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eudomonas sp. P2

검색결과 263건 처리시간 0.029초

Cloning and Expression in E. coli of the HOPDA Hydrolase Gene from Pseudomonas sp. P20

  • Lim, Jong Chul;Chae, Jong Chan;Kim Youngsoo;Kim, Hyong Bai;Kim Chi Kyung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34권4호
    • /
    • pp.349-354
    • /
    • 1996
  • Pseudomonas sp. P20 is a natural isolate which is capable of degrading biphenyl and 4-chlorobiphenyl. From a clone of pCK1022 harboring pcbCD genes of Pseudomonas sp P20, a pcbD gene encoding 2-hydroxy-6-oxo-6-phenylhexa-2, 4-dienoic acid (HOPDA) hydrolase was subcloned in Escherichia coli XL-1-Blue by using pBluescript SK(+) vector. The 2.8-kb HindII fragment harboring the pcbD gene cloned in pCK 1024 had a single site for each of XhoI, SalI, BstXI, and XbaI restriction enzymes. Escherichia coli CK1024 had a single site for each of XhoI, SalI, BstXI, and XbaI restriction enzymes. Escherichia coli CK1024 carrying pCK0124 degraded HOPDA to benzoate and 2-hydroxypenta-2, 4-dienoate by HOPDA hydrolase encoded by pcbD gene as effectively as E coli CK 1022 HARBORING pcbCD genes.

  • PDF

탈질능을 가진 Pseudoomonas sp.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enitrifying bacteria, Pseudomonas sp.)

  • 김현국;김성구;이병헌;서근학;공인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85-90
    • /
    • 1998
  • 양어장에서 어류의 배설물이나 사료에 의해 생성된 암모니아성 질소 제거를 위한 수처리 공법의 하나로써 질산화 세균 및 탈질화 세균을 고정화 방법의 개잘리 필요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수한 고정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수한 질산능과 탈질능을 가지는 미생물의 분리가 선행되어야 하므로 denitifier consortium으로부터 여러 균주를 선별, 동정하여 이를 Pseudomonas sp. KH2-2으로 명명하였다. 분리된 균의 탈질능은 최적의 생육을 보일 때 가장 강하게 나타났다. $30{\circ}C보다는 40{\circ}C$에서 배양하였을 때 최적의 성장을 보여주었고, 탈질능도 현저히 높았다. pH에 있어서는 pH7에서 가장 강한 탈질능을 나타내었다. pH5에서는 균의 성장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pH9에서는 $NO_3$^-환원능은 높았으나 $NO_2$^-환원능은 낮았다.

  • PDF

Pseudomonas sp. HW-103 변이주에 의한 Benzene으로부터 Catechol 생산 (Production of Catechol from Benzene by a Mutant of Pseudomonas sp.)

  • 황기철;이상협;방원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24-230
    • /
    • 1989
  • Benzene으로부터 catechol을 생산하기 위하여 토양으로부터 benzene을 유일한 탄소원과 에너지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세균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들 중에서 benzene상에서 상대적 생육속도가 빠르며, catechol 생산능이 가장 좋은 균주인 KY-114를 선별하였고, Pseudomonas sp.로 부분 동정하였다. 이 균주에 의한 catechol 생산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돌연변이에 의한 균주 개발을 시도하였으며, 개발된 변이주인 Pseudomonas sp. HW-103을 이용하여 benzene으로부터 catechol 생산의 최적조건을 검토하였다. Catechol의 최대생산은 초기 pH6.5, 온도 3$0^{\circ}C$하에서 1% sodium citrate, 0.75%(NH$_4$)$_2$SO$_4$, 0.15% benzene과 다른 무기염이 함유된 배지에서 이루워졌으며, 이때 최대 catechol 생산량은 0.61g/ι 이었다. 한편, 휴지세포를 이용한 catechoι 생산을 위하여 4g/$\ell$의 benzene이 함유된 최적반응조건하에서 10시간 반응시킨 결과, 2.5g/$\ell$의 catechol이 생산되었으며, 이때의 이론적 전환률은 45%이었다.

  • PDF

유용 Pseudomonas 종의 근면점유와 무우 Fusarium시들음병의 억제에 관한 생물학적 정량 (Root Colonization by Beneficial Pseudomonas spp. and Bioassay of Suppression of Fusarium Wilt of Radish)

  • 이민웅
    • 한국균학회지
    • /
    • 제25권1호통권80호
    • /
    • pp.10-19
    • /
    • 1997
  • 무우품종(Raphanus sativus L.) Saxa Nova에 시들음병을 일으키는 Fusarium oxysporum f. sp. raphani (FOR)에 대해 저항성을 증가시켜 방제효과를 얻기 위하여 식물성장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Pseudomonas florescens WCS374 (WCS 374), P. putida RE10 (RE10) 및 Pseudomonas sp. EN41S (EN415)을 병원균처리 토양에 단독 또는 혼합처리하여 4주간 폿트배양한 후 무우에 나타나는 외부 및 내부병징을 조사하여 처리세균에 의한 병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내부 및 외부병징으로 대조구는 각각 46.5% 및 21.1%를 나타내었고, RE10처리는 내외병징이 각각 12.2%와 7.8%로 발병이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발병억제력이 높다고 알려진 WCS374는 내외 병징이 각각 45.6%와 27.8%로 나타났다. 한편 RE10균주를 WCS374 또는 EN415 균주와 혼합하여 처리할 경우 내외 병징이 10.0-22.1% 정도이었고 EN415와 혼합처리하면 7.8-20.2%의 병징을 나타낸다. FOR의 뿌리점유율은 뿌리에서 $2.4-5.1{\times}10^3/g$였고 토양내 분포수는 $0.7-1.3{\times}10^3/g$이었다. 대조구는 뿌리에서 $3.8{\times}10^3/g$였으며 RE10의 처리는 $2.9{\times}10^3/g$로 분포수가 적었고, 3종 세균의 혼합처리는 $5.1{\times}10^3/g$으로 많이 관찰되었으나, 처리간에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토양에서 관찰된 FOR은 부리부분 보다 그 분포 수가 적었다. 처리된 3가지 세균은 뿌리에서 $2.3-4.0{\times}10^7/g$ 범위이고, 토양에서는 $0.9-1.8{\times}10^7/g$으로 뿌리에서 관찰된 수 보다 적게 분포하였다. 뿌리부분에서 대조구나 RE10의 처리토양은 형광성 Pseudomonas spp.의 분포수가 적고 처리간에는 통계적 차이를 나타냈으나, 토양조사에서 이세균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뿌리에 처리된 세균과 FOR의 분포수는 토양에 처리된 것과 대조하였을 때 많았으며, 이 실험 에 사용된 RE10과 EN415은 Fusarium시들음병에 대한 기주의 저항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Genetic Structure of xyl Gene Cluster Responsible for Complete Degradation of (4-Chloro )Benzoate from Pseudomonas sp. S-47

  • Park, Dong-Woo;Lee, Kyoung;Chae, Jong-Chan;Kudo, Toshiaki;Kim, Chi-Ky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3호
    • /
    • pp.483-489
    • /
    • 2004
  • Pseudomonas sp. S-47 is a bacterium capable of degrading benzoate as well as 4-chlorobenzoate (4CBA). Benzoate and 4CBA are known to be degraded via a meta-cleavage pathway characterized by a series of enzymes encoded by xyl genes. The meta-cleavage pathway operon in Pseudomonas sp. S-47 encodes a set of enzymes which transform benzoate and 4CBA into TCA cycle intermediates via the meta-cleavage of (4-chloro )catechol to produce pyruvate and acetyl-CoA. In the current study, the meta-pathway gene cluster was cloned from the chromosomal DNA of S-47 strain to obtain pCS1, which included the degradation activities for 4CBA and catechol. The genetic organization of the operon was then examined by cloning the meta-pathway genes into a pBluescript SKII(+) vector. As such, the meta-pathway operon from Pseudomonas sp. S-47 was found to contain 13 genes in the order of xylXYZLTEGFlQKIH. The two regulatory genes, xylS and xylR, that control the expression of the meta-pathway operon, were located adjacently downstream of the meta-pathway operon. The xyl genes from strain S-47 exhibited a high nucleoside sequence homology to those from Pseudomonas putida mt-2, except for the xylJQK genes, which were more homologous to the corresponding three genes from P. stutzeri AN10. One open reading frame was found between the xylH and xylS genes, which may playa role of a transposase. Accordingly, the current results suggest that the xyl gene cluster in Pseudomonas sp. S-47 responsible for the complete degradation of benzoate was recombined with the corresponding genes from P. putida mt-2 and P. stutzeri AN10.

유독성 4-Chlorobiphenyl의 생분해를 위한 탈염소화 유전자의 클로닝 (Cloning of Dechlorination Genes Specifying Biodegradation of Toxic 4-Chlorobiphenyl)

  • 김치경;채종찬;한재진
    • 미생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26-131
    • /
    • 1994
  • 4-Chlorobiphebyl(4CB)를 분해한 Pseudomonas sp. DJ-12가 가지고 있는 pcbABCD 유전자를 Escherichia coli에 클로닝한 결과, 재조합 균주인 E. coli CU1과 CU101은 모두 Pseudomonas sp. DJ-12에서와 같이 4CB를 분해하여 2,3-dihydrozybiphenyl(2,3-DHBP)을 생성하는 탈염소화 기능을 보여주었다. 특히 pcbAB를 포함하는 재조합 플라스미드인 pCU101을 가지고 있는 E. coli CU101은 Pserudomonas sp. DJ-12에서와 같이 4CB로부터 4-chlorobenzoic acid를 생성하지 않고 2, 3-DHBP만을 생성하는 탈염소화 기능을 보여주었다. 그러므로 Pseudomonas sp. DJ-12의 염색체 DNA로부터 클로닝한 약 2.2kb의 pcbAB 유전자는 4CB로부터 2,3-DHBP만을 생성하는 탈염소화기능을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 PDF

Pseudomonas sp. LG2의 Ferulic acid esterase 및 Xylanase 유도와 부분적 특성 (Partial Characterization and Induction of Ferulic Acid Esterase and Xylanase from Pseudomonas sp. LG2)

  • 김용균;이상몽;박현철;김근기;손홍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68-574
    • /
    • 2007
  • 리그닌 분해 세균인 Pseudomonas sp. LG2는 lignocellulose 기질을 분해하여 APPL 화합물을 생성하는 균주이다. 이 균주를 BSG(brewer's spent grain)가 함유된 배지에서 배양한 배양액에서 APPL 화합물을 확인하였다. 세포외 조효소들의 유도에 관한 여러 가지 탄소원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glucose 배지에서는 xylanase의 효소활성만 확인 되었고 xylose, arabinose에서 배양한 조효소에서는 FAE 및 xylanase의 효소활성이 없었다. Oat spelt xylan, HBSG I(hydrolyzed brewer's spent grain I), HBSG II(hydrolyzed brewer's spent grain II) 및 AFBSG(autoclaved fraction from brewer's spent grain)를 탄소원으로 배양한 조효소에서는 FAE 및 xylanase의 효소활성이 확인됐다. Pseudomonas sp. LG2를 oat spelt xylan, HBSG I, HBSG II 및 AFBSG를 탄소원으로 사용하여 14일 동안 배양하면서 배양기간에 따른 세포외 효소들의 FAE와 xylanase 활성을 조사하였다. Xylanase의 최고 활성은 xylan을 탄소원으로 6일간 배양 했을때 5.3 U/mg으로 가장 높았으며, FAE의 최고 활성은 AFBSG를 탄소원으로 배양했을 때 배양 8일째 15.4 mU/mg으로 가장 높았다. Oat spelt xylan, HBSG I, HBSG II 및 AFBSG를 탄소원으로 사용하여 배양한 배지에 분리된 ferulic acid가 확인되었다. 세포외 효소의 FAE 활성은 methyl ferulic acid, methyl caffeic acid, methyl p-coumaric acid에 대해 esterase의 활성을 보였으나, methyl sinapinic acid, methyl vanillic acid 및 methyl gallic acid에 대해서는 esterase의 활성이 없었다.

Improved Degradation of 4-Chlorobiphencyl, 2,3-Dihydroxybiphenyl, and Catecholic Compounds by Recombinant Bacterial Strains

  • Kim, Ji-Young;Kim, Youngsoo;Lee, Kyoung;Kim, Chi-Kyung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6권1호
    • /
    • pp.56-60
    • /
    • 2001
  • The pcbC gene encoding (4-chloro-)2,3-dihydroxybiphenyl dioxygenase was cloned from the genomic DNA of Pseudomonas sp. P20 using pKT230 to construct pKK1. A recombinant strain, E. coli KK1, was selected by transforming the pKK1 into E. coli XL1-Blue. Another recombinant strain, Pseudomonas sp. DJP-120, was obtained by transferring the pKK1 of E. coli KK1 into Pseudomonas sp. DJ-12 by conjugation. Both recombinant strains showed a 23.7 to 26.5 fold increase in the degradation activity to 2,3-dihydroxybiphenyl compared with that of the natural isolate, Pseudomonas sp. DJ-12. The DJP-120 strain showed 24.5, 3.5, and 4.8 fold higher degradation activities to 4-chlorobiphenyl, catechol, and 3-methylcatechol than DJ-12 strain, respectively. The pKK1 plasmid of both strains and their ability to degrade 2,3-dihydroxybiphenyl were stable even after about 1,200 generations.

  • PDF

Pseudomonas sp. Inulinase 유전자의 클로닝 및 Escherichia coli에서의 발현 (Molecular Cloning of Pseudomonas sp.Inulinase Gene and its Expresstion in E. coli)

  • 엄수정;권영만;최용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50-555
    • /
    • 1995
  • A strain of Pseudomonas sp. isolated from soil was shown to produce a high level of extracellular endo-inulinase. In this work, the endo-inulinase gene (inu1) of the bacterial strain was cloned into the plasmid pBR322 by using EcoRI restriction endonuclease and E. coli HB101 as a host strain. One out of 7, 000 transformants obtained from the above cloning experiment formed a clear zone around its colony on the selective medium supplemented with 2.0% inulin after a prolonged incubation at 37$\circ$C and subsequent cold shock treatment. The functional clone was found to carry a recombinant plasmid (pKMG50) with a 3.7 kb genomic insert containing the genetic information for the inulinase activity. The inulinase from E. coli HB101/pKMG50 was proved to be an endo-acting enzyme and produced constitutively in the recombinant E. coli cells. Zymogram of the enzyme from the recombinant cells with inulin substrate indicated that the molecular mass of the active protein was 190 Kd, while that of the endo-inulinase from the Pseudomonas strain was 170 Kd. This size discrepancy suggested that the inulinase from the recombinant E. coli HB101 cells might be the initial product of translation, not the mature form produced in the strain of Pseudomonas sp..

  • PDF

국내 소나무재선충에서 분리한 세균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Bacteria Isolated from Pine Wood Nematodes in Korea)

  • 서상태;문일성
    • 식물병연구
    • /
    • 제18권4호
    • /
    • pp.376-380
    • /
    • 2012
  • 국내 20개 지역의 소나무재선충병에 감염된 소나무와 잣나무에서 분리된 소나무재선충으로부터 총 110개의 세균을 분리하여 동정한 결과 Cedecea neteri(64균주)가 가장 높은 빈도로 검출되었으며, 다음으로 Ewingella americana(21균주), Pseudomonas sp.(15균주), Flavobacterium sp.(8균주), Rahnella aquatilis (2균주) 순으로 분리되었다. 분리된 세균의 phytotoxin 생성능을 조사한 결과 Pseudomonas sp.(Ba2) 세균은 해송 유묘에 갈변과 고사를 유발하였다. 21개의 항생물질을 이용하여 분리된 3개의 세균, Pseudomonas sp.(Ba2), E. ameircana(Ba4), C. neteri(Ba10)에 대한 감수성 조사 결과 carbenicillin, doxcycline, tetracycline에서 생장억제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