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teolytic activity

검색결과 516건 처리시간 0.033초

Overexpression and Characterization of Vibrio mimicus Metalloprotease

  • Shin, Seung-Yeol;Lee, Jong-Hee;Huh, Sung-Hoi;Park, Young-Seo;Kim, Jin-Man;Kong, In-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0권5호
    • /
    • pp.612-619
    • /
    • 2000
  • To investigate the biochemical properties of V. mimicus metalloprotease, whose gene was isolated previously from Vibrio mimicus ATCC33653, overexpression and purification were attempted. The 1.9 kb of open reading frame was amplified by PCR from pVMC193 plasmid which ligated the VMC gene with pUC19 and introduced into Escherichia coli BL21 (DE3) using the overexpression vector, pET22b (+). The overexpressed metalloprotease (VMC) was purified with Ni-NTA column chromatography and characterized with various protease inhibitors, pHs, temperatures, and substrates. The purified VMC showed the proteolytic activity against gelatin, soluble and insoluble collagens, and synthetic peptides. Unlike the observations made with all metalloproteases originated from other Vibrio sp., the VMC did not hydrolyze the casein. The proteolytic activity was critically decreased when the VMC was treated with metal chelating reagents, such as EDTA, 2,2-bipyridine, and 1, 10-phenanthroline. In particular, the 71 kDa VMC exhibited the hemagglutinating activity against human erythrocyte. As the purified VMC was treated with $CuCl_2$ and $NiCl_2$ for the chemical modification of metal binding, the proteolytic activity and hemagglutinating activity were profoundly influenced. The multialignment analysis made on the reported Vibrio metalloproteases showed the difference of amino acid sequence similarity between the two distinctive classes of Vibrio metalloproteases.

  • PDF

인삼엽요병에서 효소활성도의 변화 (Study on the Enzyme Activity in Leaf-Burning Disease of Panax ginseng C.A. Meyer)

  • 양덕조;김명원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92-97
    • /
    • 1989
  • 인삼엽을 강광(100 KLuw) 및 고온($45^{\circ}C$, 암상태)에 처리하여 효소(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acid phosphatase, catalase, peroxidase)의 활성도를 조사한 결과 두 처리구에서 공히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특기 강광에서 활성도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활성도 감소는 효소의 thermal stabilities나 coagulation 등과 같은 광에 의한 2차적인 엽온상승 효과에 따른 inactivation이 아니며, proteolytic activity 증가로 인한 효소단백질의 함량감소로 확인되었다. 인삼엽에서 proteolytic activity가 강광에 의해 급속히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정상엽(normal leaf)에 inactive 상태로 내재(compartmentation)되어 있는 proteinase가 타 식물에 비해 많은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chlorphyll bleaching과 효소의 inactivation을 유발시킬 수 있는 superoxide radical(${O_2}^{-}$)의 광화학적 생성율이 비교식물(Solanum nigrum)보다 높게 나타나고 crude saponin이 superoxide의 생성율을 촉진하는 것으로 보아 superoxide에 의한 pigment system의 광산화율이 타 식물에 비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국내산 키위에서 추출한 protease 조효소액의 안정성과 최적화에 관한 연구 (Stability and Optimization of Crude Protease Extracted from Korean Kiwifruits)

  • 김미현;노정해;송효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54-558
    • /
    • 2010
  • 본 연구는 국내산 키위에서 추출한 protease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으며 지금까지 연구되어 오지 않은 근원섬유에 대한 단백분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국내산 키위 crude 효소액은 시료를 buffer에 넣고 균질화한 원심분리액과 포화황산암모늄 처리 후 투석한 두 단계의 시료로 나누었다. 각각은 21.23 mM/mL와 11.58 mM/mL의 활성을 나타내었고 이를 처음 사용하였던 키위의 양으로 환산하면 112.28 mM/g kiwifruit과 45.80 mM/g kiwifruit이었다. 국내산 키위 crude 효소액의 기질에 때한 특이성에서는 카제인과 근원섬유에 대해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bovine serum albumin, egg white, collagen, elastin 순이었다. 국내산 키위의 단백분해 효소는 pH 2-3에서는 실활하였으며 $60^{\circ}C$ 이상의 온도 범위에서는 급격히 실활하였다. 국내산 키위 crude 효소액은 pH 3.0과 pH 7.5 두 곳에서 최적활성을 나타냈고, 최적온도는 카제인을 기질로 한 경우 $40^{\circ}C$에서, 근원섬유 $50^{\circ}C$에서 최적온도를 나타냈다. 키위 단백질 분해 효소의 카제인에 대한 활성은 염도가 0.5M일 때까지 매우 높다가 급격히 떨어졌으나 근원섬유에 대한 활성은 염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서서히 떨어졌다. 키위는 조리중에 연육작용을 위하여 주로 쓰여지고 있으며, 위의 결과로써 우리나라 육류조리와 같이 재워두는 육류조리방법에도 키위가 좋은 연육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보였다.

해산복족류의 소화관조직중에 분포하는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 (Proteolytic Activity of the Crude Enzyme Extracted from the Digestive Tract of Marine Gastropods)

  • 조득문;변재형;변대석;김장양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16-224
    • /
    • 1983
  • 해산복족류의 소화관조직에 분포하는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pH, 온도, 화학약제, 저온보존 등의 영향을 밝히므로서 그 생리 생태학적 관련 지식을 얻고, 나아가서 그 정제를 위한 몇가지 기본적인 성질을 구명코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실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군소, 소라, 전복의 소화관조직에서 추출된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최적조건에서의 활성을 보면, 산성역과 약산성역에서는 전복이 다른 두 복족류에 비하여 2배 혹은 그 이상 높았으며, 알카리성역에서는 군소가 다른 두 복족류이 비하여 6배 혹은 그 이상 높은 특징을 보였다. 2. 화학약제가 효소의 활성이 미치는 영향을 종합하여 보면, 대체로 금속이온중의 $Mn^{2+}$, 실험에 쓴 전 환원제, 킬레이트제중의 EDTA, SH 시약중의 DTT 등에 의하여 활성화하였고 금속이온중의 $Hg^{2+}$ 및 변성제중의 SDS 등에 의하여서는 공통적으로 조해를 받았다. 3. 이들 효소가 보인 활성능의 저온보존에 의한 영향을 보면, $0^{\circ}C$$-20^{\circ}C$에 보관하였을 때, 군소와 소라의 산성과 약산성역에서 최적활성조건을 보이는 효소들은 보관기간의 경과에도 영향을 보이지 않았지만 알카리성역에서 최적활성조건을 보인 효소들은 보관일수의 경과와 더불어 활성이 저하하여 불안정함을 알았다. 그러나, 전복의 약산성역에서 최적활성조건을 보이는 효소는 보관기간의 경과에도 활성에는 영향이 없었으나 산성과 알카리성역에서 최적활성조건을 보인 효소들은 보관기간의 경과와 더불어 활성이 저하하여 저온에서는 불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Escherichia coli내의 ATP-dependent Clp효소의 ATPase 활성 연구 (Properties of ATPase Activity of ATP-dependent Clp Protease in Escherichia coli)

  • 김승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0-35
    • /
    • 1993
  • E.coli에서 발견된 ATP-dependent 효소인 Clp효소 중에서 Clp A의 ATPase 활성에 대한 영향을 검토하였다. Clp효소의 limiting amount으로 나타난 specific 활성은 일정하게 증가하는 효소의존성을 보였다. ATPase 활성을 나타내고 있는 ClP A는 casein에 의하여 활성화되어지며 2분자의 ATP가 결합하고 ATPase 활성을 나타내기 위한 ATP의 분해는 Clp효소의 단백질 분해 활성에 필요하다.

  • PDF

미생물을 이용한 우유응고 효소생산에 관한 연구 I.균주의 선정

  • 신현국;박무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76년도 제7회 학술발표회
    • /
    • pp.184.4-184
    • /
    • 1976
  • Cheese제조에 이용할 수 있는 우유응고효소를 미생물 발효로써 생산할 목적으로 먼저 자연계에서 균주를 분리 선정하였다. 토양 및 메주로부터 분리한 200주의 미생물 가운데 약 50주가 2시간 이내에 curd를 형성하였으나 대부분이 proteolytic activity가 너무 커서 그대로는 이용할 수가 없음을 알았다. 그중에 유망한 균주 하나를 pH를 달리하여 배양해 보았더니 acid쪽에서 neutral보다 clotting/proteolytic ratio가 1.7배나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 PDF

Intestinal Absorption of Fibrinolytic and Proteolytic Lumbrokinase Extracted from Earthworm, Eisenia andrei

  • Yan, Xiang Mei;Kim, Chung-Hyo;Lee, Chul-Kyu;Shin, Jang-Sik;Cho, Il-Hwan;Sohn, Uy-Do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4권2호
    • /
    • pp.71-75
    • /
    • 2010
  • To investigate the intestinal absorption of a fibrinolytic and proteolytic lumbrokinase extracted from Eisenia andrei, we used rat everted gut sacs and an in situ closed-loop recirculation method. We extracted lumbrokinase from Eisenia andrei, and then raised polyclonal antibody against lumbrokinase. Fibrinolytic activity and proteolytic activity in the serosal side of rat everted gut sacs incubated with lumbrokinase showed dose- and time-dependent patterns. Immunological results obtained by western blotting serosal side solution using rat everted gut sacs method showed that lumbrokinase proteins between 33.6 and 54.7 kDa are absorbed mostly by the intestinal epithelium. Furthermore, MALDI- TOF mass spectrometric analysis of plasma fractions obtained by in situ recirculation method confirmed that lumbrokinase F1 is absorbed into blood. These results support the notion that lumbrokinase can be absorbed from mucosal lumen into blood by oral administration.

닥나무 열매(楮實子)에서 추출한 단백질 분해효소의 특성에 관한 연구 (The properties of Proteolytic Enzymes from the Fruit of Broussonetia Kazinoki Siebold)

  • 윤숙자;오평수;장명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803-806
    • /
    • 1993
  • 우리나라 전역의 산간지방에서 야생 또는 재배되는 닥나무의 열매는 옛날 가정에서 질긴 쇠고기를 조리할 때 사용하였다고 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닥나무 열매를 육류조리에 이용하였을 때의 연화효과를 보고자하여 1차적으로 닥나무열매에서 추출한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시료의 효소를 조제하였을 때 시료추출물 100ml중의 회수된 조효소 분말량은 1.01g으로 회수율 6.2%를 나타내었고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은 1.6 unit의 활성을 나타냈으며 닥나무 열매추출물의 단백질함량은 건물량으로 9.6%였다. 또한 효소의 기질에 대한 특이성은 casein 100에 egg white 50, hemoglobin 79, collagen 53, gelatin 42의 비율로 가수분해 하는 것으로 나타나 육류에 함유된 단백질인 hemoglobin과 collagen에 대한 효소의 가수분해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따. 효소의 최적온도는 $60^{\circ}C$로 관찰되었으며 열에 비교적 안정하였다. 효소의 최적 pH는 70이었으며, 전반적으로 넓은 pH영역에서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ntioxidative Effect of Proteolytic Hydrolysates from Ecklonia cava on Radical Scavenging Using ESR and $H_2O_2$-induced DNA Damage

  • Heo, Soo-Jin;Park, Pyo-Jam;Park, Eun-Ju;Cho, So-Mi K.;Kim, Se-Kwon;Jeon, You-Ji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5호
    • /
    • pp.614-620
    • /
    • 2005
  • The antioxidative effect of Ecklonia cava, a brown marine alga, was investigated on radical scavenging, including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hydroxyl and alkyl radicals, using an electron spin resonance (ESR) technique, and on the inhibition of $H_2O_2$-induced DNA damage using comet assay. E. cava was enzymatically hydrolyzed with five food industrial proteases (Alcalase, Flavourzyme, Kojizyme, Neutrase and Protamex) to prepare water-soluble extracts. All the proteolytic hydrolysates exhibited strong dose-dependent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bove 80%) at a concentration of $2.5\;{\mu}g/mL$. Kojizyme extract (obtained by proteolytic hydrolysation of E. cava with Kojizyme) showed the highest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round 98%. In addition, the $H_2O_2$-induced DNA damage was determined using a comet assay, which was quantified by measuring the tail length. Reduction of DNA damage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Kojizyme extract from E. cava.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E. cava has a potential as a valuable natural antioxidative source.

무당거미에서 분리한 Serratia proteamaculans에서 분비되는 단백질분해효소의 생화학적 특성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an Extracellular Protease in Serratia proteamaculans Isolated from a Spider)

  • 이기은;김철희;권현정;곽장열;신동하;박두상;배경숙;박호용
    • 미생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69-274
    • /
    • 2004
  • 거미의 중장에서 분리한 장내 세균인 Serratia proteamaculans는 우유 단백질 배지상에서 투명환을 형성하는 것으로 보아 세포 외로 분비되는 단백질 분해효소를 생산함을 알 수 있었다. Zymogram을 사용한 단백질 분획의 활성 염색 실험에서 세포 외로 분비된 분자량 52 KD의 단백질이 높은 단백질분해 활성을 가진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 단백질 분해효소의 배양 상등액을 여과,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순수 정제하였다. 정제된 단백질 분해 효소는 pH 6.0과 10.0사이와 넓은 온도범위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1,10-phenanthroline과 EDTA등의 단백질분해효소 저해제를 처리하였을 때 단백질 분해 활성이 강하게 억제되며 $Zn^{2+}$이나 $Ca^{2+}$ 이온의 존재에 의해 단백질 분해효소의 활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보아 이 효소가 금속성 단백질 분해효소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