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STETRICIAN'S VIEW OF TEENAGE PREGNANCY:PRESENT STATUS, PREVENTION AND PSYCHIATRIC CONSULTATION

산과 의사가 인지한 10대 임신의 현황, 예방, 정신과 자문

  • Kim, Eun-Young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ChungAng University) ;
  • Kim, Boong-Nyun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Hong, Kang-E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Young-Sik (Department of Psychiatry, College of Medicine, ChungAng University)
  • 김은영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김붕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홍강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이영식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2002.12.31

Abstract

Objectives:For the purpose of obtaining the more vivid present status and prevention program of teenage pregnancy, this survey was done by Obstetricians, as study subject, who manage the pregnant teenager in real clinical situation. Methods:Structured survey form about teenage pregnancy was sent to 2,800 obstetricians. That form contained frequency, characteristics, decision making processes, and psychiatric aspects of the teenage pregnancy. 349 obstetricians replied that survey form and we analysed these datas. Results:(1) The trend of teenage pregnancy was mildly increased. (2) The most common cases were unwanted pregnancy by continuing sexual relationship with boyfriends rather than by forced, accidental sexual relationship with multiple partners. (3) The most common reason of labor was loss the time of artificial abotion. (4) Problems of pregnant girls' were conduct behaviors and poor informations about contraception rather than sexual abuse or mental retardation. (5) Most obstetricians percepted the necessity of psychiatric consultation, however psychiatric consultation was rare due to parents refusal and abscense of available psychiatric facility. (6) For the prevention of teenage pregnancy, the most important thing was practical education about contraception. Conclusions: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further study using structured interview schedule with pregnant girl is needed for the detecting risk factor of teenage pregnancy and effective systematic approach to pregnant girl.

목 적:10대 임신의 보다 정확한 역학적 접근을 위한 일련의 연구의 첫 단계로, 우선 의료 일선에서 10대 산모를 돌보고 있는 산부인과 전문의들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이 현장에서 인지하고 있는 10대 임신의 현황과 문제점 및 정신과 자문에 대해 파악코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10대 임신의 빈도, 특성, 출산과 중절의 결정과정, 산모 및 신생아의 산부인과적, 정신과적 문제점, 정신과 자문 필요성을 중심으로 한 구조화된 설문지를 작성하여 전국 2800명의 산부인과 전문의에게 우편으로 배포한 후 회수된 34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 과:(1) 10대 임신의 빈도는 약간 증가한다는 추세였으며, 10대 임신모가 처음 병원을 방문하는 시기는 임신초기와 중기가 가장 많았으며, (2) 임신의 원인으로는 강압적이나 난잡한 성 관계보다는 지속적인 성 관계 에 의한 우발적 임신이 가장 많았다. (3) 출산하게 된 원인은 임신중절시기를 놓쳐서가 가장 많았다. (4) 10대 임신모의 정신심리학적 문제로는 지능저하나 성폭행피해 보다는 성 지식의 부재나 비행소녀가 많았다. (5) 10대 임신모에 대한 상담 역할은 대부분 산부인과 의사 본인이 담당하였고 정신과전문의나 전문 상담인력과 연계하는 일은 비교적 드물었다. 대부분 정신과 자문의뢰 필요성은 느끼나 ‘보호자나 환자의 거부’때문에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하였다. (6) 10대 임신에 관한 가장 절실한 예방대책으로는 피임교육이라고 응답하였다. 결 론: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추후 10대 임신모를 대상으로 한 체계화된 면담기법을 이용하여, 10대임신의 위험요인을 분명히 하고, 이들의 사회적응에 관련된 정신과적인 접근방안과 나아가 10대 임신의 예방방안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가 산과의사와 연계하에 이루어져야 되리라 본다.고 지능 수치가 상대적으로 낮아 학습 및 학교 생활 적응에 어려움이 더 많을 것이므로 적극적인 치료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모두 능력의 향상을 보였으나, 간섭이 있는 주의력 검사에서는 산소흡입군만이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 또한 처치 전후의 변화율((치료후값-치료전값)/치료전값 *100)을 계산하여, 산소군과 공기군 간의 통계적 유의성을 평가한 결과, 공기 흡입군에 비해 산소흡입군이 스트룹 검사의 간섭시행, 그리고, 선로잇기검사의 B부분의 수행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산소흡입이 전두엽의 수행능력과 관련된 주의력의 호전에 보다 유의한 기여를 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2) 기억능력평가:16가지의 기억능력 평가 도구 소척도값 중에서, 산소흡입군은 흡입 전에 비해 11개의 소검사 항목들에서 보다 우수한 수행을 보여 주었고, 공기흡입군은 7개 영역에서 유의한 호전이 있었다. 처치전후의 각 소척도 값의 변화율을 계산하여, 산소군과 공기군 간의 통계적 유의성을 평가한 결과, 단기기억소척도의 점수에서만, 두 군간에 유의한 통계적 차이가 발견되었다. 결 론:주의력과 기억능력에 미치는 산소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대조군비교-이중맹검 임상실험을 실시하여, 반복검사로 인한 효과, 위약효과 등을 배제하였다. 그 결과 양쪽 검사 모두에서 어느 정도의 반복검사 및 위약효과가 확인되었으나, 주의력에서는 전두엽의 실행능력(executive function)과 관련되는 검사들에서 산소흡입이 특이한 효과를 보여준다는 것이 확인되었고, 기억능력에서는 단기기억능력 평가에서 산소흡입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한 효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산소흡입이 전두엽과 관련된 수행능력, 작동기억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생각된다.증 1명(5%)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