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eudomonas spp.

검색결과 279건 처리시간 0.04초

잔디 주요 토양 병해에 대한 토양세균 Pseudomonas spp.의 길항 효과 (Antagonistic Effects of Pseudomonas spp. against Turfgrass Pathogenic Soil Fungi)

  • 장석원;장태현;최병진;송정희;박경숙;노용택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09-21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골프장에서 문제가 되는 주요 병의 방제가능한 생물학적 제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강원도 소재 골프장의 잔디 근권토양으로부터 채취한 100여개의 미생물로부터 4개의 길항 미생물을 선발하였다. 배지를 이용한 저지원 실험에서 4개의 균주는 한국 골프장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옐로우패취(Rhizoctonia cerealis), 브래운패취(R. solani AG-1(1B)), 동전마름병(Sclerotinia homoeocarpa), 그리고 설부갈색소립균핵병원균 (Typhula incarnata)에 대하여 효과적이었다. 옐로우패취, 브래운패취, 동전마름병을 대상으로 온실실험 결과, 4개의 균주는 병의 종류, 기주 식물체 및 병 발생 정도에 따라 효과가 달랐지만 한개 혹은 그 이상의 병에 대해 60% 이상을 방제가를 기록하였다. 4개의 균주는 생화학적 특성과 16S rRNA 분석을 통해 Pseudomonas spp.로 밝혀졌다. 현재 4개의 균주는 적정 배양조건과 제제화를 위한 연구 중에 있다.

2005년 한국에서 시판된 먹는 샘물의 미생물 오염 (Assessment of Bacterial Contamination of Bottled Water in Korea, 2005)

  • 김윤아;이도경;유경미;강병용;하남주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1권3호
    • /
    • pp.283-289
    • /
    • 2006
  •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consumer demand for bottled waters. There is a perception that consumption of natural mineral water represents a healthy life style and that these products are relatively safe. In this study,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39 samples of bottled water, purchased from retail store in Korea, was investigated during the 2005. Applying pour plate method, the 1 mL of water samples were analyzed for the presence and enumeration of total general bacteria and Pseudomonas spp.. Nineteen samples representing 9 brands of bottled water contained general bacteria ($1.54{\times}10^2$ CFU/mL). In addition four samples contained Pseudomonas spp. and Camamonas acidovorans. The susceptibility of the strains tested against 25 antimicrobial agents, Pseudomonas fluorescens were resistant to Lincomycin, Amoxacilin/Clavulanic acid and Cefazolin (> $100{\mu}g/mL$). Also Comamonas acidovorans were intermediate to Cephalothin and resistant to Cefoperazone.

Pseudomonas cichorii와 P.viridiflava에 의한 Ficus 속 식물의 세균성뿌리썩음병 및 세균성잎마름병 (Bacterial Root Rot and Bacterial Leaf Blght of Ficus spp. by Pseudomonas cichorii and P. viridiiflava in Korea)

  • 이은정;차재경;최재을
    • 식물병연구
    • /
    • 제6권1호
    • /
    • pp.6-9
    • /
    • 2000
  • 1998년 수원, 성남, 양재, 대전의 비닐하우스에서 재배되고 있는 인삼고무나무(Ficus retusa), 황금대만고무나무(Ficus retusa \`Golden leaf\`), 벤자민고무나무(Ficus benjamina)에 새로운 세균병이 관찰되었다. 인삼고무나무의 뿌리에 무름증상을 보이는 세균병을 \"P.cichorii\"에 의한 인삼고무나무의 세균성뿌리썩음병\", 황금대만고무나무와 벤자민고무나무에 마름증상을 보이는 세균병을 \"P.viridiflava에 의한 황금대만고무나무와 벤자민고무나무의 세균성잎마름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마름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제안한다.

  • PDF

방사선촬영실 감염 방지를 위한 에니오설프의 소독효율 연구 (Research on ANIOS Disinfection Efficiency to Prevent Infection in Radiography Room)

  • 정우찬;안기송;양은주;김영재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55-61
    • /
    • 2021
  • 방사선 촬영실은 감염원을 지닌 환자와 간접적인 접촉이 빈번하게 일어나 2차 감염에 노출될 위험성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는 흉부 X선 촬영을 대상으로 방사선사와 환자가 빈번하게 접촉하는 부위를 4급 암모늄세정제 중 하나인 에니오설프(ANIOS, ANIOSURF Premium NPC)를 이용하여 소독 전, 후의 미생물을 채z취한 후 비교하였다. 2020년 9월 1일부터 9월 7일까지 대구광역시 P병원을 대상으로 X-ray tube handle, Chin rsgion, Chest region, Palm region을 수송배지(TransystemTM, Copan Diagnostics Inc., Murrieta, CA, USA) 내의 멸균면봉을 사용하여 10×10㎠ 크기로 채취한 후 비색법을 통해 소독 전, 후 동정결과를 획득하였다. 그 결과 X-ray tube handle의 경우 Proteus mirabilis, Staphylococcus epidermidis, Bacillus spp., Candida spp이 검출되었고, Chin region의 경우 Proteus mirabilis, Enterococcu faecium, Pseudomonas aeruginosa, NTM이 검출되었고, Chest region의 경우 Proteus mirabilis, Enterococcu faecium, Pseudomonas aeruginosa이 검출되었고, Palm region의 경우 NTM, Candida spp.이 검출되었으며 공통적으로 103 CFU(Colony Forming Unit) 이상이 측정되었다. 소독 후 Chest region, Palm region에서는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았고 X-ray tube handle에서만 Bacillus spp.이 검출되었으며 102 CFU 이상이 측정되었다. 소독 전 검출된 미생물은 대부분 기회감염균의 일종으로 소독 후 이러한 미생물의 수가 줄어들거나 제거되는 것을 통해 에니오설프(0.25%)는 에탄올(ethanol, 70~90%)와 이소프로필 알코올(Isopropyl alcohol, 70~90%)과 비교하였을 때 우수한 경제성과 유사한 소독효율을 보였다. 하지만 소독 후 Bacillus spp.가 검출됨에 따라 아포균에 대한 심화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방사선 검사실 내 감염관리의 중요성을 재고하였으며 병원 내 2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유용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군산 내만의 해양수에서 분리되는 세균의 분포 (The Distribution of Bacterial Flora in Kunsan bay)

  • 최민순;심현빈;정경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7-73
    • /
    • 2000
  • 군산내만 해역의 해양생태계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금강 하구둑부터 외항까지 5개의 정점을 선정하여 종속영양 세균상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조사지역으로부터 123개의 집락을 분리-동정한 결과 Vibrio spp.(44주, 35.7%), 및 Pseudomonas spp.(42주, 34.1%), 균종이 비교적 높게 출현하였고 Aeromonas spp.(11주, 8.9%), Moraxella spp.(9주, 7.3%), Escherichia coli.(6주, 4.8%), Bordetella spp.(3주, 2.4%), Alkaligenesis spp.(3주, 2.4%), Flavobacterium spp.(2주, 1.6%), and Staphylococcus spp.(3주, 2.4%)등은 낮은 출현율을 나타냈다. 한편, 각 총 정점의 생균수는 $5{\times}10^3\sim1{\times}10^5$ CFU/ml이었으며, 생활 하수가 많이 유입되는 지역(정점 2.3)이 강 하구 및 외항지역보다 높은 검출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도시의 생활 오.하수 및 산업 부산물 등의 유입으로 내만의 수질 악화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양식사업에 있어서 문제시 되고 있는 어류의 세균성 질병의 발생이 증가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 PDF

감마선 조사된 저염 오징어젓갈 발효의 미생물균총 특성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Gamma Irradiated and Low-Salted Fermented Squid)

  • 김동호;김재훈;육홍선;안현주;김정옥;손천배;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619-1627
    • /
    • 1999
  • 염 농도와 감마선 조사 선량을 달리한 오징어젓갈의 미생물 균총 변화를 살펴보았다. 총균, Lactobacillus spp., Staphylococcus spp.는 발효기간에 따라 지속적으로 생장하여 발효 40일째에 염도 5%와 10%에서는 $10^8\;CFU/mL$까지, 염도 20%에서는 $10^7\;CFU/mL$까지 생장하였으며 5 kGy 이상 감마선 조사구는 초기 균수 감소로 발효 후기의 미생물 밀도가 낮아졌다. 염도가 증가할수록 감마선 조사가 미생물 생장에 미치는 영향이 컸으며, 감마선 조사에 의한 오징어젓갈 관련 발효 미생물의 생장억제는 염도 10%에 10 kGy의 감마선 조사 조건이 적합하였다. 발효미생물의 동정 결과, L. plantarum이 전 실험구에 걸쳐 가장 일반적인 발효균으로 분리되었으며 Lactobacillus sp. 2, Mic. varians, Streptococcus sp. 1 등은 염도 5%의 실험구에만, Mic. morrhuae 등은 20%의 염농도에서만 분리되어 염도에 따른 microflora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L. brevis, Ped. halophilus, Pse. diminuta 등은 방사선 감수성이 큰 미생물군이었으며, L. plantarum, Mic. morrhuae, Pseudomonas sp. 3 등은 방사선에 대한 저항성이 높았다. 전체적으로 보아 염도 20% 실험구에서의 분리 미생물이 15종으로 가장 다양한 분포를 보였으며 염도가 낮아질수록, 감마선 조사선량이 높아질수록 종의 다양성은 낮았다.

  • PDF

경주마의 호흡기질환 유래균의 약제 감수성 시험 (Antimicrobial drugs susceptibility of bacterial flora in horses with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 조길재;조광현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53-157
    • /
    • 2004
  • Bacteria isolated from nasal cavity of 50 Thoroughbred horses with respiratory tract infection were examined. There were isolated Pseudomonas aeruginosa(33.5%), Escherichia coli(10.2%), Pseudomonas spp(7.6%), Klebsiella oxytoca(5.9%), Streptococcus equi subsp zooepidemious(6.2%), Klebsiella pneumoniae(3.4%), Acinetobacter spp(5.5%) and coagulase negative staphylococcus(2.1%). The majority of isolates were highly susceptible to amikacin, amoxicillin, aztreonam, cefotaxime, cefepime, cefotetan, ceftazidime, cefuroxime, chloramphenicol, ciprofloxacin, clindamycin, erythromycin, gentamicin, imipenem, tetracyclin and vancomycin. These results can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treatments of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in Thoroughbred horses.

Pseudomonas spp.의 원형질체 생성과 재생 (The Spheroplast Formation and Regeneration of Pseudomonas spp.)

  • 이주실;이영록
    • 미생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4-31
    • /
    • 1986
  • Pseudomonas 속에 속하는 여러균주의 원형질체 생성을 위한 최적조건과 이들의 재생에 영향을 미치는 몇 가지 요인들을 조사하였다. Pseudomonas는 lysozyme ($100{\mu}g/ml$)과 10mM EDTA를 처리하였을 때 99.0%에서 99.9%까지 원형침체로 천환 되었으며, 이때 사용한 완충액의 최적 pH는 8.0이였고 효소처리는 상온에서 진탕하지 않고 처리하였을 때가 비교적 균주간에 차이가 없이 효과적으로 원형질체가 생성되었다. $MgCl_{2}$ 그러고 Streptomycin수용액이 윈형 질체의 안정성을 높였고, 원형질체의 생성에는 $Mg^+\;and\;Na^+$ 이온이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 원형질체의 재생은 Rich Regeneration Medium배지에 20mM $MgCl_{2}$를 첨가하였을 때 원형질체의 재생율이 28배까지 증가하였다. 원형질체의 생성과 그것을 희석하는데 사용한 완충액에 1% Bovine Serum Albumlne를 첨가한 경우 재생율이 10배 가까이 증가되었고, 또한 완충액에 1% BSA를 첨가하고 재생배지에 0.5% 제라틴을 첨가했을 때에는 14배까지 재생율이 증가되어다.

  • PDF

임상재료에서 분리한 각종세균의 항균제내성 (Antimicrobial Resistance of Organisms Isolated from Clinical Specimens)

  • 서성일;박종욱;전도기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83-294
    • /
    • 1987
  • One hundred and fifty-seven strains of staphylococci isolated from various clinical specimens and 80 of Gram-negative bacilli from urine of patients with urological diseases were tested for resistance to antimicrobial drugs by microdilution broth method. Among staphylococci, 50 to 89% of the strains were resistant to gentamicin(Gm), kanamycin(Km), erythromycin(Em), nalidixic acid(Na), and tetracycline. Ninety per cent MIC was lowest in ciprofloxacin(Cp), followed by vancomycin(Vc), trimethoprim(Tp), enoxacin(Ex), and norfloxacin(Nf) with the values of two ${\mu}g/ml$ or lower. Twenty-seven strains were resistant to methicillin(MR), with 24 strains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3 of S. epidermidis. All strains of MR S. aureus were resistant to oxacillin, rifampin(Rf), Gm, Km, Em, Na, and Tc, and no strain was resistant to Vc and Tp. Almost all staphylococci isolated from urine were S. epidermidis and sensitive to most drugs tested without MR strain. Among Gram-negative bacilli from urine, Escherichia coli(43 strains) was most frequently isolated, and followed by Klebsiella spp.(11), Proteus spp.(10), Serratia spp.(10), and Pseudomonas aeruginosa(6) in the decreasing order. The majority of E. coli and Serratia spp. were resistant to chloramphenicol(Cm), Tc, streptomycin, sulfisomidine(Su), ampicillin(Ap), Km, and carbenicillin(Cb), and 50 and 90% MICs of these drugs were also high. In Klebsiella spp., 54% or more were resistant to Cm, Su, Ap, cephalothin, and Cb. Proteus spp. were susceptible to most drugs tested, but Pseudomonas were resistant to nearly all drugs tested except Rf, amikacin, and moxalactam(Mx). All Gram-negative bacilli tested were found to be susceptible to Mx. New quinolone carboxylic acid compounds, such as Nf, Ex, and Cp showed very high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the majority of organisms tested except Pseudomonas, and 50 and 90% MICs of Nf and Ex were always equal or 2 to 4 times higher than Cp. Organisms multiply resistant to drugs were noted in almost all isolates tested. Twenty-seven strains of staphylococci were multiply resistant to 11 or more drugs, and 6 of Klebsiella spp. to 8 to 11 drugs. The most frequent multiplicity of durg resistance were 7 and 8, 12, and 13 in E. coli, Serratia spp., and Pseudomonas, respectively. No strain was resistant to more than 5 drugs in Proteus spp..

  • PDF

Identification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Bacteria Isolated from Dogs with Chronic Otitis Externa

  • Park, Soyoung;Bae, Seulgi;Kim, Juntaek;Oh, Taeho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3-26
    • /
    • 2017
  • Otitis externa (OE) is an inflammatory disease of the externa auditory meatus that occurs commonly in dogs.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s should be performed in case of chronic OE for successful treatment. In this study, identification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 of bacteria isolated from dogs with chronic OE was performed. From 60 dogs with chronic OE, 60 bacterial species were identified. The most frequently identified species were Staphylococcus spp. (51%), followed by Pseudomonas spp. (15%) and Enterococcus spp. (14%). A single bacterial infection and multiple bacterial infections were observed in 67.5% and 32.5%, respectively. Staphylococcus spp. was susceptible to imipenum. Pseudomonas spp. was found to be susceptible to amikacin, cefepime, imipenum and piperacillin-tazobactam. Enterococcus spp. was susceptible to ampicillin-sulbactam, imipenum and piperacillin-tazobactam. Imipenum was highly susceptible antibiotic against both Gram-positive and negative bacteria whereas aztreonam and vancomycin were highly resistant. These results could suggest the optimal choice of antimicrobial agents for canine OE trea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