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xy Signature Scheme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9초

Identity-Based Proxy Signature from Lattices

  • Kim, Kee Sung;Hong, Dowon;Jeong, Ik Rae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5권1호
    • /
    • pp.1-7
    • /
    • 2013
  • Most of the provably-secure proxy signature schemes rely on the average-case hardness problems such as the integer factorization problems and the discrete logarithm problems. Therefore, those schemes are insecure to quantum analysis algorithms, since there exist quantum algorithms efficiently solving the factorization and logarithm problems. To make secure proxy signature schemes against quantum analysis, some lattice-based proxy signature schemes are suggested. However, none of the suggested lattice-based proxy signature schemes is proxy-protected in the adaptive security model. In the paper, we propose a provably-secure ID-based proxy signature scheme based on the lattice problems. Our scheme is proxy-protected in the adaptive security model.

서명 능력을 제한하는 전자 서명 스킴 (Digital Signature Schemes with Restriction on Signing Capability)

  • 황정연;이동훈;임종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81-92
    • /
    • 2002
  • 실제적인 환경에서는 서명자의 능력이 제한되어져야 하는 경우가 있다. 그룹 서명 스킴(Group Signature Scheme)에서 그룹의 구성원은 그룹 내에서 자신의 직위에 따라 정해진 횟수까지 서명을 생성하도록 허락되어 질 수 있다. 또는 대리 서명 스킴(proxy signature scheme)에서 본래의 서명자는 대리 서명자(proxy signer)에게 그 서명자를 대신하여 일정한 횟수까지만 서명을 생성하도록 서명능력을 제한하고 싶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자서명 스킴 설정단계에서 미리 정해진 값 c에 대해 서명자의 서명횟수를 c번까지만 제한하는 서명 스킴(c-times 서명스킴)을 제안한다. 최초로 c-times 서명 스킴의 형식적인 정의를 기술하고 일반적인 서명 스킴을 c-times 서명 스킴으로 변환시키는 방법을 소개한다. 그리고 특정한 예로서 (t, n)-임계 기법(Threshold Technique)인 Feldman의 증명가능한 (t, n)-비밀분산 기법을 사용하여 DSA (Digital Signature Algorithm)에 기반한 c-times 서명 스킴인 $^c$DSA를 제시하고 이 스킴의 안전성을 증명한다. 여기에 적용된 변환방법은 다른 EIGamal형태의 전자서명 스킴에 적용되어질 수 있다.

Bilinear 함수를 이용한 ID 기반 대리서명 기법 (ID-based Proxy Signature Scheme from the Bilinear Map)

  • 이정연;천정희;김태성;진승헌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3-11
    • /
    • 2003
  • 대리서명은 원서명자가 대리인에게 서명 권한을 위임하여 대신 서명하게 하는 변형된 전자서명이다. 본 논문에서는 bilinear 함수를 이용한 ID 기반 인증 모델에서의 대리서명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에 제안된 ID 기반 인증 모델에서의 대리서명 기법은 대리인에 의한 오남용을 막을 수 없고, ID 기반 인증 모델에서의 대리서명임에도 불구하고 공개키 인증서가 필요하다. 하지만 우리가 제한하는 기법은 대리인의 서명권한을 규정한 위임장을 대리서명에 삽입함으로서 대리인에 의한 서명 권한의 오남용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개키 인증서도 필요 없다. 효율성 측면에서, 제안하는 대리서명 기법은 서명 권한 위임 시 보안채널 설정의 필요성을 제거함으로써 기존의 대리서명보다 효율성을 훨씬 개선 할 수 있으며, ID 기반 인증모델에서의 공개키 습득과정의 단순화를 통한 효율성 향상이 가능하다

RSA와 소인수 분해 문제에 기반한 대리서명 기법의 안전성 분석 (Security analysis o( proxy signature schemes based on RSA and integer factorization problems)

  • 박제홍;강보경;한재우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65-72
    • /
    • 2005
  • 최근 Zhou, Cao 그리고 Lu는 강한 위조 불가능을 만족하는 RSA와 소인수 분해 문제 기반의 세 가지 대리서명기법을 제안하면서 각각의 대리서명 기법들이 랜덤 오라클 모델하에서 증명가능한 안전성을 제공한다는 주장을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 기법들이 원 서명자로부터 위임받지 않은 사용자도 유효한 대리서명을 생성할 수 있게 한다는 점을 보임으로써 대리서명이 만족해야 하는 기본적인 안전성을 만족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인다.

비밀분산법과 Diffie-Hellman 문제에 기반한 동적 멀티 대리서명 프로토콜 (Dynamic Multi-Proxy Signature Schemes based on Secret Sharing and Diffie-bellman Problem)

  • 박소영;이상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1권8호
    • /
    • pp.465-472
    • /
    • 2004
  • 권한 위임은 군대, 기업, 은행 등의 계층 그룹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할 수 있다. 대리서명 (proxy signature)은 서명 권한을 위임받은 대리서명자가 원 서명자를 대신하여 유효한 전자서명을 생성하고 검증할 수 있는 전자서명 프로토콜이다. 계층 구조를 갖는 B2B 전자 거래 및 전자서명의 활용 범위가 다양화됨에 따라 이를 반영하는 보다 안전한 대리서명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계층 그룹에서 반복적 권한 위임을 허용함으로써 대리서명자들이 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는 새로운 멀티 대리서명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한 명의 대리서명자가 아닌 복수의 대리서명자가 모여야만 원 서명자를 대신해 하나의 유효한 대리서명을 생성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강화된 안전성을 제공한다 대리서명 생성을 위한 권한 위임은 비밀분산법과 Diffie-Hellman 문제에 의해 생성된 위임티켓을 통해, 계층 구조의 상위 계층에서 하위 계층으로 이루어진다. 위임받은 대리서명자 중에서 대리서명에 참여할 수 없는 대리서명자는 다시 자신의 하위 계층의 참가자들에게 개별 위임을 수행함으로써, 대리서명 권한이 반복적으로 위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대리서명자 그룹이 동적으로 구성된다.

이동통신 환경에 적합한 효율적인 Proxy-Signcryption 방식 (An Efficient Proxy-Signcryption Scheme for Mobile Communications)

  • 김동우;박지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518-526
    • /
    • 2003
  • 이동통신의 발전에 따라 향후 이동통신 시스템은 많은 사용자들에게 고품질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따라서 이와 관련된 많은 기술적 응용 분야들이 고려되고 있으며, 특히 보안 관련 분야의 도입을 통해 기밀성 및 안전성을 획득하려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이동통신 환경에서 상대적으로 계산능력이 뛰어난 에이전트(agent)의 도움을 통해 디지털 서명 및 암호화를 수행 할 수 있는 효율적인 Proxy-signcryption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방식은 대리서명을 수행할 경우 발생 할 수 있는 사용자와 대리서명 에이전트의 부정 서명 생성 및 부인행위를 방지하도록 구성하였으며, 동시에 정당한 수신자가 서명을 확인하도록 함으로서 이동 통신상에서 기밀성과 안전성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 PDF

RSA 문제와 위임장에 기반한 안전한 대리서명 기법 (Secure Proxy Signature Schemes based on RSA Problems and Warrants)

  • 서문석;장필식;최출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42-49
    • /
    • 2011
  • 대리서명기법은 대리서명자로 하여금 원서명자를 대신해서 대리로 서명할 수 있도록 구성한 서명 방식을 말한다. 대리서명의 기본 요구조건으로는 위조 불가능성 및 위임 검증 가능성이 있다. 현재까지 다양한 대리서명기법들이 제시되어 왔으나 기본 요구조건들의 복합적인 공격유형에 대해서 안전성 검증이 이루어 지지 못하였다. 특히 RSA 문제에 기반 한 대리서명기법들은 위임 검증 가능성 측면에서 가장 공격(Impersonating Attack)에 취약함이 제시되어 공격자가 자신의 개인키로 원서명자의 동의나 인증 없이 유효한 대리서명의 생성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복합적 공격유형인 가장 공격에서의 안전성 검증이 가능한 새로운 대리서명기법으로 RSA문제와 인증서 기반의 위임장을 활용한 대리서명기법을 제안하였으며 타 대리서명기법들과 효율성 측면에서 비교해 보았다.

유효 기간을 갖는 포워드-시큐어 대리 서명 방법 (A Time-limited Forward-secure Proxy Signature Scheme)

  • 김상희;조태남;이상호;채기준;박운주;나재훈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0권4호
    • /
    • pp.484-493
    • /
    • 2003
  • 대리 서명이란 원 서명자가 대리 서명자에게 서명 권한을 위임하여, 대리 서명자가 원 서명자를 대신해서 서명을 생성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리 서명자가 위임받은 권한은 유효 기간을 가지며, 이를 위해 위임 정보에 위임 기간을 포함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방법에서는, 대리 서명자의 서명 생성 시간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유효 기간이 만료된 대리 서명자의 서명 위조를 막을 수 없고, 위임기간 중에 대리 서명키가 노출되었을 경우 정당한 대리 서명자가 과거에 생성한 서명 타당성을 보호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위임 기간이 만료된 대리 서명자의 서명 위조를 막고, 현재의 서명키가 노출되더라도 과거 서명의 타당성이 보호되는 새로운 서명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유효 기간을 갖는 포워드-시큐어 대리 서명 프로토콜은 원 서명자가 시간 관련 파라미터를 제어하므로 정화한 시간 정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이나 정책에 따라 설정된 서명키 갱신 구간별로 포워드-시큐어한 속성을 만족시킨다.

이동 통신에서 적용 가능한 수신자 지정 대리 서명 방식 (A Digital Nominative Proxy Signature Scheme for Mobile Communication)

  • 박희운;이임영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7-35
    • /
    • 2001
  • 최근 무선 이동 통신의 발전을 기반으로 향후 이동 통신 시스템은 많은 사용자들에게 현재보다 더 나은 고품질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이와 관련된 많은 기술적 응용 분야들이 고려되고 있으며, 특히 보안 관련 분야의 도입을 통해 기밀성 및 안전성을 획득하려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무선 이동 통 신상에서 상대적으로 계산 능력이 뛰어난 Agent의 도움을 통해 사용자의 전자 서명 및 암호화를 수행할 수 있는 수신 자 지정 대리 서명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 방식은 대리 서명을 수행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 및 대리 서명 Agent의 부정 서명 생성 및 부인 행위를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동시에 정당한 수신자가 서명을 확인하도록 함으로서 이동 통신상에서 기밀성을 획득하는 안전한 방식이라 하겠다.

New Proxy Blind Signcryption Scheme for Secure Multiple Digital Messages Transmission Based on Elliptic Curve Cryptography

  • Su, Pin-Chang;Tsai, Chien-Hua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1권11호
    • /
    • pp.5537-5555
    • /
    • 2017
  •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unlinkability, anonymity, and unforgeability, blind signatures are widely used for privacy-related applications such as electronic cash, electronic voting and electronic auction systems where to maintain the anonymity of the participants. Among these applications, the blinded message is needed for a certain purpose by which users delegate signing operation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a trusted manner. This application leads to the need of proxy blind signature schemes. Proxy blind signature is an important type of cryptographic primitive to realize the properties of both blind signature and proxy signature. Over the past years, many proxy blind signature algorithms have been adopted to fulfill such task based on the discrete logarithm problem (DLP) and the elliptic curve discrete log problem (ECDLP), and most of the existing studies mainly aim to provide effective models to satisfy the security requirements concerning a single blinded message. Unlike many previous works, the proposed scheme applies the signcryption paradigm to the proxy blind signature technology for handling multiple blinded messages at a time based on elliptic curve cryptography (ECC). This innovative method thus has a higher level of security to achieve the security goals of both blind signature and proxy signature. Moreover, the evaluation results show that this proposed protocol is more efficient, consuming low communication overhead while increasing the volume of digital messages compared to the performance from other solutions. Due to these features, this design is able to be implemented in small low-power intelligent devices and very suitable and easily adoptable for e-system applications in pervasive mobile computing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