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ton conductivity

검색결과 309건 처리시간 0.02초

Polysulfone/SPEEK 블랜드 고분자 전해질 막 제조 및 특성 연구 (Preparation and Their Characterization of Blende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of Polysulfone and Sulfonated Poly(ether ether ketone))

  • 천훈상;오민;홍성욱
    • 멤브레인
    • /
    • 제13권1호
    • /
    • pp.47-53
    • /
    • 2003
  • Poly(ether ether ketone)(PEEK)를 황산을 사용하여 설폰화시킨 후 폴리설폰과 다양한 조성으로 혼합하여 블렌드 고분자 전해질 막을 제조하였고 조성의 변화에 따른 메탄을 투과도, 수소이온전도도, 그리고 이온교환용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폴리설폰의 경우 이온전도도는 낮은 반면에 메탄올에 대한 저항은 우수하였다. 그러나, 설폰화된 PEEK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메탄을 투과도와 수소이온전도도가 함께 증가하였다. 이온전도도와 메탄을 투과도의 비로부터 폴리설폰의 양이 20%일 때 가장 좋은 선택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Effect of the Molecular Weight of Poly(vinyl alcohol) Blended with Sulfonated Polysulfone Membranes for Fuel Cell Applications

  • Chang, Sung-Hyuk;Chung, Sung-Il;Rhim, Ji-Won
    • Korean Membrane Journal
    • /
    • 제5권1호
    • /
    • pp.18-24
    • /
    • 2003
  • In order to improve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ulfonated polysulfone (SPSf) membranes previously synthesized in our laboratory, poly(vinyl alcohol) (PVA) was blended which is well known as the excellent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The resulting membranes blended with several molecular weight of PVA varying from 13,000 to 124,000 have been characteriz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VA molecular weight in terms of ion conductivities, methanol permeabilities, water contents and ion exchange capacities for both heat treated and untreated membranes at 150$^{\circ}C$. The proton conductivity is decreased as the molecular weight of PVA increases. The plain SPSf-6.0 showed the proton conductivity of 0.078 S/cm whereas the blended membrane with M.W. 31,000 PVA indicated 0.04 S/cm. For methanol permeabilities, when PVA is added to SPAf-6.0, methanol crossover is increased because of the gain of the hydrophilicity from 3.4 to 6.5${\times}$10$\^$-6/ $\textrm{cm}^2$/s. For the annealed blended membranes (with M.W. 31,000 PVA), both the methanol corssover and proton conductivity showed very consistent values, about 2.3${\times}$10$\^$-6/ $\textrm{cm}^2$/s and 0.036 S/cm, respectively.

일체형 재생연료전지 적용을 위한 sGO 함량 변화에 따른 sGO/sPEEK 복합막의 특성 평가 (The Effect of sGO Content in sPEEK/sGO Composite Membrane for Unitized Regenerative Fuel Cell)

  • 정호영;김민우;임지훈;최진혁;노성희
    • KEPCO Journal on Electric Power and Energy
    • /
    • 제2권1호
    • /
    • pp.127-131
    • /
    • 2016
  •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unitized regenerative fuel cells requires high proton conductivity, high dimensional stability, low permeability, and low cost. However, DuPont's Nafion which is a commercial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has high permeability, high cost, and decreasing proton conductivity and dimensional stability over $80^{\circ}C$. To address these problems, sulfonated poly ether ether ketone (sPEEK) which is a low cost hydrocarbon polymer is selected as matrix polymer for the preparation of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In addition, composite membrane with improved proton conductivity and dimensional stability is prepared by introducing sulfonated graphene oxide (sGO). The fundamental properties of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are analyzed by investigating membrane's water content, dimensional stability, proton conductivity, and morphology. The cell test is conducted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sPEEK/sGO composite membrane for an unitized regenerative fuel cell.

BaZrO3계 수소이온 전도체의 제조 및 첨가물에 따른 전기적 특성 (The Fabrication of BaZrO3-based Proton Conductors and their Electrical Properties by Dopants)

  • 권정범;유광수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415-422
    • /
    • 2003
  • BaZr $O_3$를 기본으로 첨가제(Ce, Yb)를 넣어 B자리인 Zr을 부분적으로 치환하였고 Ce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4가지의 조성을 갖는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을 임피던스 분석 장치를 이용하여 건조공기 분위기와 수증기 분위기에서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600^{\circ}C$ 이하의 낮은 온도 영역에서, 수증기 분위기에서의 전기전도도가 건조공기 분위기에서의 전기전도도 보다 모든 조성에서 높은 값을 나타냈고 Ce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전도도 값을 보였다. BaZ $r_{0.8}$C $e_{0.15}$Y $b_{0.05}$ $O_3$$_{-{\delta}}$조성을 갖는 시편이 80$0^{\circ}C$에서 가장 높은 1.72$\times$$10^{-3}$ S$cm^{-1}$ / 전기전도도 값을 나타냈다. 낮은 온도영역에서는 수소이온 전도에 의해 건조공기 분위기 보다 수증기 분위기에서 높은 전지전도도를 나타냈지만 온도가 올라갈수록 수소이온 전도도가 줄어들면서 $700^{\circ}C$ 근처에서는 거의 비슷한 값을 보였다.

$SrCe_{0.95}Yb_{0.05}O_3$의 결함엄개와 전기전도 특성 (Defect Structure and Electrical Conductivities of $SrCe_{0.95}Yb_{0.05}O_3$)

  • 최정식;이도권;유한일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71-279
    • /
    • 2000
  • 5 m/o Yb-doped SrCeO3 proton conductor was prepared by a solid state reaction method and its total electriccal conductivity measured as a function of both oxygen partial pressure and water vapor partial pressure in the temperature range of 500~100$0^{\circ}C$. From the total conductivity have been deconvoluted the partial conductivities of oxide ions, protons, and holes,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the defect model proposed. The equilibrium constant of hydrogen-dissolution reaction, proton concentration, and mobilities of oxygen vacancies and protons have subsequently been evaluated. It is verified that SrCe1-xYbxO3 is a mixed conductor of holes, protons and oxide ions and the proton conduction prevails as temperature decreases and water vapor pressure increases. The heat of water dissolution takes a representative value of $\Delta$HoH=-(140$\pm$20) kJ/mol-H2O, but tends to be less negative with increasing temperature. Migration enthalpies of proton and oxygen vacancy are extracted as 0.83$\pm$0.10 eV and 0.81$\pm$0.01 eV, respectively.

  • PDF

설폰화된 폴리설폰/PPSQ 유-무기 복합 전해질막의 수소이온 전도도 및 메탄올 투과 특성 (Proton Conductivity and Methanol Permeability of Sulfonated Polysulfone/PPSQ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 권정돈;이창진;강영구
    • 전기화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89-93
    • /
    • 2004
  • 설폰화된 폴리설폰 (sulfonated polysulfone, SPSF)과 Poly(phenylmethyl silsequioxane) (PPSQ)의 유무기 복합 전해 질막을 제조하여 이온전도도와 메탄을 투과 특성을 조사하였다 클로로트리메틸실란과 클로로설폰산의 반응 몰비와 반응시간를 변화시켜 설폰화도가 $37\~75\%$인 SPSF를 합성하였다. SPSF/PPSQ복합 전해막은 SPSF와 PPSQ를 DMF에 용해하여 캐스팅하는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 복합 전해질막의 수소 이온 전도도는 상온에서 $2.8\times10^{-3}\~4.9\times10^{-2}S/cm$이었으며 설폰화도가 증가할수록 전도도는 증가하였다. 제조된 설폰화된 폴리설폰 복합 전해질막의 메탄을 투과도는 이온전도도와 설폰화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PPSQ의 함량이 커질수록 메탄을 투과도가 비례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약 $5wt\%$ PPSO론 포함한 복합 전해질막의 이온전도도 및 메탄을 투과도는 SPSF에 비교하여 거의 동일하지만 함수율을 크게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100℃ 이상에서 작동하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용 나피온/Mordenite 복합체 막의 새로운 제조 방법 (A New Preparation Method of Nafion/Mordenite Composite Membrane for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above 100℃ Operation)

  • 곽상희;양태현;김창수;윤기현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59-166
    • /
    • 2003
  • 퍼플루오르설포닐 플로라이드 나피온 레진과 mordenite를 이용하여 $100^{\circ}C$ 이상의 고온에서 작동하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건지용 전해질 막을 제조하고, 물리적 특성, proton전도도 및 단위 전지의 성능을 측정하였다. 나피온/mordenite복합체 막은 나피온 레진을 용융한 후, mordenite를 무게별로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고온 영역에서 proton 전도도를 측정한 결과, mordenite 함량이 증가할수록 층상 구조를 갖는 mordenite내에 존재하는 층간수의 느린 탈수 속도 때문에 proton 전도도는 증가하였다. 또한, 단위 전지 성능 측정 결과로부터, $130^{\circ}C$의 작동 온도에서 l0wt% mordenite를 함유하고 있는 복합체 막이 전체 영역에 걸쳐 가장 높은 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같은 조건에서. l0wt% mordenite가 함유된 복합체 막 내부에 존재하고 있는 수분이 다른 조성의 막보다 더 많이 존재하게 되어, 복합체 막의 이온 전도도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나피온/mordenite복합체 막은 $100^{\circ}C$이상에서 작동하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용 전해질 막으로서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PEMFC용 Ferroxane-나피온 복합막의 제조 및 특성분석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s of Ferroxane-Nafion Composite Membranes for PEMFC)

  • 신문식;오규현;박진수
    • 멤브레인
    • /
    • 제26권2호
    • /
    • pp.135-14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의 전해질막의 성능향상을 위하여 철산화물(Ferroxane)과 나피온을 이용하여 유무기 복합막을 개발하였다. 아세트산을 이용하여 안정화시킨 lepidocrocite을 이용한 ferroxane 나노입자를 합성하였고, 이를 나피온과 혼합하여 복합막들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복합막들의 성능 및 열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이온전도도, 이온교환용량(IEC), 함수율 및 TGA 측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ferroxane 나노입자를 함유한 나피온 복합막의 수소이온전도도가 리캐스팅한 나피온막보다 높은 이온전도도 및 이온교환용량을 보였으며, 높은 열적 안정성 결과를 얻었다. 최고 성능의 복합막의 수소이온전도도는 $0.09S\;cm^{-1}$이며, 이온교환용량은 $0.906meq\;g^{-1}$을 보였다.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유.무기 복합막의 연구개발동향 (Research Trend of Organic/Inorganic Composite Membrane for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 김득주;남상용
    • 멤브레인
    • /
    • 제22권3호
    • /
    • pp.155-170
    • /
    • 2012
  • 연료전지는 석유엔진과 비교하여 높은 전류밀도와 효율성, 그리고 친환경적이기 때문에 21세기 들어 대체 발전시스템으로서 각광받아왔다. 연료전지 시스템에서 고분자 전해질 막은 핵심부품으로써 현재 Nafion막이 연료전지시스템에서 사용 중이지만 높은 제조단가와 고온에서 낮은 전도도를 가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많은 학자들이 낮은 제조단가, 높은 물리적 특성들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여 왔으며 연료전지의 상용화와 동시에 고성능의 연료전지의 개발을 위하여 많은 방법들이 개발되어 왔다. 그중, 유무기 복합막은 유기물과 무기물의 물성을 균일하게 조합할 수 있으므로 잠재성을 가지고 있는 제조방법이다. 본고에서는 다양한 무기물이 사용되어 제조된 유무기 복합막의 연구동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고온 연료전지용 새로운 형태의 고분자 전해질막의 합성과 특성연구 (Synthesis and Properties of New Type of Proton Conducting Polymer Membrane for High Temperature Fuel Cells)

  • 이중희;삼부 바드라;김남훈;이홍기;김홍건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6-169
    • /
    • 2009
  • Poly(benzimidazole-co-aniline) (PBIANI), a self-crosslinked, net-structured, proton conducting polymer has been synthesized for the membrane of high temperature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s (HT-PEMFC) with improved proton conductivity and mechanical strength. The stress at break (26$\pm$3MPa)and proton conductivity (167 mS cm-1)of the phosphoric acid doped PBIANI (DPBIANI)membrane is much higher than those of other doped polybenzimidazole(PBI) type membran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