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toplast

검색결과 456건 처리시간 0.03초

Pelargonium aridum과 P. zonale 아속간의 원형질체융합 (Intersubgeneric Protoplast Fusion of Pelargonium aridum (Ligularia) and P.zonale(Ciconium))

  • 유순남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311-316
    • /
    • 1995
  • Pelargonium aridum과 P. zonale 아속간의 체세포 잡종을 얻기 위하여 이들로부터 원형질체를 유리하여 polyethylene glycol (PEG)와 electrofusion 방법으로 융합시켰다. 원형질체는 자엽과 본엽을 550 mM sucrose, 0.7% cellulase (OnozukaR-10), 0.4% Macerozyme이 함유된 MS 배지로 유리하였다. 배양밀도는 배지 mL당 원형질체수는 6 x $10^4$이 배양에 적당하였다. Electrofusion 방식으로 융합된 원형질체는 PEG방식으로 융합된 것보다 세포분열이 덜 활발하였다. 두종간의 원형질융합체는 550mM glucose, 1~2 mg/L NAA와 0.5~l mg/L BA가 함유된 M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때 캘러스를 형성하였다.

  • PDF

표지유전자로 형질전환된 연초와 감자로부터 원형질제의 유리 및 융합 (Protoplast Isolation and Fusion of Nicotiana glauca and Solanum tuberose Transformed by Selectable Marker Genes)

  • 양덕춘;박태은;민병훈;최경화;정해준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0-49
    • /
    • 1998
  • Protoplasts were isolated from mesophyll of tobacco(Nicotiana glauca) transformed with kanamycin-resistant gene (NPT II gene) and potato hairy root callus containing Ri plasmid of Agrobacterium rhiEogenes, and protoplasm fusion was made between the isolated protoplasts. The transgenic tobacco leaf tissue could grow on the media containing high concentrations of kanamycin, but not on the phytohormone-free media. On the other hand, the potato hairy root calli could be cultured on the phytohormone-free media but not on media containing more than 40 ㎍/ml kanamycin. In these conditions, the viability of both protoplasts were above 90%, These selection markers were used for the selection of protoplasts fused between the two, i.e. protoplast fusion was detected using selection media containing 100㎍/ml kanamycin and with no phytohormone. The mixture of 1.0% cellulase, 0.3% macerozyme, and 0.7M mannitol was best for the maximum protoplast production for tobacco, and that of 2.0% cellulase, 2.0% macerozyme, 1.0% dricelase, and 0.5M mannitol for potato. Both tobacco mesophyll and potato callus protoplasts were fused by using PEG solution on the selectable medium. Cell walls were regenerated after 5 days in this medium, and colonies were alive until 4 weeks after cultural, but died after 6 weeks.

  • PDF

원형질체 융합 및 핵전이에 의한 새로운 담자균류의 개발에 관한 연구(I) - 융합균사체의 항암성분 - (Studies on Development of New Basidiomycetes by Protoplast Fusion and Nuclear Transfer I - The Antitumor Components of the Protoplast fusants -)

  • 문철;윤종명;김채균;김하원;최응칠;김병각
    • 생약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24-230
    • /
    • 1996
  • To find pharmacologically active hybrids among the inter-order protoplast fusants of Lentinula edodes and Ginoderma lucidam the antitumor test was performed and the fusant P22 was selected among them. The hot water and alkaline extracts from the cultured mycelia of P22 were purified and separated into four fractions by DEAE-cellulose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When a dose of 20 mg/kg/day of each fractions was injected into ICR mice by i.p., the tumor inhibition ratio of Fr. IV against solid sarcoma 180 was the higher than any other fraction. Fr. IV was a protein-bound polysaccharide which was composed of 69. 12% polysacchafide and 9.76% protein and the molecular weight of Fr. IV was $6.7{\times}10^4$ dalton.

  • PDF

Bacillus spp.의 원형질체 형성 및 재생 (Protoplast Formation and Regeneration of Bacillus spp.)

  • 최기춘;김광현;전우복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18
    • /
    • 1997
  •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in improving protoplast formation and regeneration of antagonistic bacteria against phytopathogenic fungi and pest. The antagonistic rhizobacterium, BS 101, against Rhizoctonia solrmi and Fusurium oxyspomm was isolated and identified as Bacillus subtilis. Another bacterium for protoplast formation and regeneration was B. thuringiensis subsp. kurstcJtiHD-l (BT 37669) which have insectcidal toxin in the orders Coleopteria, Dipteria etc.. Auxotrophic mutants, BS 1013 and BT 69, were isolated by treating with NTG 300 ug/ml for 40 min. at $37^{\circ}C$, and with NTG 300 ug/ml for 30 min. at $37^{\circ}C$, respectively. The BS 1013 and BT 69 were converted to protoplas by treating with lysozyme 300 ugh1 for 30 min. at 37C, and lysozyme 9 mglml for 60 min. at $37^{\circ}C$, respectively. The fequencies of the protoplast formation of BS 1013 and BT 69 were 90.00 and 92.83% respectively, after 1~2 day at $37^{\circ}C$. The regeneration kequencies of the protoplasts BS 1013 and B T 69 were 0.52 and 0.10%, respectively, after 4~6 days at $37^{\circ}C$.

  • PDF

전기장하에서의 담배 및 완두 원형질체 융합 (Electrofusion of Tobacco and Pea Protoplasts)

  • 서정우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9권1호
    • /
    • pp.1-10
    • /
    • 1986
  • Intra- and inter-specific protoplast fusion of tobacco (Nicotiana tabacum cv. Virginia 115) and pea (Pisum sativum cv. Sparkle) were carried out in highly inhomogeneous alternating electric fields. Under the electric field of alternating current (AC, sine wave), 600 V/cm and 800 kHz for tobacco protoplast, and 600 V/cm and 700 kHz for pea protoplasts, the protoplasts were aggregated in pearl chains. Intra-specific protoplast fusions were most effectively induced within the aggregates of tobacco and pea, respectively, by the additional application of a single high field pulse of direct current (DC, square wave) at 1 kV/cm for 50 $mutextrm{s}$. Inter-specific fusions between protoplasts of the two plants were most effectively induced in the electric field of 600 V/cm and 700 kHz, and square wave pulse at 1 kV/cm for 50 $mutextrm{s}$. The duration of the pulse over the electrical breakdown voltages was simulated from 1 to 100 $mutextrm{s}$ in both tobacco and pea protoplast. The yield of the electrofusion products was significantly high (above 60%), compared with that (20%) of the standard fusion method by polyethylene glycol (PEG) 4,000, and the viability of electrofused protoplasts was above 70%, but that of PEG-fused protoplasts 8~16%, when determined by Evan's blue staining method.

  • PDF

이태리포푸라 I-214 엽육조직(葉肉組織)에서 원형질체(原形質體) 분리(分離)에 미치는 몇가지 요인(要因) (Factors Affecting the Isolation of Mesophyll Protoplasts from Populus euramericana cv. I-214)

  • 박용구;손성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4권1호
    • /
    • pp.29-36
    • /
    • 1986
  • 이태리포푸라 I-214 (Populus euramericana cv. I-214)의 기내배양(器內培養)한 엽육조직(葉肉組織)에서 원형질체(原形質體) 분리(分離)에 미치는 몇가지 요인(要因)에 대(對)해 조사(調査), 검토(檢討)하였다. 기내(器內)에서 배양(培養)된 아(芽)를 다량(多量)으로 증식(增植)하기 위한 배지(培地)는 MS 기본배지(基本培地)에 $0.1mg/{\ell}$의 BAP를 첨가(添加)한 것이 가상 좋은 성적을 나타냈다. 엽(葉) 1g 당(當) $2.4{\times}10^6$개의 가장 높은 원형질체(原形質體) 분리(分離) 빈도를 나타낸 것은 Cellulase R-10 2 %, Macerozyme R-10 0.8 %, Hemicellulase 1.2 %, Driselase 2.0 %, Pectolyase Y-23 0.05 %에 DTT와 MES 완충액을 첨가(添加)한 후 삼투압 안정제로 0.6 M의 Mannitol을 넣고 pH를 5.6으로 조정한 효소용액(酵素溶液)이었다. CPW 용액(溶液)으로 세정(洗淨)한 후 0.6 M의 Sucrose 용액(溶液)에 처리(處理)한 것이 회수율(回收率) 51.8 %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PDF

Aspergilluis oryzae의 원형질체 융합 (Protoplast fusion of Aspergillus oryzae)

  • 이수연;이주실;이영록
    • 미생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16-220
    • /
    • 1989
  • Aamylase 활성이 높은 Aspergillus oryzae와 알콜발효능이 있는 Saecharomyccs cerevisiae의 원형질체융합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amylase 활성이 있는 A. oryzae의 종내원형질체를 융합시켜 이들융합체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영양요구성 돌연변이 균주의 mycellia로부터 원형질체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lytic enzyme으로 Novozyme 234가 효과적이였고 완충용액의 pH는 5.5에서 6.0사이가 최적이었다. F usogen으로 30% PEG4,000를 사용하였을 때 효과적으로 원형질체의 융합이 이루어졌으며 이들 융합체의 대부부은 heterokaryons이었다. 원형질체의 형태와 PEG처리후 융합되는 과정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원형질체의 재생율은 재생배지와 균주에 따라 1.46~14%이었고, A. oryzae 종내융합율은 0.12-0.16이었다. 융합체의 DNA함량을 조사한 결과 모균주보다 약 1.5배정도 증가됨을 보였고 융합체들의 amylase 활성은 융합체에 따라 다소 차이를 냐타내었다. 가장 높은 amylase 활성을 나타낸 융합체들의 amylase 활성은 융합체에 따라 다소 차이를 나타내었다. 가장 높은 amylase 활성을 나타낸 융합체 F2-2에 있어서는 야생균주 ATCC 22788의 그것보다 amylase 활성이 약 1.5배 가량 높았다.

  • PDF

Rhizoctonia solani 융합균(融合菌) 간(間)의 원형질체형성(原形質體形成) 및 융합(融合) (Protoplast Formation and Fusion between Anastomosis Groups of Rhizoctonia solani)

  • 정후섭;김달수;안희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4-50
    • /
    • 1992
  • Rhizoctonia solani의 균사융합군(AG) 중에서 생장속도가 빠른 AG-1과 AG-4는 가장 많은 원형질체를 형성하였으며 속도가 느린 AG-3은 저조하였고 중간인 AG-2와 AG-5는 또한 중간이었다. 균핵의 형성은 AG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Cellulase "onozuka" R-l0, macerozyme R-10, ${\beta}-glucuronidase$의 효소 복합액에서 가장 많은 원형질체를 형성하였다. 5개 융합군은 30시간 배양한 3g의 균사를 0.6 M mannitol이 첨가된 효소 복합액에 $32^{\circ}C$에서 3-4시간 처리하면 가장 많은 원형질체를 형성하였다. 균핵을 형성하는 AG-1을 열처리로 불활성화시킨 후 균핵을 형성하지 않는 AG-5의 원형질체를 PEG와 ${Ca}^{2+}$로 융합시켰다. 재생배지상에서의 균총의 특징과 균핵의 형성에 의해 7 개의 원형질 융합체를 선발하고 esterase 동위효소의 zymogram 및 AG-1 과 융합체인 F150l 사이에서 일어나는 killing reaction으로 확인하였다.

  • PDF

맛느타리버섯(Pleurotus sapidus Kalchbr)의 원형질체 분리 및 환원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rotoplast Formation and Reversion of Pleurotus sapidus Kalchbr)

  • 유창현;유영복;박연희
    • 한국균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14-219
    • /
    • 1988
  • 맛느타리버섯(Pleurotus sapidus)의 원형질체 분리 및 환원에 영향을 미치는 제 요인의 최적조건을 구명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원형질체의 분리에 알맞는 균사체의 배양은 ${30}^{\circ}C$의 버섯완전배지에서 4일이며, 세포벽 분해효소는 Novozym 234, ${\beta}-D-Glucanase$, ${\beta}Glucuronidase$를 각각 15mg/ml씩 혼합 사용하였을 때 가장 양호하였다. 또한 삼투압 조절제로는 0.6M Sucrose를 pH 조절없이 사용하고 ${30}^{\circ}C$에서 2시간동안 반응시키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원형질체의 환원은 삼투압 조절제로 0.6M Sucrose를 사용하고, 0.75%의 한천을 피복하였을때 환원율이 2%로 최대였다.

  • PDF

Brevibacterium lactofermentum의 원형질체 융합에 의한 유전자 재조합 (Genetic Recombination of Brevibacterium lactofermentum by Protoplast Fusion)

  • 이혜경;최순영;윤윤경;이영하;민경희
    • 미생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98-103
    • /
    • 1990
  • 원형질체 융합에 사용할 genetic selection marker로써 자외선 조사와 NTG 처리에 의해 Brevibacteriurn lactofermeηturn S SWA(arg trp)와 B. lactofermenturn SWB(met ser)를 분리하였다. 이 균주릎 배양하여 증식기에 penicillin G를 처리한 후, 0.4 M sucrose를 첨가한 lysis fluid에서 lysozyme을 $400\mu\textrm{g}$/ml의 농도로 16시간 처리 하였을 때, B. lactofermenturn SWA는 99.98%, B. lactofermentum SWB는 99.93%의 원형질체 형성률을 나타내었다. 윈형질체 융합에서는 100 mM $CaCl_{2}$, 30%의 PEG 6,000과 fusion fluid릎 15분간 처리하였을때, B. lactofermentum SWA와 B. lactofermentum SWB의 융합빈도는 $2.30\times 10^{-5}$로 나타내었다. 원형질체 융합에 의해 언어진 융합균주의 유전적 분석을 위해 selective media와 non-selective media에서 생장한 colony를 계산함으로써 각 marker간의 재조합주의 형성빈도를 조사하였으며, 이들을 분석하여 유전자간의 순서를 결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