentrism, public self-consciousness and self-efficacy. One-way ANOVA was used for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research variables among subject groups classified by sociometric status. From the reset of middle school girls it was revealed that ignored group showed the highest score in clothing importance, whereas both popular group and rejected group showed the lowest score in social self-efficacy. In high school girls, controversial group showed the highest scores in adolescent egocentrism, fashion leadership, and preference for up-to-date style.

  • PDF

커피전문점의 서비스스케이프가 관계혜택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ffee Shop Servicescapes on Relational Benefit and Revisit Intention)

  • 고선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339-347
    • /
    • 2021
  • 본 연구는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 이용객을 대상으로 서비스스케이프가 관계혜택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 보고자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서비스 스케이프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시설 매력성, 서비스 매력성, 청결성의 3가지 요인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변수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아래와 같다. 먼저 커피전문점의 서비스스케이프 중 시설매력성(가설 1-1)과 서비스 매력성(가설 1-2)은 관계혜택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채택되었다. 반면 서비스스케이프 중 청결성은 관계혜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아 기각되었다(가설 1-3). 둘째 관계혜택은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는 가설 2 는 채택되었다. 즉 직원이 편안함을 주고 특별서비스를 제공하며, 격이 없는 대화를 해줄수록 해당 매장을 다시 방문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매장에 대한 믿음, 심리적인 안정감, 고객에 대한 고려와 같은 관계혜택이 고객의 재방문을 유도하는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서비스스케이프 중 시설의 매력성과 서비스매력성은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청결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3은 부분 채택 되었다.

성인남성의 성적지향에 따른 의복행동과 심리적 특성의 관련연구 (A Study on the Clothing Behavior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Homosexual and Heterosexual Men)

  • 고애란;남미우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60-468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1)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homosexual and heterosexual men in clothing behaviors(fashion leadership, preference for up-to-date style and sexual attractiveness), lifestyle and sex-role attitudes, and 2) to investigate the relation- ships between clothing behaviors and lifestyle and sex-role attitudes. The data was collected vi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rom 183 adult men(88 homosexual, 95 heterosexual men) living in Seoul, and was analyzed by factor analysis, t-test,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wo factors of fashion leadership. were identified: fashion opinion leadership and fashion innovativeness. Four factors of lifestyle were identified: appearance awareness, self-confidence, authoritativeness, and achievement. 2. The result of t-test between homosexual and heterosexual men in clothing behavior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homosexual men showed higher scores in fashion innovativeness, fashion opinion leadership, preference for up-to-date style, and appearance awareness of lifestyle characteristics. 3. From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4 variables of clothing behaviors, appearance awareness of lifestyle characteristics wa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all the clothing behavior variables in both groups.

  • PDF

SNS 사용자 이동 영향요인 연구: SNS 피로감과 이주이론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SNS Users' Switching Behavior: In the Perspective of SNS Fatigue and Migration Theory)

  • 장은진;김정군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0권4호
    • /
    • pp.43-69
    • /
    • 2021
  • Purpose Although companies occupied the network market take the advantageous position first and can be successful in securing users over a certain size, it is important to satisfy the customers' demand and prevent the outflow of users toward a new alternative SNS. What is more, there are frequent changes in the flow of users toward new SNSs. Despite these dynamic market circumstances, there is a lack of research to explain the switching behaviors of SNS users. Design/methodology/approach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and verify a specified migration theory(Push-Pull-Mooring model) focused on SNS fatigue in the psychological point of view, as well as reviewing previous studies on functional and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SNSs themselves. Moreover, this study tried to highlight factors affecting users actual SNS switch rather than their switching intention. Findings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most influenced pull factor to switch SNS was the alternative attractiveness. On the other hand, undesired relationship burden, service innovation and important mooring factors to prevent users' SNS switch.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theory, which analyzed users' actual SNS switch, and examined SNS users' psychological factors(SNS fatigue), reviewing the characteristics of existing services. To secure more users and to keep them, companies providing social network service need to develop differentiated strategies by analyzing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various users.

이미지 기반 SNS 사용 여성의 신체감시성, 신체수치심에 따른 이미지추구행동 연구 (A Study on Image Pursuit Behavior according to Body Surveillance, Body Shame of Women using Image-Based SNS)

  • 이현옥
    • 패션비즈니스
    • /
    • 제26권5호
    • /
    • pp.22-35
    • /
    • 2022
  • This study examines the image pursuit behavior according to body surveillance, body shame of image-based SNS-used women.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15 SNS-used women aging between 20 to 30 years old. The SPSS 25.0 package was utilized for data analysis, which include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surveillance, body shame single factor, and subfactors of image pursuit behavior(conformity, instrumentality, fashion pursuit, attractiveness pursuit, ostentation pursuit, interpersonal). It was observed that body surveillance and body sham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all the factors of image pursuit behavior. Body surveillance demonstrated a high influence on attractiveness pursuit while body shame demonstrated a high influence on ostentation pursuit. Body surveillanc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body shame. These results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social media on the psychological attitude and consciousness of women with regard to their body and image pursuit behavior. In addition, results from this study will help to systematize women's theoretical physical consciousness, establish product strategies for physical appearance-related industries, and set marketing directions.

상상 접촉이 이성에 대한 호감 및 매력 지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magined Contact on Attraction to Unattractive Women)

  • 허용회;김세헌;박선웅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2권2호
    • /
    • pp.203-222
    • /
    • 2016
  • 본 연구는 상상 접촉이 외모가 매력적이지 않은 이성에 대한 호감 및 매력 지각에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지 확인하고, 그 효과가 지각자 자신의 신체적 매력 혹은 외모중시 성향에 의해 조절되는지 살펴보았다. 현재 연인 관계에 있지 않은 남성 대학생들이 실험에 참여하였고, 자신의 신체적 매력 수준과 외모중시 성향을 묻는 문항에 답하였다. 상상 접촉 조건의 참여자들은 외모가 뛰어나지 않은 초면의 이성과 직접 대화하는 장면을 상상하였고, 통제 조건의 참여자들은 대화와 관련된 맥락이 배제된 채로 외모가 뛰어나지 않은 이성에 대해 상상하였다. 이후 모든 참여자들은 신체적 매력이 다소 낮은 여성의 사진을 접한 뒤, 3개의 종속변인 문항들(호감 지각, 매력 지각, 데이트를 신청할 의향)에 답하였다. 연구 결과, 상상 접촉을 했던 참여자들은 통제 집단의 참여자들에 비해 여성에 대해 더 높은 호감을 보였고 매력 정도도 더 높게 평가하였는데, 이는 상상 접촉이 이성 관계에서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가리킨다. 이러한 상상 접촉의 효과는 참여자들의 신체적 매력의 정도에 의해 조절되지 않았지만, 외모를 얼마나 중시하는지에 의해서는 조절되었다. 구체적으로 상상 접촉의 효과는 비교적 외모를 중시하지 않는 사람들에게서는 나타난 반면 외모를 중시하는 사람들에게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상상 접촉 이론의 적용 범위를 이성 관계의 맥락으로 확장시켰다는 점, 그리고 기존 상상 접촉 연구들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개인차 변인을 고려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갖는다.

  • PDF

CSR 진정성이 구직자의 조직매력도에 미치는 영향: 가치일치성의 매개효과와 도덕적 정체성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CSR Authenticity on Organizational Attractiveness for Job seekers: Value Congruence as a Mediator and Moral Identity as a Moderator)

  • 신두은;손영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30권2호
    • /
    • pp.101-120
    • /
    • 2024
  • 기업의 역할이 확대되면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여러 조직이 CSR을 채용의 맥락에서 활용하려는 시도가 지속되고 있는 동시에, CSR 진정성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저해된 CSR 진정성은 조직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으나, 이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며, 특히나 구직 및 채용맥락에서는 더욱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나리오 설계를 통해 CSR 진정성(높은 CSR 진정성 조건, 낮은 CSR 진정성 조건, 통제조건)에 따라 조직매력도가 달라지는지를 확인하고자 했으며, 이 관계에서 가치일치성의 매개효과와 도덕적 정체성의 조절효과를 탐구하였다. 국내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높은 CSR 진정성 조건에서 가장 높은, 통제 조건에서 중간의, 낮은 CSR 진정성 조건에서 가장 낮은 조직매력도를 보였으나, 높은 CSR 진정성 조건과 통제조건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가치일치성의 매개모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가치일치성의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다음으로, 도덕적 정체성의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높은 CSR 진정성 조건과 다른 조건의 대조에서 가치일치성과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CSR 진정성을 구직 및 채용맥락에서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하며, CSR 진정성이 조직매력도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환경의식에 따른 산림생태관광객의 심리적 반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Environmental Consciousness Influences on the Psychological Reaction of Forest Ecotourists)

  • 연광호;나승화
    • 유통과학연구
    • /
    • 제10권1호
    • /
    • pp.43-52
    • /
    • 2012
  • 2011년은 유엔(UN)이 지정한 '세계 산림의 해'이다. 최근 들어 산림은 환경, 경제, 사회, 문화 등 우리 사회 제 분야에서 그 가치와 기능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에 따른 지구환경문제가 국제적인 아젠다로 부각되면서, 산림은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에 대한 유일한 흡수 원으로서 그 가치가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또한 산림은 생태관광자원의 주요한 구성요소의 하나로서 현재 생태관광객이 널리 이용하는 자원이기도 하다. 게다가 한국의 경우 국토의 60%이상을 차지하는 산림은 국민들한테 아주 좋은 생태환경을 제공함과 동시에 국민들의 생태관광지에 대한 환경보전의식도 제고를 가져왔다. 따라서 환경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보전가치가 우수한 산림생태지역을 방문하는 관광객이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함과 동시에 정부에서도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반면에 생태환경은 관광지를 개발하는 과정과 결과에서 부적절한 개발로 오히려 손상을 받게 되는 경우가 더 많으며, 생태관광객의 높은 환경의식과 엇갈려 실패를 보는 경우도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태관광객의 환경에 대한 관점이나 의식 등에 관한 연구가 미흡하여 지속가능한 생태관광개발에서 생태관광지와 관광객사이에 초점을 맞추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림생태관광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하여 산림자원을 이용한 생태관광객과 그들의 환경의식을 정의하여 관광지에 대한 매력성, 만족 및 관광 후 태도에 어떠한 영향관계가 있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서, 관광객의 입장에서 어떠한 생태관광지를 선호하는지를 파악하는데 그 중점을 두었다. 연구결과 산림생태관광객의 높은 자연보호의식은 관광지 매력성, 만족 및 관광 후 태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되었고 환경오염의식은 관광지 매력성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에 따라 우리는 지속적인 생태관광지 개발과 생태관광 프로그램을 작성함에 있어서 관광객의 자연보호의식 전환 및 생태관광객의 심리적 반응을 중심으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 PDF

음성 기반 심리상담 에이전트의 활용 가능성 탐색 연구 (Exploring the Applicability of Voice-based Psychological Counseling Agent)

  • 김지근;양현정;이지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144-15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상담 및 심리치료 분야에서 대화형 에이전트의 활용이 증가하는 가운데, 음성 기반 심리상담 에이전트 설계 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 심리상담 맥락에서 음성 기반 대화형 에이전트를 구현하여, 20~30대 성인 남녀 48명을 대상으로 상담 대화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4가지 유형의 에이전트 목소리(청년여성, 청년남성, 중년여성, 중년남성) 중 선호하는 목소리를 선택한 후 대화하였으며, 목소리 선택에 대한 이유, 기분 변화, 에이전트의 특성에 대한 지각, 상담 성과 등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사용자 성별에 따른 에이전트의 목소리 유형 선택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목소리 선택 이유로 '편안함'이 가장 많이 언급됨으로써, 심리상담 에이전트에게 요구되는 목소리 특성이 탐색되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에이전트와의 대화 후, 기분이 유의미하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심리상담 에이전트의 개입 효과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심리상담 에이전트에게 지각하는 특성 중, 전문성과 호감이 상담 성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데 중요한 요소임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심리상담 에이전트의 활용 가능성과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근린 놀이환경 적합도 및 요인 평가에 관한 연구 - 서울의 초등학생 부모 대상 설문조사결과를 중심으로 - (Assessment of the Suitability and the Factors of Play Environments in Residential Neighborhood - Based on a Citywide Survey of Elementary School Parents in Seoul -)

  • 박진희;김준형;박현진;박소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3호
    • /
    • pp.41-48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al factors relating to children's outdoor play and to assess how the residential neighborhood is suitable for play in the perception of parents. Based on a citywide survey of 500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s 1-4 in Seoul, this empirical study shows that children's outdoor play environments in residential neighborhoods of Seoul have been observed to be overall unsuitable for play activity. Three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spatial availability, neighborhood attractiveness, and street difficulties) and three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fear of crime, social interactions, and psychological comfort) are related to children's play activity. Five factors, with the exception of the psychological comfort factor, impact the suitability of children's outdoor play environment. Specifically, it is the physical environment, rather than the social environment, that was deemed unsuitable in spite of its impacts. These findings help us understand the current conditions of neighborhood play environments associated with children's play activity. It is necessary to improve parents' perceptions of the play environment and children's play activities by improving the physical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