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venance test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5초

Variation in Seed and Cone Characteristics of Loblolly Pine (Pinus taeda L.) Families in Southern Part of Korea

  • Lee, Hyunseok;Lim, Hyemin;Lee, Wiyoung;Jang, Kyunghwan;Kang, Junwo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1호
    • /
    • pp.82-86
    • /
    • 2018
  • Loblolly pine (Pinus taeda L.)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United States and it has been used as a major economic species in the region due to its excellent growth and stem straightness. The tree also grows only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because it is susceptible to cold. Recently climate changes have had widespread impacts on forest trees. Thus, the use of good quality seeds is prerequisite for assessing assisted migration adaptation trial. In this study, we conducted to investigate its cone and seed characteristics of each family, which is expected to improve seeds productivity for planting valuable timber trees. A total of 14 families were selected from the experimental forest in Boseong, Jeonnam province in 1981. The seed production capacity was estimated to range from 87.2 to 129.4 among families and the average was 111.3. The number of aborted ovules was investigated in the range of 11.4 to 29.5 for the first test and 7.4 to 22.2 for the second test. The average number of empty and filled seeds was 1.4 and 79.2 per cone,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we can conclude that there i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fertile scale and the seed production ability.

Effects of Provenances, Storage Temperature and Duration on Seed Germination of Bombax costatum Pellegr & Vuillet

  • Omoyemi, Ojo Morenike;Olatunji, Asinwa Israel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7권3호
    • /
    • pp.235-242
    • /
    • 2021
  • Seed morphology, physiology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have influence on germination of any tropical seeds and their appropriate handling, processing and handling enhances seeds emergent. This study therefore investigated effects of storage durations under different temperatures on germination of Bombax costatum seeds from different provenances. Fresh 25 seeds of B. costatum in four replicates were collected from four different provenances (Aponmu, Oluwa, Ibadan and Oyo). They were surface sterilized, thoroughly washed in distilled water and stored at four different temperature regimes: 28℃, 21℃, 5℃ and -17℃. Samples were taken every 2 months for germination test for 18 months. Germination assessment was carried out daily and recorded. The experimental design was 4×4×10 factorial in 4 replicates. Data were subjected to percentages and analysis of variance (ANOVA).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torage temperatures, storage durations and provenances on germination percentage. Freshly collected seeds from Aponmu and Oyo had the highest mean germination of 100% followed by seeds from Ibadan (89.3%). Seeds from Oyo provenance stored 5℃ had germination of 94.0%, 88.70% and 78.7% at 2nd, 4th and 6th month respectively. Seeds from Ibadan and Oyo stored at 28℃, 21℃ recorded 0.0% starting from 8 months of storage. Germination of B. costatum seeds from the four provenances decreased with increase in storage duration at different temperatures.

광화문 월대 부재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및 석재공급지 추정 (Petrological Study and Provenance Estimation on the Stone Materials used in the Woldae of Gwanghwamun, Korea)

  • 박성철;박상구;김성태;김재환;좌용주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6-55
    • /
    • 2019
  • 본 연구는 광화문 월대로 사용된 석재를 대상으로 암석학적 연구를 활용한 석재공급지를 추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월대는 2010년에 일부 구간이 다시 복원된 것으로 원부재인 담홍색 화강암과 신석재인 회백색 화강암이 사용되었다. 석재공급지 추정을 위해 북한산과 수락산의 지질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채취한 시료는 모두 담홍색 화강암과 유사한 특징을 보였다. 전암대자율은 북한산에 비해 수락산의 값이 크고 암석의 색에서 부분적인 차이를 보이지만 수락산이 상대적으로 선명한 담홍색을 띤다. 수락산은 월대에 사용된 원부재와 비슷한 암석기재적 특징, 전암대자율, 역사적 사료 그리고 야외조사 시 발견된 채석흔적 등을 통해 최종 복원용 석재공급지로 판단된다. 물성시험 결과, 월대 원부재는 풍화로 인해 147 MPa로 다소 낮은 수치를 보이며 석재공급지로 생각되는 수락산은 244 MPa 높은 값을 보여 안정성까지 확보되어 양질의 석재로 사용 가능하다. 수락산 일대는 주거지역이 일부 포함 되어 있어 행정적인 문제, 자연파괴, 인근 주민 생활권 침해가 발생하여 채석활동은 어렵다. 또 다른 대안으로 QAP조성, 광물조직, 암색 등의 암석학적특징 및 물리적 특성까지 유사한 중-조립질 담홍색화강암의 포천 창수석과 영중석을 제안할 수 있다.

포항 중성리신라비와 영일 냉수리신라비의 재질특성과 산지해석 및 훼손도 진단 (Material Characteristics, Provenance Interpretation and Deterioration Diagnosis of Shilla Stone Monuments in Jungseongri and Naengsuri, Pohang)

  • 이명성;한민수;김재환;김사덕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3권3호
    • /
    • pp.122-143
    • /
    • 2010
  • 2009년 5월에 경북 포항시 북구 흥해읍 중성리 도로개설 공사현장에서 발견된 중성리신라비는 부정형 암석의 한 면에 200여 개의 글자가 음각되어 있으며, 지금까지 알려진 신라시대 비석 중 가장 오래된 영일냉수리신라비보다 먼저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중성리신라비의 구성암석은 흑운모가 다량 함유된 흑운모화강암이며 냉수리신라비는 장석과 각섬석이 반정을 가지고 있는 화강섬록반암으로 추정된다. 이 암석에서는 유색광물의 집합체인 포획암과 작고 불규칙한 공동이 관찰되며, 신광면 일대에 분포하는 흑운모화강암 및 기계면 일대에 분포하는 화강섬록반암과 유사한 암석으로 판단된다. 중성리신라비와 냉수리신라비에 나타나는 훼손현황은 변색에 의한 오염과 부분적으로 관찰되는 균열과 부재의 탈락이다. 이는 비의 안정성에는 특별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보이나 중성리신라비의 전면에 걸쳐 발생된 흑색 및 갈색 변색은 미관을 해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중성리신라비에서 관찰되는 흑색변색은 상대적으로 Mn과 Fe이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갈색변색 부분은 Fe가 높게 측정되었다. 중성리신라비와 냉수리신라비의 초음파속도 분포 경향과 전체적인 풍화도를 비교 분석해보았을 때, 두 비 모두가 중간풍화단계(MW)에 해당되나 중성리신라비가 넓은 초음파 속도 분포를 보이며 평균적으로 다소 낮게 나타났다. 이는 최근 발견되기까지 아무런 보호시설 없이 매장 및 자연환경에 노출되어 있었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향후 보존처리와 더불어 적절한 보존환경을 마련하는 등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World as Seen from Venice (1205-1533) as a Case Study of Scalable Web-Based Automatic Narratives for Interactive Global Histories

  • NANETTI, Andrea;CHEONG, Siew Ann
    • Asian review of World Histories
    • /
    • 제4권1호
    • /
    • pp.3-34
    • /
    • 2016
  • This introduction is both a statement of a research problem and an account of the first research results for its solution. As more historical databases come online and overlap in coverage, we need to discuss the two main issues that prevent 'big' results from emerging so far. Firstly, historical data are seen by computer science people as unstructured, that is, historical records cannot be easily decomposed into unambiguous fields, like in population (birth and death records) and taxation data. Secondly, machine-learning tools developed for structured data cannot be applied as they are for historical research. We propose a complex network, narrative-driven approach to mining historical databases. In such a time-integrated network obtained by overlaying records from historical databases, the nodes are actors, while thelinks are actions. In the case study that we present (the world as seen from Venice, 1205-1533), the actors are governments, while the actions are limited to war, trade, and treaty to keep the case study tractable. We then identify key periods, key events, and hence key actors, key locations through a time-resolved examination of the actions. This tool allows historians to deal with historical data issues (e.g., source provenance identification, event validation, trade-conflict-diplomacy relationships, etc.). On a higher level, this automatic extraction of key narratives from a historical database allows historians to formulate hypotheses on the courses of history, and also allow them to test these hypotheses in other actions or in additional data sets. Our vision is that this narrative-driven analysis of historical data can lead to the development of multiple scale agent-based models, which can be simulated on a computer to generate ensembles of counterfactual histories that would deepen our understanding of how our actual history developed the way it did. The generation of such narratives, automatically and in a scalable way, will revolutionize the practice of history as a discipline, because historical knowledge, that is the treasure of human experiences (i.e. the heritage of the world), will become what might be inherited by machine learning algorithms and used in smart cities to highlight and explain present ties and illustrate potential future scenarios and visionarios.

Characteristics and Germination of Xanthoceras sorbifolia Bunge Seeds Originated from Inner Mongolia and Liaoning, China

  • An, Chan-Hoon;Lee, Hyun-Seok;Yin, Zhi-Yang;Yi, Jae-Seo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7권3호
    • /
    • pp.151-156
    • /
    • 2011
  • Seeds of Xanthoceras sorbifolia Bunge were collected from two plantations and two superior trees in Inner Mongolia: and one plantation and one superior tree in Liaoning, China in late August, 2011. Yellowhorn or goldenhorn is an important tree species, from the aspects of source of edible oil and biodiesel and pioneering capacity of degraded and desert land. Characteristics investigated were seed length, width, and weight: weight and volume of 1,000 seeds: and weight and volume of one-liter seeds. The seeds of Qingsonglingxiang No. 1, growing alone in an open space, showed the highest values in seed length (16.08 mm), width (14.48 mm) and weight (1.40 g), while those of Tree No. 160 in Ar Khorqin Banner were the lowest ones: that is, 11.48mm for length, 11.81 mm for width, and 0.73 g for weight, respectively. Traits of seeds varied quite much between trees and among areas; for example, Tree No. 38 and No. 160 produced quite different seeds in several traits, although they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same farm. Weight of 1,000 seeds varied from 718.0 g to 1,010.1 g and volume from 0.76 L to 1.52 L. Weight of one-liter seeds were 522.3 g to 688.2 g, while the number of seeds were 603 to 935. Seeds which were soaked in the water at $4^{\circ}C$ for 2 days showed the highest germination rate (89%) in a 30-day test, which was about 10% to 40% higher than those of non-treatment and dipping treatment at $36^{\circ}C$ followed by keeping under room temperature for 2 days. 81% of seeds in the wet sand at room temperature germinated, while 23% of seeds deprived of seed coat germinate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seed traits to select superior clones or provenances for the increased, unfluctuating production of seed.

스트로브잣나무의 조림지역에 따른 산지별 생장반응 (Growth Performance of Pinus strobus at Four Plantations in Korea)

  • 최형순;유근옥;권해연;전두식;김경환;안찬기;안영환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77-386
    • /
    • 2008
  • 스트로브잣나무의 생장을 산지별, 조림지별로 조사 분석한 결과, 국내에서 가장 우수한 생장을 나타내는 산지는 North Carolina, 가장 우수한 조림지는 춘천이었는데, 측정형질 공히 산지보다는 조림지에 따른 생장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형상비 분석을 통한 수목 생장은 비교적 안정적이었으며, 조림지별로 수령에 따라 매우 다른 양상을 나타냈다. 스트로브잣나무의 생장 강수량, 안개일수, 고도, 토양의 모래함량과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으며, 연령 간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냄으로서 유령기 생장순위가 중기까지 그대로 유지되어 우수 산지 조기 선발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종가시나무(Quercus glauca)의 육종집단 조성과 기후인자 (Establishment of Breeding Population For Quercus glauca and Climatic Factors)

  • 손석규;김효정;강영제;오찬진;김찬수;변광옥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09-114
    • /
    • 2011
  • 국내에 자생하고 있는 상록성 참나무류 중 종가시나무(Quercus glauca)의 기본육종집단을 조성하였다. 2002년부터 2005년에 걸쳐 제주도지역의 자생집단내에서 모수의 우수한 표현형(phenotype)에 의한 직접선발(direct selection) 과정을 거쳐 종가시나무 35가계를 선정하였다. 이들의 자연교잡된 종자로부터 양성된 차대목을 2006년 6월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산림연구소 시험림내 2개 장소(한남시험림, 상효시험림)에 열식 반복으로 식재하였다. 식재 후 3년이 경과한 2009년 9월에 차대목의 생장검정을 실시한 결과, 한남시험림의 차대목 수고평균은 66.8cm로 나타났으며 상효시험림에서는 92.5cm로 조사되었다. 근원경에서는 한남의 차대목들이 9.3mm, 상효의 차대목들이 12.2mm로 조사되어 상효지역에 식재된 차대목들의 생장이 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재된 두 지역의 기상인자 중에서 평균온도와 강수량에 있어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두 지역간의 차대목 생장에 영향을 미치는 한 가지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가계간과 가계내 개체간에도 차대목의 수고생장 정도에도 큰 편차를 보였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향후 지역적응성 및 선발차(selection differential)와 유전력(heritability) 검증을 거쳐 조성될 난대수종 채종원 조성의 기본 단계 재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생물종(生物種) 다양성(多樣性) 및 삼림유전자원(森林遺傳資源) 보존(保存) 전략(戰略) (Strategy for Bio-Diversity and Genetic Conservation of Forest Resources in Korea)

  • 박용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2호
    • /
    • pp.191-204
    • /
    • 1994
  • 삼림의 급격한 황폐화의 원인은 지구 환경의 악화와 무분별한 목재 자원의 남벌에 있다. 이러한 대규모의 삼림자원의 파괴에 의해 사라져가는 삼림 면적의 크기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 않게 그 안에 들어있는 식물종이 감소되어 가고 멸종되어 가는 것이 더욱 큰 문제가 된다. 이러한 종의 감소나 멸종이 가시적인 것이라고 한다면 종내의 유전변이의 감소는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진화과정에 있어서 종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유전자 변이 폭이 좁아지기 때문에 매우 심각한 문제가 된다. 재배작물에 있어서 유전자 보존은 육종을 위한 측면에서 중요한 연구분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야생종인 삼림의 경우에는 현재 인간이 육종에 필요한 최소한의 개체만 유지 보존함으로써 유전변이가 심하게 축소되어 지속적으로 생존 진화할 수 있는 기본적 유전자 변이를 잃어버리게 될 위험에 처할 수 있기 때문에 삼림의 유전자보존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다. 현재의 삼림 유전자 보존 정책은 현지보존, 현지외 보존, 시설내 보존으로 나누어 수행하고 있는데 아직도 그 방법이 확정되어 있지 않아서 많은 시행착오를 거듭하고 있다. 특히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는 같은 종의 삼림내 임목들간의 유전자변이를 조사 분석할 적당한 방법이 없으며 (동위효소변이에 많은 것을 의존하고 있으나 동위효소변이만으로 충분하지 못하다), 현지보존의 경우에도 얼마나 큰 집단을 또 어떤 행태로 보존해야 하는가에 대한 집단유전학적 이론 정립이 완전하지 못하다. 또한 현지외 보존의 경우 현지보존림의 유전변이를 빠짐없이 포함되도록 조성해야 할 구체적인 방법을 알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시설내 보존의 경우 종자 보관이나 화분 보관과 같은 기술적인 것은 재배작물의 방법을 적용하면 되지만 어떤 집단의 종자나 화분을 채집 보관해야 하는지에 대한 집단유전학적 근거가 아직 확실히 마련되고 있지 않다. 시설내 보존인 경우 기왕에 육종에 의해 선발된 개체를 유전자형(개체) 상태로 보존함으로써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연구는 새롭게 개발되고 있는 조직배양 및 유전공학적 기법을 이용하므로써 발전할 수 있는 여지가 많은 연구 분야이다. 현지보존의 경우 유전자 보존만의 목적으로 조성된 삼림뿐만 아니라 다른 목적으로 보호 받고 있는 많은 삼림, 예를 들면 국립, 도립공원, 보안림, 노거수 등에 대한 적절한 생태유전학적인 연구를 통하여 유전자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 강구되어야 하며, 현지외 보존의 경우에도 유전자원 보존림의 조성 뿐만 아니라 임목육종과정에서 기 조성되어 있는 채종원, 산지시험림, 차대검정림, 클론보존원 등에 대해서도 적절한 유전학적 연구 조사를 수행함으로써 현지외 유전자 보존림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PDF

영희전 감실 및 이안소의 공간 구성과 오봉산병풍의 특징 (Interior Settings of a Chamber and a Temporary Place of Enshrinement at Yeonghuijeon and Features of the Five Peak Screens for the Hall)

  • 손명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6권2호
    • /
    • pp.100-121
    • /
    • 2023
  • 본 논문은 조선 후기 설립된 영희전 감실 및 이안소의 공간 구성과 이곳에 사용된 오봉산병풍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이 과정에서 18세기 중엽 태조진전이 영희전의 예를 따라 오봉산병풍을 배설한 내용과 18세기 이전 태조진전의 감실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영희전 감실 구성의 연원도 살펴보았다. 영희전 감실은 태조진전 및 선원전과 달리, 당가 없이 온돌바닥 위로 난간이 달린 평상 형태를 한 대형의 용상을 놓았다. 이 용상 위로 4첩 오봉산병풍을 가운데 2첩은 뒤로 펴고 좌우 각 1첩은 나누어 펴 '⊓' 형태로 배설하였다. 난간을 단 평상 위로 첩병풍을 펼치는 배설 방식은 영희전 감실 조성 당시 태조진전이 아닌, 빈전 영침의 구성을 참조했을 가능성을 시사했다. 한편, 어진의 이안 시에는 용상보다 규모와 장식을 간략하게 한 난간평상을 사용했다. 이안소에는 감실과 같이 4첩 오봉산병풍을 '⊓' 형태로 설치했으나 평상 위에 올리지 않고 뒤편에서 난간평상을 감싼 형태로 펼친 후 어진을 봉안한 흑장궤를 그 위에 올렸다. 이 같은 배설 방식이 반영된 감실과 이안 소용 오봉산병풍은 모두 대형의 4첩 왜장 병풍으로 가운데 두 폭이 넓고 좌우로 접어 펴는 1·4폭이 좁은 형태였다. 장황은 별도의 하회장 없이 병풍 가장자리를 따라 회장을 둘렀다. 감실과 이안 소용 오봉산병풍은 장황과 배접 등의 재료에 일부 차이를 두어 배설 장소의 위상을 반영하였다. 문헌 기록에 대한 고찰을 통해 근현대기를 거치며 본래의 이력과 기능을 잃은 채 전하는 병풍 중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일월오봉도>와 <인정전오봉산병풍>이 영희전 병풍임을 추정할 수 있었다. 두 병풍은 배설 방식을 고려해 세 개의 봉우리와 해·달 등을 가운데 2·3폭에 대칭으로 배치하고 나머지 두 봉우리와 적송을 1·4폭에 그렸다. 한편, <인정전 오봉산병풍>은 병풍틀의 배접지로 1840년 답안 일부를 포함한 감시낙폭지를 사용해, 1858년 영희전 증건 시 향후 순조어진의 이안을 대비해 만든 이안청 병풍으로 추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