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tein phosphatase 1

검색결과 645건 처리시간 0.028초

골육종의 생화학적 표지자에 관한 연구 (Biochemical Markers for Osteosarcoma)

  • 이창우;조우진;조재림;김태승;황건성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41-50
    • /
    • 2001
  • 목적 : 골육종 환자의 조직과 혈청에서 DNase, RNase, 5'-nucleotidase, alkaline phosphatase 및 amylase 활성도를 측정하여 그 활성도의 변동을 보았고 이들 효소가 골육종의 표지자로 이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대상 및 연구방법 : 골육종 환자의 혈청과 종양조직은 1 2예로부터 얻었으며, 이에 대한 대조조직은 동일 환자의 정상부위에서 채취하였다. 조직 추출액을 얻어서 핵산, 단백함량, 그리고 효소 활성도의 측정에 사용하였다. DEAE-cellulose chromatography에 의해 골육종 조직의 acid DNase, neutral RNase, RNase inhibitor와 단백을 분리하고 그활성도와 단백 함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 골육종 조직의 acid DNase, RNase, 5'-nucleotidase, alkaline phosphatase 활성도는 유의하게 상승하였고, 효소활성도의 양성율도 높게 나타났다. neutral RNase의 활성도가 특히 높았으며, RNase inhibitor는 neutral RNase와 복합을 이루면서 그 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혈청 neutral RNase 활성도가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DEAE-cellulose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acid DNase는 단일효소로서, 그리고 neutral RNase는 5개의 isozyme으로 분리되었다. 결론 : 이들 효소의 병용이 골육종의 생화학적 표지자로서 이용될 수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또한 혈청 neutral RNase활성도의 측정이 골육종의 생화학적 표지자로서의 역할을 시사하였다. acid DNase와 neutral RNase가 골육종의 발생과 억제과정에 작용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 PDF

Bisphosphonate가 인간 골수유래 간엽줄기세포의 증식과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isphosphonates on the Proliferation and the AlkalinePhosphatase Activity of Human Bone Marrow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 정준호;이백수;권용대;오주영;김영란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3권1호
    • /
    • pp.10-18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bisphosphonates (BPs) on the proliferation and the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of human bone marrow 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hMSCs), and thus state its correlation with bisphosphonate 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 (BRONJ). Methods: hMSCs was obtained by collecting and culturing cancellous bone fragments from a patient undergoing iliac bone graft. Alendronate (Aln) and Pamidronate (Pam), Ibandronate (Ibn) were added to the culture media in the concentration from $10^{-3}$ M to $10^{-11}$ M and cell toxicity, viability were measured. For ALP activity evaluation, Aln and Pam were added to the culture media in the concentration from $5{\times}10^{-7}$ M to $1{\times}10^{-8}$ M and were cultured for 1 week, 2 weeks and 3 weeks. ALP activity data were standardized using protein assay. Control groups were prepared for each examination. Results: Aln, Pam and Ibn all failed to increase the proliferation of hMSCs. With 1 week, 2 weeks of $5{\times}10^{-8}$M of Aln treatment, the ALP activity increased. Pam treatment increased the ALP activity with 2 weeks of $5{\times}10^{-8}$ M and$1{\times}10^{-8}$M. Also Ibn treatment increased the ALP activity with 2 weeks of $5{\times}10^{-8}$ M and $1{\times}10^{-8}$ M.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hat BPs are not capable of improving the proliferation of hMSCs. Also, after a transient increase in the ALP activity with the lower concentration of BPs, the activity decreased again. Therefore, in patients on long-term medication of BPs, the proliferation and osteoblast differentiation of hMSCs are restrained, and thus delayed wound healing and increase in BRONJ complications may occur.

Euglena gracilis 추출물의 면역조절 및 생리활성 분석 (Immunomodulatory Effects of Euglena gracilis Extracts)

  • 유선녕;박보배;김지원;황유림;김상헌;김선아;이태호;안순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83-19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compound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Euglena gracilis를 hot water로 추출하고(HWE), 그 잔존물을 methanol로 추출(HWME)한 후,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에 처리하여 면역활성을 측정하였다. Murine macrophage RAW 264.7 cell에서 HWE 처리로 IL-1β와 TNF-α가 농도의존적으로 증가되었고, lipopolysaccharide에 의해 유도되는 IL-6와 TNF-α 생성이 HWME 처리에 의해 유의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α-glucosidase,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PTP1B), tyrosinase, xanthine oxidase (XO),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등에 대한 저해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E. gracilis HWE 추출물에서는 α-glucosidase, tyrosinase, ACE에서 약한 억제 활성을 보였으나, HWME 추출물에서는 PTP1B와 XO에서 유의적인 억제활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E. gracilis 추출물의 면역조절 활성 뿐 만 아니라 당뇨와 심혈관 질환에 대한 유의적인 억제활성을 통해 다양한 건강기능성 식품의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비자나무 추출물의 항당뇨 활성물질의 특성 연구 (Characterization of Antidiabetic Compounds from Extract of Torreya nucifera)

  • 김지원;김동섭;이화신;박보배;유선녕;황유림;김상헌;안순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0
    • /
    • 2022
  • 비자나무는 한반도 남부지역과 제주도에 자생하고 있으며 식용으로 이용이 가능하며, 전통적으로 구충 빛 변비 예방의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었다. 그러나 항산화 활성에 대한 연구는 보고되어 왔지만 항당뇨 활성에 대한 연구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새로운 당뇨 치료제로서 천연물은 독성의 염려가 낮고 매우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기 때문에 약물에 대한 안전성의 장점이 있다. 식용 및 한방 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비자나무는 지금까지 살충 및 항균성에 대해 보고되어 왔으나 항당뇨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자나무 추출물의 항당뇨 효과를 조사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먼저, 비자나무의 과육과 종자를 메탄올로 각각 추출한 후, 항당뇨 활성과 관련된 α-glucosidase와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1B (PTP1B)에 대한 저해활성을 포함한 다양한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비자나무의 종자 추출물에서 항당뇨활성을 나타내는 α-glucosidase와 PTP1B 효소에 대한 억제 효능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과육에 비해 종자 추출물이 각각 14.5배, 4.3배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또한 비자나무의 과육 추출물의 pH와 열 안정성 테스트를 수행한 결과로, 활성 물질은 산, 알카리 조건과 고온의 조건에서 안정한 저해활성을 보였다. 비자 과육의 메탄올 추출물을 한외 여과(ultrafiltration)한 결과, 항당뇨 활성물질은 분자량이 300 kDa 이상에 해당하였고 Diaion HP-20 수지에 대한 흡착능을 조사한 결과, 50-100% 메탄올 조건에서 항당뇨 활성물질이 용출되었다. 따라서 비자나무 종자의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buthanol 추출, 한외 여과, Diaion HP-20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비자나무의 항당뇨 활성 물질의 분리, 정제를 시도하였다. 따라서 비자나무 종자 추출물의 인슐린 저항성에 대한 개선 효과에 대한 추가 연구를 통해 천연물 유래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예열처리(豫熱處理)가 원유(原乳)의 단백질(蛋白質) 및 미생물(微生物)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Pre-heat Treatments on Milk Protein and Microorganism Aspects in Raw Milk)

  • 김승섭;김종우
    • 농업과학연구
    • /
    • 제20권2호
    • /
    • pp.153-166
    • /
    • 1993
  • 원료유(原料乳)의 보전성(保存性) 향상을 위하여 원료유와 이를 $65^{\circ}C$에서 30초간 및 $75^{\circ}C$에서 2초간 가열처리(加熱處理)하여 $5^{\circ}C$의 냉장상태에서 4일간 보존(保存)하면서 이화학적(理化學的)인 성장(性狀)과 미생물학적(微生物學的)인 변화(變化)를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원료유(原料乳) 및 가열처리유(加熱處理乳)의 저장기간중의 우유성분 즉, 유지방(乳脂肪), 유단백질(乳蛋白質), 유당(乳糖) 및 총고형분(總固形分)함량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2. 원료유(原料乳)의 pH와 산도의 범위는 각각 6.73~5.94 및 0.16~0.27%였으며 가열처리유(加熱處理乳)의 pH 및 산도는 각각 6.79~6.62 및 0.16~0.17%이었고 phosphatase시험결과는 모두 음성으로 나타났다. 3. 가열처리온도(加熱處理溫度)가 높아짐에 따라 총질소, NCN, 및 Whey protein의 함량은 감소한 반면 NPN과 Casein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4. 저장기간(貯藏期間)에 따른 총질소 및 Casein의 함량은 감소한 반면에 NCN과 NPN의 함량은 증가 하였으며, Whey protein의 함량에는 변화가 없었다. 5. 가열처리(加熱處理)한 원유는 대장균(大腸菌)이 검출(檢出)되지 않았으나, 가열처리(加熱處理)하지 않은 원유는 저장기간동안 점차적 증가 하였다. 6. 원료유(原料乳)의 총균수는 $5.6{\times}10^6/ml$, 내냉성미생물은 $1.8{\times}10^6/ml$, 내열성미생물은 $1.6{\times}10^5/ml$를 나타내었으나 가열처리(加熱處理) 온도(溫度)의 상승에 따라 감소하여 $75^{\circ}C$에서 2초간 가열처리(加熱處理) 하였을때는 각각 $3.0{\times}10^3/ml$, $1.5{\times}10/ml$$2.7{\times}10^3/ml$으로 감소 하였다. 7. 저장기간(貯藏期間)에 따라 원료유는 내열성미생물, 내냉성미생물 및 총균수가 크게 증가 하였으며 가열처리유(加熱處理乳)는 원료유(原料乳)에 비하여 증가되지 않았다.

  • PDF

Osteogenic potential of adult stem cells from human maxillary sinus membrane by Simvastatin in vitro: preliminary report

  • Yun, Kyoung-In;Kim, Dong-Joon;Park, Je-U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9권4호
    • /
    • pp.150-155
    • /
    • 2013
  •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adequate concentration and to evaluate the osteogenic potential of simvastatin in human maxillary sinus membrane-derived stem cells (hSMSC). Materials and Methods: Mesenchymal stem cells derived from the human maxillary sinus membrane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simvastatin. The adequate concentration of simvastatin for osteogenic induction was determined using bone morphogenetic protein (BMP-2). The efficacy of osteogenic differentiation of simavastatin was verified using osteocalcin mRNA, and the mineralization efficacy of hSMSCs and simvastatin treatment was compared with alkaline phosphatase and von Kossa staining. Results: Expression of BMP-2 mRNA and protein was observed after three days and was dependent on the concentration of simvastatin. Expression of osteocalcin mRNA was observed after three days in the $1.0{\mu}M$ simvastatin-treated group. Mineralization was observed after three days in the simvastatin-treated group.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imvastatin induces the osteogenic potential of mesenchymal stem cells derived from the human maxillary sinus membrane mucosa.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biological properties of fibrin for bone regeneration

  • Oh, Joung-Hwan;Kim, Hye-Jin;Kim, Tae-Il;Woo, Kyung Mi
    • BMB Reports
    • /
    • 제47권2호
    • /
    • pp.110-114
    • /
    • 2014
  • Fibrin is a natural provisional matrix found in wound healing, while type I collagen is a major organic component of bone matrix. Despite the frequent use of fibrin and type I collagen in bone regenerative approaches, their comparative efficacies have not yet been evaluated. In the present study, we compared the effects of fibrin and collagen on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s and protein adsorption. Compared to collagen, fibrin adsorbed approximately 6.7 times more serum fibronectin. Moreover, fibrin allowed the proliferation of larger MC3T3-E1 pre-osteoblasts, especially at a low cell density. Fibrin promoted osteoblast differentiation at higher levels than collagen, as confirmed by Runx2 expression and transcriptional activity,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nd calcium deposit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fibrin is superior to collagen in the support of bone regeneration.

Human peripheral blood-derived exosomes for microRNA delivery

  • Ji‑Young Kang;Hyewon Park;Hyoeun Kim;Dasom Mun;Hyelim Park;Nuri Yun;Boyoung J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Medicine
    • /
    • 제43권6호
    • /
    • pp.2319-2328
    • /
    • 2019
  • Exosomes serve important functions in cell-to-cell communication and biological functions by serving as a delivery cargo shuttle for various molecules. The application of an improved delivery method for microRNAs (miRNAs/miRs) may enhance their potential as a therapeutic tool in cardiac diseases. Thu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whether human peripheral blood-derived exosomes may be used as a delivery cargo system for miRNAs, and whether the delivery of miR-21 using a human peripheral blood derived-exosome may influence the degree of remodeling following myocardial infarction (MI). In H9C2 and HL-1 cells, miR-21 expression was successfully regulated by treatment with human peripheral blood derived-exosomes loaded with an miR-21 mimic or inhibitor compared with untreated cells. In addition, the mRNA and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SMAD family member 7 (Smad7), phosphatase and tensin homolog (PTEN) and matrix metalloproteinase 2 (MMP2), which are involved in cardiac fibrosis, were associated with the uptake of miR-21 mimic- or inhibitor-loaded exosomes. Similarly, the in vivo mRNA and protein expression of Smad7, PTEN and MMP2 were altered following treatment with miR-21 mimic- or inhibitor-loaded exosomes. Furthermore, miR-21 mimic-loaded exosomes enhanced fibrosis, whereas miR-21 inhibitor-loaded exosomes reduced fibrosis in a mouse MI model.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miRNA-loaded human peripheral blood derived-exosomes may be used as a therapeutic tool for cardiac diseases.

The Impact of Calcium Depletion on Proliferation of Chlorella sorokiniana Strain DSCG150

  • Soontae Kang;Seungchan Cho;Danhee Jeong;Urim Kim;Jeongsug Kim;Sangmuk Lee;Yuchul J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4권7호
    • /
    • pp.1425-1432
    • /
    • 2024
  •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Ca2+ metal ions among culture medium components on the Chlorella sorokiniana strain DSCG150 strain cell growth. The C. sorokiniana strain DSCG150 grew based on a multiple fission cell cycle and growth became stagnant in the absence of metal ions in the medium, particularly Ca2+. Flow cytometry and confocal microscopic imag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in the absence of Ca2+, cell growth became stagnant as the cells accumulated into four autospores and could not transform into daughter cells. Genetic analysis showed that the absence of Ca2+ caused upregulation of calmodulin (calA) and cell division control protein 2 (CDC2_1) genes, and downregulation of origin of replication complex subunit 6 (ORC6) and dual specificity protein phosphatase CDC14A (CDC14A) genes. Analysis of gene expression patterns by qRT-PCR showed that the absence of Ca2+ did not affect cell cycle progression up to 4n autospore, but it inhibited Chlorella cell fission (liberation of autospores). The addition of Ca2+ to cells cultivated in the absence of Ca2+ resulted in an increase in n cell population, leading to the resumption of C. sorokiniana growth.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a2+ plays a crucial role in the fission process in Chlorella.

3T3-L1 지방세포에서 루페올의 IRS-1의 인산화 조절을 통한 TNF-α 유도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과 (Lupeol Improves TNF-α Induced Insulin Resistance by Downregulating the Serine Phosphorylation of Insulin Receptor Substrate 1 in 3T3-L1 Adipocytes)

  • 이현아;한지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11호
    • /
    • pp.859-867
    • /
    • 2023
  • 루페올은 5환성 트리테르펜의 일종으로 많은 질병에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은 명확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세포에서 루페올의 IRS-1 인산화 억제능을 통해 인슐린 저항성 개선효과를 조사하였다. 3T3-L1 세포를 배양하고 TNF-α를 24시간 동안 처리하여 인슐린 저항성을 유도하였다. 서로 다른 농도의 루페올(15, 30 μM) 또는 100 nM의 rosiglitazone을 처리한 세포를 배양한 후, 용해된 세포를 이용하여 western blotting을 시행하였다. 실험결과 루페올은 지방세포에서 TNF-α에 의해 유발되는 인슐린 신호전달의 음성 조절자와 염증 활성화 단백질 kinase에 대한 개선 효과를 나타냈다. 인슐린 신호전달의 음성 조절자인 PTP-1B와 JNK의 활성 및 IKK와 염증활성화 단백질키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루페올은 IRS-1의 serine 인산화는 하향 조절하고 tyrosine 인산화는 상향 조절하였다. 그 후, 하향 조절된 PI3K/AKT 경로가 활성화되고, GLUT 4의 세포막 전위가 자극되어, 결과적으로 인슐린 저항성이 유도된 3T3-L1 지방세포에서에서 세포내 포도당 흡수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결과, 루페올은 3T3-L1 지방세포에서 인슐린 신호전달 및 염증 활성화 단백질 kinsase들의 음성 조절인자를 억제하여, IRS-1의 serine 인산화를 하향 조절함으로써 TNF-α 유발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