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eudomons sp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6초

Pseudomonas에서 분리한 MCPA 플라스미드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MCPA plasmid isolated from pseudomonas sp.)

  • 이영록;최대성;은성호;박영두
    • 미생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94-399
    • /
    • 1986
  • From the lysates of the 7 selected strains of Pseulomonas utilizing 2-methyl-4-chlorophenoxyactate as a sole source of carbon and energy, several MCPA plasmids, which encodes genes for the degradation of 2-methyl-4-chlorophenoxyacetate, were isolated, and measured their molecular weight as well as genetic characters such as resistance to antibiotics and degradative ability of other chlorinated herbicides. Transmissibility of the MCPA plasmids, pKU1, pKU15, and pKU17 was tested by conjugation or transformation and the restriction pattern of pKU15 for Pvu II, Hind III, EcoR I, Xho I, Bgl II, and Ava II was analyzed.

  • PDF

배추좀나방 내장에서 분리한 식물생장촉진미생물 Pseudomonas sp. PRGB06의 길항기작과 인산가용화의 기내 평가 (In vitro Evaluation of the Mechanism of Antagonism and Phosphate Solubilization by the Insect Gut Bacteria Pseudomonas sp. PRGB06 that Exhibits Plant Growth Promotion and Bio-Fertilizing Traits)

  • 김경아;;;;;;한광현;사동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8-25
    • /
    • 2008
  • 배추좀나방 유충의 내장으로부터 분리한 Pseudomons sp. PRGB06의 식물생장촉진능과 생물비료로서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또한 탄소원, 온도, pH, 염류농도 등의 다양한 배양 상태에서 균주의 생장을 확인하였다. 이에 더하여 Pseudomons sp. PRGB06의 진균에 대한 길항기작과 인산가용화능을 연구하였다. PRGB06 균주는 실험에 사용한 대부분의 탄소원에서 잘 자랐으며, 균주 최적 배양조건은 $30^{\circ}C$, pH7이었다. 식물병원성 진균의 억제는 균주로부터 생성된 휘발성 항진균 대사산물과 암모니아 가스로 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균주는 인산가용화와 산의 생성에 크게 관여햐였으며, 뿐만 아니라 공중질소고정, 식물호르몬생성, siderophore생성, 아연가용화 등 다양한 식물생장촉진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PRGB06을 고추와 옥수수에 접종한 결과 뿌리길이, 유묘의 생육, 건물량이 증가하였다.

Polyvinyl alcohol 이용 공생균 Pseudomonas sp. J2W와 Xanthomonas sp. J2Y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symbionts Pseudomonas sp. J2W strain and Xanthomonas sp. J2Y strain which utilize polyvinyl alcohol)

  • 조윤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1호
    • /
    • pp.30-35
    • /
    • 1992
  • Polyvinyl alcohol(PVA)을 탄소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세균 J2W 균주와 J2Y균주를 토양으로 부터 분리하였다. 분리된 이들 균주는 각각 별도의 순수배양으로는 PVA를 이용할 수 없었으나 이들 균주를 혼합배양 하였을 경우는 PVA를 분해 이용할 수 있었으며, 또한 PVA의 중합도(중합도 500, 1500, 2000)에 관계없이 이용할 수 있었다. 이들 두 균주는 다른 PVA 이용 공생균주 Pseudomonas PW와 Pseudomonas G5Y와 재구성하여 혼합배양 하였을 때 J2Y균주와 Pseudomonas PW, J2W 균주와 Pseudomonas G5Y 균주와의 혼합배양에서는 PVA를 이용할 수 있었다. 이들 두 균주는 동정 결과 J2W균주는 Pseudomons pseudomallei 근연균으로, J2Y는 Xanthomonas campestris 근연균으로 동정되었다.

  • PDF

Cloning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Two Different bphC Genes and bphD Gene From PCB-Degrading Bacterium, Pseudomonas sp. Strain SY5

  • Na, Kyung-Su;Kim, Seong-Jun;Kubo, Motoki;Chung, Seon-Y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4호
    • /
    • pp.668-676
    • /
    • 2001
  • Pseudomonas sp. strain SY5 is a PCB-degrading bacterium [24] that includes two different enzymes (BphC1 and BphC2) encoding 2,3-dihdroxybiphenyl 1,2-dioxygenase and BphD encoding 2-hydroxy-6-oxo-6-phenylhexa-2,4-dienoate hydrolase. The bphC1 and bphC2 genes were found to consist of 897 based encoding 299 amino acids and 882 bases encoding 294 amino acids, respectively, whereas the bphD gene consisted of 861 bases encoding 287 amino acids. According to a homology search, a 50% and 39% similarity between the bphC1 and bphC2 genes at the nucleotide and amino acid level was shown, respectively. The bphC1 gene showed a 38% and 45% similarity at the amino acid level to Alcaligenes eutrophus A5 and Rhodococcus rhodochrous, respectively, whereas, bphC2 showed a 95% and 43% similarity, respectively. A comparison of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of the bphD product of Pseudomonas sp. SY5 with that of A. eutrophus A5, Pseudomons sp. KKS102, and LB400 showed a sequence identity of 92, 92, and 79%, respectively. Strain SY5 was originally isolated from municipal sewage containing recalcitrant organic compounds an found to have a high degradability of various aromatic compounds [23]. The current study found that strain SY5 had two extradiol-type dioxygenases, which did not hybridize with each other as they had a low similarity, yet a similar structure of evolutionarily conserved amino acids residues for catalytic activity between BphC1 and BphC2 was observed.

  • PDF

Pseudomonas sp. G314가 생산하는 생물 계면활성제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Biosurfactant Produced by Pseudomonas sp. G314)

  • 심소희;박경량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39-244
    • /
    • 2012
  • 대전일원의 유류오염 지역의 토양에서 분리된, 생물 계면활성제 생성능이 우수한 Pseudomonas sp. G314균주 [23]가 생산하는 생물 계면활성제의 특성을 조사하고 그 성분을 확인하였다. Pseudomonas sp. G314가 생산하는 생물 계면활성제는 상온에서 10일 보관 후에도 26.2 dyne/cm 정도의 표면장력을 유지해 냉장 보관한 계면활성제와 비슷하게 안정하였고, 5 l 발효조를 이용한 배양에서 회분배양의 25 dyne/cm 보다는 약간 높은 27 dyne/cm 정도의 계면활성제를 생산해 대량 배양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 이 계면활성제는 acetone과 methanol에 잘용해 되고 benzene과 toluene에 약하게 용해되어 glycolipid 계열의 생물계면활성제임이 추정되었고[23], 이를 silica gel column을 통해 용출하고, TLC로 전개하여 확인된 Rf 0.58인 spot이 bial's reagent와 rhodamine 6G에서 양성반응을 나타내 Pseudomonas sp. G314가 생산하는 생물 계면활성제는 탄수화물과 지질이 함유된 glycolipid 계열의 생물 계면활성제임을 확인하였다.

Pseudomonas sp. PY002에서 Exotoxin A의 생성에 미치는 철 이온의 영향과 Exotoxin A 유전자의 클로닝 (Effect of Ferrous Ion on the Formation of Exotoxin A from Pseudomonas sp. PY002 and Cloning of it's Gene)

  • 최선아;김호상;최지영;강정숙;김춘성;김덕례;김영주;여명구;박열
    • 미생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7-12
    • /
    • 1999
  • Pseudomons sp. PY002의 exotoxin A 의 발현 양상을 관찰하기 위하여 P.aeruginosa PAO1의 anti-exotoxin A와 immunoblot hybridization을 실시한 결과 배지내에 유용 가능한 철이 고갈됨에 따라 exotoxin A의 발현양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CAS 배지에 점적한 배양 상층액에서 siderophore의 발현양도 증가함을 보였다. P.sp.PY002 의 genomix library를 제조하여, exotoxin A를 분비하는 2개의 클론을 선별하려 pETA23과 pETA42 로 명명한 후, 반응성이 강한 Peta42를 선발하였다. pETA 42는 약 1.7kb 크기의 insert를 가지며, 양쪽 말단에 cloning site 인 pstI site 가 존재하며 2개의 NcoI, 1개의 PvuII, 1개의 SstI , 3개의 SmaI, 1개의 KpnI, 3개의 HaeII, 1개의 EcoRI site가 존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