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tein fractions

검색결과 782건 처리시간 0.028초

가시파래 수용성 다당의 추출 및 화학적 조성 (Extraction and Chemical Composition of Soluble Polysaccharide from Green Laver, Enteromorpha prolifera)

  • 최용석;구재근;하진환;윤장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519-523
    • /
    • 2002
  • 국내에서 양식되는 가시파래 (E. prolifera)의 효율적 이용과 새로운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사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가시파래의 수용성 다당을 추출 후 CPC와 음이온 교환수지로 분획하여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가사파래를 열수로 3회 반복하여 추출하여 얻은 수용성 다당의 수율은 $23.7\%$였고 총당, 단백질, 황산기의 함량이 각각 $68.8\%$, $6.7\%$, $23.7\%$였다. 수용성 다당을 CPC처리하여 얻은 산성다당인 CPC-PS는 주 구성성분이 황산기, 우론산, rhamnose, xylose였으며 주요 구성당인 xylose : rhamnose : glucose의 몰비는 1 : 3.1 : 0.2 이었다. CPC-PS를 음이온 교환수지로 분획하였을 때 3개의 fraction (Fr-1, Fr-2, Fr-3)이 얻어졌으며 각 획분간의 화학적 조성상 큰 차이점 없었다. CPC-PS의 분자량은 620,000이었고, 이를 이온교환수지로 분획한 획분인 Fr-1은 710,000 ($84\%$), 90,000 ($14\%$), 70,000 ($2\%$), Fr-2는 510,000, Fr-3은 830,000 daltons으로 Fr-1을 제외한 나머지 획분은 단일피크로 대칭성을 나타내어 분자량이 균일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 획분들을 전기영동 하였을 때 Fr-1과 Fr-3은 단일 band를 나타내었다.

사료 지질원이 메기 Silurus asotus의 성장 및 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Lipid Sources on the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the far Eastern Catfish, Silurus asotus)

  • 김경덕;김진도;임상구;강용진;손맹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445-450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etary lipid sources on growth performance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far eastern catfish, Silurus asotus. Three replicate groups of fish (average weight 3.6 g) were fed with one of the following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10% beef tallow (BT), 5% BT plus 5% corn oil (CO), 5% BT plus 5% linseed oil (LO), or 5% BT plus 5% squid liver oil (SO) as the lipid source for 5 week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survival among groups. The weight gain of fish fed the LO (high in 18:3n-3) and SO (high in n-3 highly unsaturated fatty acid) die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fish fed the CO (high in 18:2n-6) and BT diets (P<0.05). The feed efficiency of fish fed LO and SO die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fish fed the BT diet (P<0.05),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sh fed the CO diet. The protein efficiency ratio of fish fed the SO die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fish fed the CO and BT diets (P<0.05),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fish fed the LO diet. The 18:1n-9 of whole-body polar lipid fraction in fish fed the BT diet increased compared to that of fish fed the other diets. Fish fed the CO and LO diets had significantly higher contents of 18:2n-6 and 20:4n-6, and 18:3n-3, than the fish fed the other diets in polar and non-polar lipid fractions, respectively (P<0.05). Significantly higher contents of 20:5n-3 and 22:6n-3 were observed in the whole-body polar lipid fraction of fish fed the SO diet compared with fish fed the other diets (P<0.05).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linseed oil and squid liver oil containing n-3 fatty acids are good dietary lipid sources for the growth of far eastern catfish.

쌀귀리 가루의 입도별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Effect of particle size of naked oat flours on physicochemical and antioxidant property)

  • 전현일;유선희;송근섭;김영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965-97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영양학적 가치가 높은 쌀귀리의 식품산업 이용률을 높이고자 쌀귀리를 입도별로 제조하여 이들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쌀귀리의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이 각각 15.7%, 10.0% 및 1.8%이었으며, 입도가 작아질수록 이들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비필수아미노산 중에서는 cystine(58.3 mg%), ${\beta}$-aminoisobutyric acid(53.8 mg%) 등, 필수아미노산 중에서는 phenylalanine(8.6 mg%)과 histidine (12.2 mg%)이었으며, 입도가 작아질수록 함량은 감소하였다. 총 전분, 아밀로스, 손상전분, 총 식이섬유, ${\beta}$-glucan 및 총 유리당 함량은 각각 56.4%, 21.4%, 11.7%, 11.0%, 4.7% 및 2,555.3 mg%이었으며, 입도가 작아질수록 총 전분, 아밀로스 및 손상전분의 함량은 감소한 반면에 총 식이섬유와 ${\beta}$-glucan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색도는 L 값이 75.3, a 값이 0.3 및 b 값이 13.1이었으며, 입도가 작아질수록 L 값은 증가하였으나 a와 b 값은 감소하였다. 호화특성은 최고점도가 263.8 RVU, 최저점도가 155.6 RVU 및 최종점도가 399.3 RVU이었으며, 입도가 작아질수록 최고점도와 최종점도는 증가하였다. TPC, TFC 및 항산화 활성(DPPH radical assay, ABTS radical cation assay 및 reducing power)은 각각 $237.8{\mu}g/g$, $90.9{\mu}g/g$, 57.3%, 53.4% 및 0.23이었으며, 입도가 작아질수록 항산화 성분 및 항산화 활성은 감소하였다. 한편 TPC와 TFC에 관한 각 항산화 활성의 결정계수(correlation determination coefficient, $R^2$) 값이 각각 0.87 이상과 0.81 이상으로 나타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은 상관성을 보였다.

뽕나무 어린줄기의 화학성분 및 생리활성 (Chemical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Young Mulberry(Morus alba) Stem)

  • 정창호;주옥수;심기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28-233
    • /
    • 2002
  • 뽕나무 어린줄기를 이용하여 새로운 기능성 추출 음료개발을 위한 목적으로 뽕나무 줄기의 화학성분, 항산화 및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은 조섬유 51.12%, 회분 13.46%, 총당 10.38%, 조지방 9.10% 및 조단백 5.01% 순으로 나타났다 뽕나무 어린줄기에 가장 많은 무기성분으로는 P(295.9 mg%)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Ca 289.6 mg%, K 209.6 mg%, Na 58.3 mg%, Mg 45.0 mg% and Fe 4.6 mg% 순으로 나타났다. 유리당은 총 4종이 분리, 동정되었으며, 그 중 glucose가 1.08%로 높게 나타났고, galactose 0.22%, sucrose 0.20% 및 fructose 0.16%로 함유되어 있었다. 지방산은 8종이 분리되었으며, 주된 지방산으로는 linoleic acid, palmitic acid 및 linolenic acid로 나타났다. 분리된 18종의 총 아미노산 중 proline이 313.7mg%로 가장 높은 함량을 차지하였으며, 총 아미노산함량은2,450.5 mg%로 나타났다. 항산화 효과는 용매별 추출물에서는 methanol 추출물이 77.24%, 용매분획별 추출물에서는 ethyl acetate 분획층에서 80.08%로 각각 높게 나타났다. 뽕나무 어린 줄기의 메탄올 추출물은 Bacillus subtilis와 Bacillu scereus에 대하여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메탄을 추출물의 chloroform 분획층과 ethyl acetate분획층에서 병원성 미생물에 대하여 9.0~l9.0 mm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밤나무 잎의 화학성분, 항산화 및 항균활성 (Chemical Component,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hestnut(Castanea crenata) Leaves)

  • 정창호;허재연;심기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34-239
    • /
    • 2002
  • 밤잎의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으로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일환으로 밤잎의 화학성분, 항산화 및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은 총당 11.95%, 조지방 11.50%, 조섬유 10.11%, 조단백질 7.50% 및 회분이 1.79%순으로 나타났으며, 주요 무기성분으로는 Ca과 K으로 그 함량은 각각 215.7 mg%와 196.6 mg%로 나타났다. 비타민 C의 함량은 12.5 mg%였으며, 유리당은 glucose 3.33%, fructose 0.25%, sucrose 0.022% 함유되어 있었다. 밤잎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로 그 함량은 36.86%로 나타났다. 밤나무 잎의 주된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295.4 mg%), proline(285.7 mgg%), aspartic acid(245.5 mg%), arginine(240.8 mg%), phenylalanine(237.4 mg%) and leucine(230.6 mg%)로 나타났으며, 총 아미노산에 대한 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은 48.3%이었다. 항산화 효과는 용매별 추출물에서는 methanol 추출물이 72.52%, 용매분획 추출물에서는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84.12%로 각각 높게 나타났다. 각종 용매별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메탄을 추출물이 높게 나타났으며, 용매분획별 추출물에서는 ethyl acetate 분획층에서 다른 분획보다 높게 나타났다.

조직 괴사 활성을 지닌 Aeromonas hydrophila 의 분비 단백질에 관한 연구 (A Potent Tissue Destructive Activity of Secreted Proteins of Aeromonas hydrophila)

  • 김규리;최윤정;강호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14-222
    • /
    • 2015
  • Aeromonas hydrophila는 수생계에 흔히 존재하는 병원체로서 출혈성 패혈증, 수종, 궤양 등의 질병을 유발한다. A. hydrophila는 효과적인 감염과 다양한 환경에서 적응하기 위해 세포 외 물질(Extracellular products, ECPs)을 분비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A. hydrophila CK257은 매우 독성이 강한 균주로 균이 분비하는 ECP 역시 쥐, 토끼, 금붕어를 포함한 동물 모델에게 조직 손상을 일으키며 독성을 보였다. 이러한 괴사 반응을 일으키는 원인 요소를 찾기 위해 ECP의 특성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 원인 요소가 단백질이라는 것을 확인하여 이후 단백질 분리 및 정제에 초점을 맞추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균체를 제거한 배양액 상의 분비 단백질을 얻기 위하여 ammonium sulfate 침전법을 사용하였고, 이후 겔 거르기 크로마토그래피(Gel filtratio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정제하였다. 정제 후 단백질은 다섯 개의 분획으로 나뉘었고 이 중 한 개의 분획이 동물 모델에 괴사와 같은 피부 손상을 일으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괴사 활성을 가진 분획의 단백질 4개의 밴드를 MALDI-TOF 시스템을 통해 분석한 결과, Peptidase M35와 Peptidase M28로 밝혀졌으며 이들은 각각 금속촉매효소(metalloprotease)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Peptidase M35와 Peptidase M28의 단백질 분해 효소로써의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카제인 분해 활성을 확인하였고, 다양한 금속 이온을 처리함에 따라 그 활성이 달라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조직에 존재하는 단백질의 한 종류인 엘라스틴(elastin) 분해능 역시 확인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A. hydrophila가 분비하는 물질 가운데 조직 괴사 활성을 일으키는 것으로 추정되는 Peptidase M35와 Peptidase M28의 두 가지 인자를 확인하여 동정하였다. 이후 두 가지 인자를 결손 시킨 돌연변이주를 구축하여 조직 괴사에 이들이 직접적으로 작용하는지 확인 할 예정이다.

도토리 Gallic Acid의 항산화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Gallic Acid in Acorn Extract)

  • 이미현;정재홍;오만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93-700
    • /
    • 1992
  • 도토리의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이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도토리 분말로부터 수종의 유기용매를 가하여 항산화성 획분을 추출 분리한 후 대두유, 팜유, 돈지 및 우지에 첨가하고 $60^{\circ}C$에서 저장하면서 POV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항산화 성분을 TLC 및 HPLC로 분리 동정하였다. 도토리의 일반성분은 수분 11.8~12.0%, 단백질 7.1~7.4%, 전분 65.5~69.4%, 조지방 2.1~2.6%, 조섬유 2.1~3.6% 및 조회분 2.4~2.6%이었으며 total tannin 함량은 4.6~6.8%이었다. 도토리류 분말로부터 acetone : water 및 ethyl acetate를 차례로 사용하여 항산화성 획분을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의 수율은 2.8~3.1%이었다. 최종단계의 도토리 추출물 중에는 gallic acid, digallic acid 및 gallotannin이 함유되어 있었다. 도토리 추출물의 항산화성분은 주로 gallic acid이었다. 도토리 추출물은 유탁액상태의 기질에서는 강한 항산화력을 나타내었고, 유지에 직접 첨가하였을 때는 항산화력이 인정되지 않았다. 우지 및 대두유탁액에 대산 도토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강하였으나 돈지 및 팜유유탁액에 대해서는 약하였다. 도토리 추출물은 0.02%의 농도에서 실용적인 항산화 효과가 인정되었다.

  • PDF

섬쑥부쟁이(Aster glehni Fr. Schm.) 분획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ion Activity of Fractions from Aster glehni Fr. Schm.)

  • 김한혁;박근혜;박강수;이진영;안봉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34-441
    • /
    • 2010
  • 최근 연구에서 폴리페놀을 함유한 천연물은 질병의 위험과 노화의 원인인 ROS와 RNS를 감소시키는 것과 연관이 있다고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섬쑥부쟁이 추출물과 분획물의 산화와 염증에 대한 저해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조사하였다. 섬쑥부쟁이 70% 메탄올 추출물은 헥산층, 에틸아세테이트층, 부탄올층, 물층을 극성별로 분획하였다. 섬쑥부쟁이로부터 분획한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과 부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50\;{\mu}g/mL$에서 각각 58.0%, 46.4%를 나타냈다.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은 $50\;{\mu}g/mL$에서 64.65%를 나타냈고, 부탄올 추출물은 $50\;{\mu}g/mL$의 농도에서 35.66%의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항염증 효과와 관련된 hyaluronidase와 lipoxygenase의 저해 활성에 대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효과는 $5\;{\mu}g/mL$의 농도에서 각각 24.37%, 29.5%의 저해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는 nitric oxide 생성 억제에서도 유의했으며, Raw 264.7 cell 내 LPS에 의해 유도된 iNOS 단백질에서 $50\;{\mu}g/mL$의 EtOAc 추출물을 처리시 81.5%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확인되었다.

대두(大豆) 품종별(品種別) Trypsin Inhibitor의 Fractionation과 내열성(耐熱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Fractionation of Soybean Trypsin Inhibitors and Its Heat Stability)

  • 박정륭;최애령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7-12
    • /
    • 1978
  • 본(本) 실험(實驗)은 한국산(韓國産) 대두(大豆) 5 품종(品種)(수원62호, 수원81호, 수원 82호, 수원 83호, 경남 3 호)의 수용(水溶), 단백질(蛋白質)을 gel filtration하여 trypsin inhibitor를 fractionation하여 대두품종별(大豆品種別) trypsin inhibitor의 pattern을 조사(調査)하고 또 이의 내열성(耐熱性)을 살펴보기 위한 목적(目的)으로 시도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대두(大豆)의 수용성(水溶性) 단백질(蛋白質)을 추출(抽出)하여 sephadex G-75로 column chromatography하여 분획한 결과(結果) 3개(個)의 peak를 얻었으며, TIA는 두번째 peak 부근에 걸쳐 있었고 trypsin inhibitor는 모두 4개의 fraction(FI, FII, FIII, FIV)으로 나뉘어졌으며, trypsin inhibitor pattern은 수원81호, 수원82호, 수원83호는 FIII의 TIA가 높았으며, 경남 3호 및 수원62호는 FIV에서 높게 나타났다. gel filtration에서 분획(分劃)한 4개의 fraction에 있어서 단백질(蛋白質) mg당(當) TIA는 모두 FIV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 fraction의 내열성(耐熱性)은 $100^{\circ}C$에서 20분간(分間) 가열처리(加熱處理)를 기준으로 했을 때 대체로 수원81호가 가장 내열성(耐熱性)이 약했으며 경남 3 호, 수원38호, 수원82호, 수원62호의 순서로 내열성(耐熱性)이 강하게 나타났고 fraction별(別)로는 수원82호를 제외하고는 모두 FIV가 가장 내열성(耐熱性)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대체로 FI의 내열성(耐熱性)이 약하였으며 경남 3 호의 FI은 $100^{\circ}C$ 20분간(分間) 처리(處理)에서 완전(完全)히 소실되었다.

  • PDF

잔대의 함유성분 분석과 항산화 활성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denophora triphylla)

  • 함영안;최현진;정미자;함승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74-279
    • /
    • 2009
  • 잔대 뿌리의 무기질, 아미노산, 지방산, 당류 함량과 항산화 효과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수분, 조단백 조지방, 조회분과 탄수화물은 각각 $3.4{\pm}0.3,\;9.4{\pm}0.1,\;1.6{\pm}0.1,\;3.7{\pm}0.2$$81.9{\pm}0.5%$이었다. 무기질 중에 칼륨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총 아미노산 함량은 $103.5{\pm}9.1$ mg/g이었고, 지방산에서 palmitic acid가 가장 많았다. 잔대 뿌리에 함유된 비타민 E와 C는 각각 $1.1{\pm}0.1$$5.2{\pm}0.5$ mg/100 g이었다. 잔대 70% 에탄올,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과 물 추출물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의 항산화 효과 결과는 $RC_{50}$값이 265.4, 117.1, 103.7, 104.4, 108.9, 484.1 ${\mu}g$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