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oanalysis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1초

중국 신문학 초기의 프로이드 정신분석학 수용 - 루쉰(魯迅)과 궈모뤄(郭沫若)의 프로이드 정신분석학 이론 수용을 중심으로 (The modern Chinese literature and Freudian psychoanalysis - Focuing acceptance of the Freud's theory psychoanalysis on Lu xun and Guo Mo ruo)

  • 고혜경
    • 비교문화연구
    • /
    • 제37권
    • /
    • pp.81-107
    • /
    • 2014
  • Freud's' discovery of the unconscious' is a great revolution. Because of this, human beings were able to get the opportunity to look into their inner than honest. Lu Xun and Guo Mo Ruo a pair of realism and romanticism literature representative of Chinese modern literature writers. They then absorb the psychoanalytic theory o Freud along with other Western zeitgeist, introduce them widely inliterary theory and creative practice, which was again. Lu Xun was reflected in the human world of the unconscious Freud uncovered on the basis of strict realism literary spirit, Guo Mo Ruo is in accordance with the romantic literary time for the purpose of 'art for art' depicting a man's inner psychological well did. Although Freud spirit they claim to social and literary artistry of literature based on different yarns in the Acceptance of analytical theory,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common sentiment analysis method to express and describe the unconscious human potential. 5.4 When Lu Xun and Guo Mo Ruo China Journalism writers, including Freud's psychoanalytic theory has embraced the Enlightenment and the old feudal society was a major contribution to want to read exactly what the human inner hearing. Chinese modern literature writers have to accept sometimes positive, sometimes accepting the psychoanalytic theory was intellectually sharp criticism, which could be a great instrument in time to the 5.4 Enlightenment and psychological fiction novel further development.

프로이트 정신분석을 적용한 상담과정과 상담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unseling Process and Counseling Techniques Applying Freud's Psychoanalysis)

  • 이평화;김보기
    • 산업진흥연구
    • /
    • 제7권2호
    • /
    • pp.51-58
    • /
    • 2022
  • 본 연구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에 기반을 두고 이를 적용한 정신분석상담을 실제를 다루고자 한다. 특히 상담과정과 상담기법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담과정은 내담자를 선정하고 상담상황을 구성하면, 다음과 같이 시작, 전이발달, 훈습, 전이해결의 4단계를 거친다. 시작단계에서는 내담자의 중요한 과거 역사에 대하여 청취한다. 전이발달 단계에서는 전이가 나타나는 시기부터이다. 훈습단계는 내담자가 통찰한 것을 실제 생활로 옮겨서 변화를 일으키는 단계이다. 전이해결 단계는 전이분석과 해석이 종결되는 시기다. 상담기법은 자유연상, 공감, 저항, 전이와 역전이, 해석 등이 있다. 자유연상(free association)은 정신분석적 치료의 핵심 기법이고, 분석적 틀을 유지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공감은 치료자 자신을 내담자와 동일시하고 치료자의 공감적인 경험을 내담자에게 전달하는 능력은 그 자체로 변화의 핵심적인 기제이다. 저항이란 내담자가 상담에 협조하지 않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전이와 역전이는 정신분석의 주요한 기법이다. 왜냐하면 정신분석자는 치료과정에서 내담자로 하여금 전이를 유도하고 전이를 해결하는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해석이란 내담자의 사고나 감정, 행동의 이면에 감추어진 욕구나 의미, 동기 등을 파악해서 이런 것을 내담자가 깨닫도록 하기 위해 언어적으로 대응하는 기법을 말한다. 결론적으로 정신분석상담의 상담과정은 내담자를 선정하고 상담상황을 구성하여 효과적인 상담을 시행하고자 함을 말한다. 또한 상담기법에서 정신분석의 원리는 사례의 성질에 따라 다양하게 변하는 치료절차에 적용되며, 동일한 내담자를 치료하는 동안에도 가변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시니피앙과 라캉 정신분석 반복과 반영의 나르시시즘 (Signifiant and Lacan Psychoanalysis Narcissism of Repetition and Reflection)

  • 이동석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75-83
    • /
    • 2021
  • 본 연구는 라캉 정신분석에서 절대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시니피앙(기표)의 의미를 분석해보고, 시니피앙이 주체를 통해 발화됨과 동시에 그 사후성으로 동반하는 의미와 의미작용의 미끄러짐을 증명할 것이다. 라캉이 그의 세미나와 '에크리'에서 시니피앙을 설명한 부분을 직접 인용하여 시니피앙이 일상대화에서 어떻게 이루어지는 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우리의 담화에서 일어나는 대화는 시니피앙이 가지는 목적성과 근거 없는 무목적성을 지니고 있다. 이것은 나르시시적이고 강박적인 자기 반복과 끓임 없는 자기반영을 통한 가장 안정된 장소로의 회귀를 목적으로 하는 자기폐하로서의 위치를 유지하려고 한다. 이러한 목적을 파악하는 것이 라캉 정신분석이 지향하고자 하는 핵심적인 부분이며, 시니피앙(기표)과 다음에 연결되는 시니피앙과의 관계 속에서 숨겨진 의미의 균열을 발견하고, 주체의 끓임없는 환상을 불러일으키는 시니피앙이 신체와 정신의 실제적인 지배자인 것을 제시할 것이다. 본 연구는 위의 논점을 제시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이 있으며, 담화 속의 지배자인 시니피앙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타자에 대한 끓임 없는 저항을 통해 라캉 정신분석이 지향하는 "그곳이 있던 곳에 그곳에 도래해야 하는 이유"를 저항하는 주체로서의 자율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무의식의 주체와 이미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bject of Unconscious and Image)

  • 최원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1134-1140
    • /
    • 2014
  • The history of mankind has been together with the history of image because image provides with excellent information as a communication means. However, this study argues that there is more underlying cause for it. A subject is the subject of unconscious and the role of image is huge in the process toward the subject. Of course, image has been dealt in-depth in psychoanalysis. Film study also applied psychoanalysis on it. However, they were not the approach from the viewpoint with image in the center. Accordingly, this study will verify the image toward the subject and the absoluteness of imag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image intervened deeply in the formation of the subject much higher than the level of simple communication. Since image communicates with the subject on more underlying level, the subject have been always entangled with image and men have delved in image and been attracted to it.

아동상담자의 윤리적 실천행동 관련변인으로서 교육훈련배경 (The Education/training Background as a Variable Related Ethical Behaviors of Child Counselors)

  • 유재령;김광웅
    • 아동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33-153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education and training as variables related to ethical behaviors of child counselors. The four sub-variables of this study included main educational/training background (academic career, major in last degree, and treatment modality), source of education in ethics, experience of educational psychoanalysis, and experience of supervision. The 136 child counselor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were administered the Inventory for Ethical Behaviors of Child Counselors (Yoo & Kim, 2(06).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Cronbach's a, t-test, one 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main educational/training background (academic career, major in last degree, and treatment modality), experience of educational psychoanalysis, and experience of supervision were significant variables related to ethical behaviors of child counselors.

  • PDF

심미적 경험으로서의 언캐니 (Uncanny as Aesthetic Experience)

  • 이주은
    • 정신분석
    • /
    • 제28권3호
    • /
    • pp.69-75
    • /
    • 2017
  • This paper interprets the work of Hans Bellmer, who took pictures after making a doll and distorting its form, and Diane Arbus, who took documentary photographs of unusual and marginalized people, as uncanny anxiety referred to by Freud. Through these two photographers' works, this paper examined how anxiety was used as an aesthetic strategy, and discussed the uncanny as an aesthetic experience. Uncanny refers to the phenomenon of familiar things being repressed and returning to their original place, or the phenomenon of familiarity being alienated due to repression. The aesthetic strategy of uncanny is used to bring a blind spot in reality that can be easily missed with an ordinary vision into the fore, by allowing for the slight shock to an appreciator. The ultimate goal of uncanny aesthetics is to promote both inner and external changes as well as to expand the scope of imagination, through freely crossing the borders betwee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sympathy and antipathy, and reality and fiction.

증례 '금지된 언어와 침묵을 넘어서'를 통해 본 정신신체화 환자와의 소통 (Communication with Psychosomatic Patient: With a Clinical Vignette "When Words Are Unspeakable: A Bridge Beyond the Silence")

  • 장은진
    • 정신분석
    • /
    • 제29권4호
    • /
    • pp.72-82
    • /
    • 2018
  • What should a therapist do if the patient has lost the ability to speak in sessions? How should the therapist understand and approach this 'deadly silence'? Psychosomatic patients have poor ability to mentalize their experience, so they create a 'shunt' from emotional experience to body bypassing symbolic sphere. This makes psychosomatic patients vulnerable to expressing their emotions in words. With the case vignette 'When words are unspeakable: a bridge beyond the silence' written by Wirth in a book "From soma to symbol" we observe how psychosomatic pathology arises, from inappropriate mirroring and poor containment; and how this escalates into a vicious cycle of sin and punishment in the patient's conscience. This conscience scenario imprisons a talented and creative mind in a dark, silent place, wherein symbols and words are forbidden. This seemingly impossible task of providing silent patients with a 'talking cure' finds breakthrough with containment, and transformative thinking using therapists' reveries.

영화의 시각효과와 정신분석의 관계성 연구 -장 뤽 고다르의 <경멸_Le Méris>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film's visual effects and psychoanalysis -Focusing on Jean-Luc Godard's Le Méris-)

  • 김석원;김성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0호
    • /
    • pp.409-418
    • /
    • 2020
  • 본 연구는 영화의 시각효과와 정신분석의 관계성을 장뤽 고다르의 <경멸(Le Méris), 1963>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고다르는 <경멸>에서 영화 제작에 참여하는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소통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통역자를 설정했다. 하지만 통역자의 역할은 있지만 정확한 의사소통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고다르의 의도는 관객이 단순히 영화를 바라보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영화의 내용에 적극적으로 참가라는 것을 바라고 있다. 이 연구의 의미는 프로이드와 라캉의 정신분석에 대한 이론을 토대로 장뤽 고다르의 영화 <경멸>에 참여했던 영화 제작자, 감독, 작가, 배우들과의 관계, 그리고 영화에서 보이지 않는 참여자들의 갈등 관계를 감독은 어떤 방식으로 시각적으로 재현했는지 분석한 것에 의미를 두고자 한다.

꿈 시퀀스 이미지에 대한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적 연구 (데이빗 린치의 영화 "멀홀랜드 드라이브(2001)" 를 중심으로) (A study of dream sequence in Freud's Psychoanalysis (Focusing on the David lynch's film "Mulholland Drive (2001)))

  • 이태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2호
    • /
    • pp.433-439
    • /
    • 2016
  • 지난 백년간 많은 영화가 꿈의 강박관념과 억압된 소망에 대한 충족을 표현하는데 급급하여 프로이드의 주장처럼 마음 속 깊이 은폐되어 있던 무의식속 욕망이 위장된 형식을 통해 드러나며 희망의 실현을 추구하는 실제 꿈의 형식과 같이 표현되어 온 영화는 극히 드물었다. 특유의 난해함과 몽환적인 구조와 스토리로 잘 알려진 명장데이빗 린치 감독은 그의 대표적인 영화 "멀홀랜드 드라이브(2001)"에서 꿈의 이미지 프레젠테이션 과정과 형식을 보다 더 꿈과 같은 몽환적인 느낌으로 표현하는데 성공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낯설게 묘사된 그의 영화 구조를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 연구를 토대로 비교분석하여 그가 어떻게 리얼하게 꿈을 표현했는지를 분석하려한다. 통념적으로 꿈의 세계는 완전히 시각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사실 사물에 대한 느낌이 가장 관건이며 이것이 바로 꿈의 세계에서 우리에게 현실과 같은 사실적인 체험을 제공해줄 수 있는 핵심적인 이유임을 보다 더 리얼하게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