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손병덕 외(2019). 「인강행동과 사회환경」. 서울: 학지사.
|
2 |
이장호 외(2009). 「상담심리학의 기초」. 서울: 학지사.
|
3 |
노안영(2018).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
4 |
정서영 외(2018). 「상담심리학」. 경기: 양성원.
|
5 |
한미희(2013). 「상담이론과 실제」. 충남: 남서울대학교출판국.
|
6 |
Corey, G.(2020).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0th ed.). Cengage Learning.
|
7 |
Arlow, J. A.(1989). Psychoanalysis. In R. J. Corsini (Ed.). Current psychotherapies. Itasca. IL: Peacock : 19-64.
|
8 |
Gladding, S. T.(2005). Counseling theories: Essential consepts and applications. Upper
|
9 |
김보기 외(2019).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경기: 양성원.
|
10 |
강진령(2013). 「상담과 심리치료」. 경기: 양서원.
|
11 |
김영철 외(202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서울: 박영사.
|
12 |
김충기.강봉규(2003). 「현대상담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
13 |
강진령(2021). 「상담이론과 실제의 이해」. 경기: 양서원.
|
14 |
Neukrug, E. S.(2010). Counseling Theory and Practice. Brooks Cole.
|
15 |
김헌수.김태호(2006). 「상담의 이론과 실제」. 서울: 태영출판사.
|
16 |
임상록 외(2012). 「상담의 이론과 실제」. 서울: 파란마음.
|
17 |
김계현 외(2016). 「상담학개론」. 서울: 학지사.
|
18 |
장성화 외(2016). 「상담의 이론과 실제」. 경기: 정민사.
|
19 |
Freud, S.(1949). An outline of psychoanalysis. New York: Norton & Company.
|
20 |
Nye, R, D. (2000). Three psychoanalysis. Pacific Grove, CA: Brooks/Col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