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iatric facility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9초

정신의료기관 보호실 대상 해외 가이드라인 비교분석 연구 (Comparative Analysis of Overseas Guidelines for Seclusion Room of Psychiatric Facilities)

  • 이승지;윤선영;여소연;박도희;백진희;김성현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9권2호
    • /
    • pp.7-16
    • /
    • 2023
  • Purpose: Seclusion room in a psychiatric facility limit the body and space for treatment or protection, so controversy over human rights violations arises despite their necessity. The seclusion room should be created as an environment that can promote the recovery and healing of patients, not the purpose of managing patients. while ensuring the safety of medical staff.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standards of overseas guidelines for the seclusion room in psychiatric facility, and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facility standards for seclusion rooms in Korea, which are at a very insufficient level. Method: This study takes the method of comparative analysis through literature review. We analyze the facility standards of seclusion room in Korea, and compare and analyze guidelines for seclusion rooms in Australia, US, UK, and Canada. Result: As a result, the elements of the guideline for seclusion room were classified into size, space, opening, furniture and equipment, and etc.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of details are presented. Implications: Korea should also prepare guidelines for psychiatric institutions, and among them, the standards for seclusion room, which are at the center of controversy over human rights violations, should be reviewed in depth.

우리나라 정신병원 병동부에 관한 건축 계획적 연구 I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the Ward in Mental Hospital I)

  • 주성철;김선국;김광문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3권4호
    • /
    • pp.7-16
    • /
    • 1997
  • Mental hospital has been expanding its function to psychiatric treatment in the meaning of therapy. Therefore systematic research on thr mental hospital is urgent. This study aims to prepare the basic data which are needed on planning and designing the mental hospital with emphasis on the wards, which take the largest area ratio and play a principal role to psychiatric patients. The process of study is to 1) to survey facility of Mental hospital in Korea, 2) to analize charactor and behavior of psychiatric patients 3) to suggest element of ideal ward in general hospital.

  • PDF

부산광역시 정신의료기관 적정성 평가지표 실태 (Status of Medical Care Psychiatric Quality Assesment in Busan)

  • 김수정;박재홍;김성민;조경원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03-113
    • /
    • 2018
  • Objectives: The study aimed to compare the indicators of infrastructure of the whole country with those of Busan through National Medical Care Psychiatric (hospital level) Quality Assesment and to provide the basic evidence for presenting vision and strategies of mental health policy. Methods: National Medical Care Psychiatric (hospital level) Quality Assesment Data was used from 2011 to 2015. A total of 8 indicators were analyzed including facility and workforce. Results: The median value of the capacity per ward was decreasing with years both whole country and Busan. The number of beds out of total inpatient occupancy was improved over the years. There was no clear change in the number of inpatients per toilet in the hospitalized ward, but the indicator was decreasing obviously. Therefore, the median value of whole country and Busan was same with 10.2 in 2015. Conclusions: We confirmed that indicators for infrastructure were improving in a generally positive change over the years. The infrastructure is related to the patient-centered treatment environment, and the workforce is related to the quality of care. Therefore, the structural area should be continuously evaluated and improved.

농촌의 보건의료문제 해결을 위한 원격보건 : 미국과 한국의 경험 (Telehealth for Rural Health Problems: Experiences in The U.S.A and Korea)

  • 이원재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88-202
    • /
    • 1996
  • Telehealth is widely tested in the U.S.A and other developed countries. This system is expected to solve rural health problems reducing professional isolation. Some demonstration projects showed that the system can provide quality care in reasonable prices to rural residents. However, few study has been done on whether telehealth system can attract physicians by reducing professional isolation. The system is not available to most of the rural hospitals because the price for the equipment and telephone charges are not low enough. It is promising that the system cost and telephone charges are decreasing gradually. As time passes, rural hospitals will be more viable for the system. Satisfaction of the physicians and patients is a key factor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The physicians need to understand more about telecommunication and computer systems. After physicians are well-versed about the system, we can expect wide use of telehealth in rural areas. Effort for the confidentiality and standardization should be devoted to assure patient's privacy and compatibility of patient records and exam results. In Korea, two projects are being operated in Uljin and Kurye. A study evaluated the economic efficiency of the projects suggesting that increase of the number of patients up to three times of current number or decrease in hardware costs and telecommunication charges into two thirds of the current costs. The hardware and telecommunication charges are decreasing. Another area telehealth system can be applied is psychiatric accommodation facilities. Establishment of telehealth in the psychiatric facilities will increase the access of psychiatric care for patients and is expected to be economically efficient.

  • PDF

정신보건시설인증제에서 요구되는 시설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 의료기관평가인증원의 정신의료기관평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Environmental Quality required in the Accreditation Program for Mental Health Facilities - Focus on the Mental Institutions Assessment of KOIHA)

  • 정희분;김억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57-66
    • /
    • 2016
  • Purpose: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in the future our society is expected to face with gradually increasing problems related to mental health and the demand for the various types of quality mental health facilities.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accreditation of Mental health facilities serves as a building evaluation tool, and contribute to environmental welfare of the mentally ill. Methods: The facility assessment items related to architectural design are extracted through the analysis about the accreditation program of KOIHA. Extracted items should review if they comply with the relevant regulations, and establish building design standard. Results: This study shows that the accreditation of KOIHA can certify psychiatric hospitals meet the legal requirements, the minimum standard of facilities. But it is not the evaluation of environmental quality. It is difficult to assess the quality of facility in terms of architectural design, because it has no specific standards or the level of assessment. Implications: The accreditation for mental health facilities should be able to provide the right and opportunity to choose a more quality facility for the customer. The introduction of a certification system for the evaluation of environmental quality is required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accreditation of KOIHA. Development of design guidelines for mental health facilities that are the basis for certification should be also followed.

산과 의사가 인지한 10대 임신의 현황, 예방, 정신과 자문 (OBSTETRICIAN'S VIEW OF TEENAGE PREGNANCY:PRESENT STATUS, PREVENTION AND PSYCHIATRIC CONSULTATION)

  • 김은영;김붕년;홍강의;이영식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3권1호
    • /
    • pp.117-128
    • /
    • 2002
  • 목 적:10대 임신의 보다 정확한 역학적 접근을 위한 일련의 연구의 첫 단계로, 우선 의료 일선에서 10대 산모를 돌보고 있는 산부인과 전문의들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이 현장에서 인지하고 있는 10대 임신의 현황과 문제점 및 정신과 자문에 대해 파악코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10대 임신의 빈도, 특성, 출산과 중절의 결정과정, 산모 및 신생아의 산부인과적, 정신과적 문제점, 정신과 자문 필요성을 중심으로 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작성하여 전국 2800명의 산부인과 전문의에게 우편으로 배포한 후 회수된 34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 과:(1) 10대 임신의 빈도는 약간 증가한다는 추세였으며, 10대 임신모가 처음 병원을 방문하는 시기는 임신초기와 중기가 가장 많았으며, (2) 임신의 원인으로는 강압적이나 난잡한 성 관계보다는 지속적인 성 관계 에 의한 우발적 임신이 가장 많았다. (3) 출산하게 된 원인은 임신중절시기를 놓쳐서가 가장 많았다. (4) 10대 임신모의 정신심리학적 문제로는 지능저하나 성폭행피해 보다는 성 지식의 부재나 비행소녀가 많았다. (5) 10대 임신모에 대한 상담 역할은 대부분 산부인과 의사 본인이 담당하였고 정신과전문의나 전문 상담인력과 연계하는 일은 비교적 드물었다. 대부분 정신과 자문의뢰 필요성은 느끼나 ‘보호자나 환자의 거부’때문에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하였다. (6) 10대 임신에 관한 가장 절실한 예방대책으로는 피임교육이라고 응답하였다. 결 론: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추후 10대 임신모를 대상으로 한 체계화된 면담기법을 이용하여, 10대임신의 위험요인을 분명히 하고, 이들의 사회적응에 관련된 정신과적인 접근방안과 나아가 10대 임신의 예방방안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가 산과의사와 연계하에 이루어져야 되리라 본다.고 지능 수치가 상대적으로 낮아 학습 및 학교 생활 적응에 어려움이 더 많을 것이므로 적극적인 치료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모두 능력의 향상을 보였으나, 간섭이 있는 주의력 검사에서는 산소흡입군만이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 또한 처치 전후의 변화율((치료후값-치료전값)/치료전값 *100)을 계산하여, 산소군과 공기군 간의 통계적 유의성을 평가한 결과, 공기 흡입군에 비해 산소흡입군이 스트룹 검사의 간섭시행, 그리고, 선로잇기검사의 B부분의 수행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산소흡입이 전두엽의 수행능력과 관련된 주의력의 호전에 보다 유의한 기여를 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2) 기억능력평가:16가지의 기억능력 평가 도구 소척도값 중에서, 산소흡입군은 흡입 전에 비해 11개의 소검사 항목들에서 보다 우수한 수행을 보여 주었고, 공기흡입군은 7개 영역에서 유의한 호전이 있었다. 처치전후의 각 소척도 값의 변화율을 계산하여, 산소군과 공기군 간의 통계적 유의성을 평가한 결과, 단기기억소척도의 점수에서만, 두 군간에 유의한 통계적 차이가 발견되었다. 결 론:주의력과 기억능력에 미치는 산소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대조군비교-이중맹검 임상실험을 실시하여, 반복검사로 인한 효과, 위약효과 등을 배제하였다. 그 결과 양쪽 검사 모두에서 어느 정도의 반복검사 및 위약효과가 확인되었으나, 주의력에서는 전두엽의 실행능력(executive function)과 관련되는 검사들에서 산소흡입이 특이한 효과를 보여준다는 것이 확인되었고, 기억능력에서는 단기기억능력 평가에서 산소흡입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한 효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산소흡입이 전두엽과 관련된 수행능력, 작동기억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생각된다.증 1명(5%)이었다.

  • PDF

화상 정도 및 CAPS 점수에 따른 타액 코티졸의 변화 양상 비교 (Comparison of the Pattern of Changes in Salivary Cortisol by Degree of Burn and CAPS Score)

  • 김진나;김지욱;최인근;전욱;서정훈;김경자;이병철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93-98
    • /
    • 2012
  • Objective : Cortisol, a product of hypothalamus-pituitary-adrenal axis (HPA axis), is one of our defensive mechanisms in response to stress. The level of cortisol in the saliva is a major biomarker of the stress response by HPA axis and shows diurnal variation. We measured salivary cortisol level and its diurnal variation to compare the pattern of changes by degree of burn and Clinician-Administered PTSD Scale (CAPS) score. Methods : We measured the salivary cortisol levels of 37 subjects hospitalized in the burn center at our facility from March to June 2012. Salivary cortisol levels were measured at 6 : 00 AM and at 7 : 00 PM. All subjects were tested for CAPS to evaluate the severity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the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to evaluate and to control the coexisting depression. Results : Factorial ANOVA test reveal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degree of burn and the patient's CAPS score. Unlike the mild burn group, in the severe burn group, the patients who had a low CAPS score didn't show a normal diurnal variation and the patients who had a high CAPS score showed the normal diurnal variation. After a few months follow up, we found a greater degree of psychiatric complications in severe burn patients that had a lower cortisol stress response. Conclusion : We suppose that the disappearance of the stress response changes in salivary cortisol seen in the severe burn group may be caused by an impaired stress response. Through followed observation of the subjects, this disruption of cortisol response may cause psychiatric problems afterwards.

정신장애인 정신재활시설의 직업재활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 -직업재활실무자의 초점집단인터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rategic Plan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in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Based on the Focus Group Interview(FGI)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Practitioners)

  • 최희철;배은미;신숙경;박동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0호
    • /
    • pp.479-490
    • /
    • 2020
  • 본 연구는 정신재활시설에서 진행하고 있는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서비스에 대해 정신재활시설의 직업재활 실무자들은 어떠한 인식을 갖고 있는지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정신장애인 직업재활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정신재활시설에서 제공하는 직업재활서비스와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였고, 직업재활을 담당하고 있는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초점집단인터뷰(FGI)를 실시하고, 이 자료를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신재활시설에서 직업재활서비스의 정체성을 찾도록 매뉴얼과 지침의 정비가 요구되었으며, 직업재활서비스에 참여하는 근로자에게 맞는 세부적인 기준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타 장애인과 동등하고, 정신장애인의 특성에 맞는 직업재활서비스의 운영을 기대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직업재활서비스의 구체적인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Fear of COVID-19 and Its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Egyptian Physicians

  • Abd-Ellatif, Eman E.;Anwar, Manal M.;AlJifri, Abobakr A.;Dalatony, Mervat M. El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2권4호
    • /
    • pp.490-495
    • /
    • 2021
  • Introduction: The risk of experiencing psychiatric symptoms related to the COVID-19 pandemic is high among healthcare workers whose occupations are in public health, emergency medicine, and intensive or critical care. Materials and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aimed to assess the prevalence of fear of COVID-19 among 411 frontline Egyptian physician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dentify determinants and predictors for fear of COVID-19; determine the impact of fear of COVID-19 on job satisfaction; and detect the impact of fear of COVID-19 on turnover intention. Three standardized scales (fear of COVID-19,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scores)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via online Google Form. Results: Regarding fear relating to the COVID-19 pandemic, 16.5% of the study subjects were classified as experiencing a severe fear level, while 78.1% experienced a moderate degree.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 level of fear relating to COVID-19 and the work department. The highest degree of fear is in a general-educational-university facility. Regarding job satisfaction, 42% of those having a severe level of fear are dissatisfied. Fear of COVID-19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job satisfaction while positively significant correlated with turnover scores, a positive significant predictor of turnover intention. Job satisfaction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urnover intention; a negative significant predictor of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s: Frontline Egyptian physicians reported higher levels of fear relating to the COVID-19 pandemic (moderate to severe). Increased fear levels relating to COVID-19 have a relationship with lower levels of job satisfaction and higher levels of job turnover.

일부 공공보건기관 방문보건요원의 교육요구도 조사 (Education Need of the Visit ing Health Service Workers in Gwangju and Jeollanam-do Public Health Facilities)

  • 김영락;김신월;정은경;최진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7권1호
    • /
    • pp.51-64
    • /
    • 2002
  • 전라남도의 무작위 추출된 10개 시 군과 광주광역시 5개 구의 방문보건사업 담당직원 200명 중 우편설문조사에 응답한 14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방문보건 사업과 관련된 교육훈련경험 여부와 만족도, 응답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한 방문보건서비스 관리 지식 정도 그리고 향후 방문보건사업에 필요한 교육훈련에 대한 요구도에 대해 조사하여 향후 방문보건요원의 교육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 중 3년 동안 한가지 이상의 중앙교육 훈련 경험자는 43명(29.9%), 광역자치단체의 교육훈련 경험자는 57명(39.6%),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의 교육훈련 경험자는 53명(36.8%) 등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를 점수화 한 결과 중앙 교육($2.38{\pm}0.57$)이 광역자치단체 교육($2.18{\pm}0.57$)과 기초자치단체 교육($2.13{\pm}0.54$)보다 높았다. 2. 조사대상자의 방문보건서비스 관리 지식 정도는 환자 및 질병관리 영역 중 투약 및 검사, 상처 및 욕창 관리, 환자 개인위생, 고혈압환자 관리, 당뇨환자 관리, 관절염환자 관리 그리고 전염성질환자 관리, 고위험 가족 및 가정환경 관리 영역 중 환경위생 관리, 안전 및 사고 관리 그리고 감염관리, 건강증진관리 영역이 5점 만점에 평균 3점 이상이었으며, 재활 및 요양 영역은 전반적으로 평균 3점 이하의 점수를 보였다. 3. 조사대상자의 방문보건서비스 관리 지식 정도는 간호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는 경우 높았으며, 중앙 교육 중 노인보건, 재활 등 실무영역과 정신보건전문간호사, 광역자치단체 교육 중 보건진료원보수교육, 정신 보건교육, 그리고 기초자치단체 교육의 건강증진영역, 노인보건, 재활 등 실무영역, 정신보건영역과 급성질환 관리영역에 대한 교육훈련 경험이 있는 경우 높았다. 4. 조사대상자의 교육내용에 대한 요구도는 노인건강 관리과정이 가장 높았고, 최근 업무가 새롭게 추진되고 있는 노인보건, 호스피스, 치매노인관리, 재활, 건강증진 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방문보건사업 업무별로는 방문보건사업전반이 가장 높았고 방문보건사업에서 실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야가 교육의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방법으로는 공무원 집단교육(47.0%)을, 교육전담 주체는 광역자치단체 (30.4%)를, 교육방식은 실습(57.7%)을, 교육횟수는 년 2-3회(44.5%)를, 교육기간은 3-5일(41.0%)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지역사회 주민에게 효과적인 방문보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방문보건사업에 대한 지식 정도를 높일 수 있는 교육훈련의 기회를 확대하고 방문보건요원의 교육요구도에 근거하여 교육훈련을 개선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