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Protein Fractions

검색결과 783건 처리시간 0.029초

사람 NC-37 세포에서 Benzo(a)pyrene과 Doxorubicin에 의한 Nuclei내전과 c-myc 유전자의 발현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Nuclei Adduction and Expression of c-myc Gene by Benzo(a)pyrene and Doxorubicin in Human NC-37 Cells)

  • 김호찬;정인철;조무연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400-409
    • /
    • 1998
  • Formation of adduct was studied in benzo(a)pyrene(BP)- and doxorubicin(Dx)-treated human NC-37 cells and isolated nuclei. Major adducts formed were determined by fluorescence absorption spectrophotometery and DNA-lin-ked protein assay. When isolated nuclei were exposed to carcinogens BP and DMBA, and anticancer drugs m-AMSA, ellipticine and Dx, varying degrees of adduct formation occured between DNA-protein complex and these drugs. When the mixture was centrifuged 1.7 M sucrose solution, binding BP and DMBA appeared to be similar between the sediment and the supernatant. When the sediment was centrifuged again with 0.35% polymin-P, the amount of BP bound was 2-fold greater in the protein(1077$\pm$55cpm) than in DNA fraction (470$\pm$20cpm), whereas that of DMBA was 1.6-fold greater in the DNA than in protein fraction. In the case of m-AMSA, ellipticine and Dx, the amount of binding was slightly greater in supernatant than in sediment in centrifugation with 1.7 M sucrose, and more than 3 times greater in the DNA- than in protein- fraction in centrifugation with 0.35% polymin P. DNA fractions which associated with a subset of nonhistone chromosomal protein were isolated from NC-37 cells exposed to $^{3}$H-BP and $^{14}$C-Dx. They were separated into two distince components DNA-S and DNA-P by centrifugation with 2M Nacl chromatin extrac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mount of $^{3}$H-BP bound was 6.0-fold greater in DNA-P as compared with DNA-S, while that of $^{14}$C-Dx binding appreaed to be 6.2-fold greater in DNA-S than in DNA-P fraction. When $^{3}$H-BP binding wasdetermined in the presence of cold Dx, the amount of binding was reduced only in the DNA-P fraction, indicating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DNA and protein is decreased. Gene expression by these drugs, BP treated cells were increased to compare with nomal cells but reduced by treatment with BP-Dx.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rotein moiety which tightly bound to DNA-P fraction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gulation of gene expression.

  • PDF

대두의 조리 가공에 따른 Phytate 함량 및 단백질 소화율 (Effect of Cooking and Processing on the Phytate Content and Protein Digestibility of Soybean)

  • 김희승;윤재영;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603-608
    • /
    • 1994
  • 대두식품의 가공 및 발효에 따른 phytate 함량의 변화, 그 함량이 pepsin과 pancreatin에 의한 단백질 소화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전기영동법에 의한 단백질 분획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황색콩의 phytate 함량은 2.4%이었고 가공 및 발효에 따라 감소하여 두유 0.2%, 두부 0.7%, 비지 0.4%로, 청국장 0.9%, 메주 1.4%, 간장 0.2%, 된장 1.0%로 나타났다. Phytate/protein 비율은 pepsin에 의한 단백질 소화율과 상관성이 없었으나 pancreatin에 의한 단백질 소화율과는 부(負)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1, r= -0.73). 전기영동 결과 콩을 물에 불리면 수용성 분획이 변화되었고 두유 제조시 비지에는 주로 저분자량 밴드들이 새로이 나타났다. 발효 과정에서는 단백질이 분해되어 밴드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쌀단백질 잔사발효물이 효모추출물의 맛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 Fermented Rice Protein Residue on the Taste Property of Yeast Extract)

  • 박강석;한귀정;정하열
    • 산업식품공학
    • /
    • 제15권4호
    • /
    • pp.413-419
    • /
    • 2011
  • 쌀단백질을 이용한 고부가가치 천연 조미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쌀단백질을 프로테아제로 효소분해한 배지에서 Saccharomyces cerevisiae를 배양하여 제조한 효모 추출물(Yx)에, 효소분해 후 남은 쌀단백질 잔사를 Bacillus licheniformis 혹은 Bacillus subtilis로 발효하여 얻은 발효물(Rfl, Rfs)을 각각 첨가하였다. 쌀단백질 잔사의 발효물이 첨가된 효모추출물(YxRfl, YxRfs)의 전체적 선호도는 첨가전의 효모추출물(Yx)에 비하여 높았으며, 특히 쌀단백질 발효물의 보충에 의해서 감칠맛과 같은 풍미가 증가함을 미각센서 분석 및 관능검사에 의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쌀단백질 잔사발효물에 의한 감칠맛의 상승은 감칠맛을 내는 아미노산 이 외에도 쌀단백질의 발효에 따라 유리된 다양한 펩타이드 분획의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이 감칠맛 아미노산 및 펩타이드가 함유된 쌀단백질 발효물이 보충된 효모추출물은 감칠맛과 풍미의 상승작용으로 전체적인 기호도가 높아짐에 따라 고부가가치 천연조미소재의 제조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압출 성형 인삼의 항산화 활성 증강 효과 (Effect of the Extruded Ginseng on Antioxidant Activity)

  • 김성환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402-408
    • /
    • 2007
  • 최근 식품 및 천연 물질로부터 항산화 작용이 있는 생리 활성 물질을 찾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동양권에서 전통적으로 자양강장을 목적으로 많이 사용해온 인삼을 압출 성형 기술에 의해 가공한 후 80% 에탄올로 추출하고 감압 농축한 에탄올엑기스와 이를 에테르를 이용하여 지방 성분을 제거한 후 수포화 부탄올 처리한 부탄올 분획과 물 분획을 얻었다. 인삼과 압출 성형 인삼의 부탄올 층을 각각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해 인삼 사포닌 함량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압출성형 인삼이 대조 인삼에 비해 ginsenoside Rg1의 경우 약 2.2배, Re의 경우 약 2.3배, Rc의 경우 약 1.2배, Rb2의 경우 약 1.3배, Rd의 경우 약 2.2배의 사포닌 함량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ORAC 방법에 의한 항산화 활성 실험 결과, 압출 성형 인삼의 경우 인삼 중의 여러 유효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80% 에탄올 추출분 획과 일반적으로 사포닌 성분을 많이 함유한 부탄올 분획은 물론이고, 사포닌 함량이 거의 없는 수층 분획 모두에서 대조 인삼의 분획들에 비해 유의성 있는 증가 (0.05

  • PDF

팔각회향 dichloromethane 분획물에 의한 지방세포 분화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Illicium verum Hooker fil. Dichloromethane Fractions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 정현영;정인교;김남주;윤희정;박정하;김병우;권현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47-454
    • /
    • 2019
  • 비만은 에너지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체내 지방조직에 지방이 축적되는 대사성질환으로 심혈관계 질환, 고혈압, 2형 당뇨, 고지혈증 및 각종 암의 발생 빈도를 증가시키는 요인이다. 지방의 축적은 지방전구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과정을 의미하는 adipogenesis라는 과정을 거쳐서 일어난다. 지방세포로의 분화는 다양한 호르몬과 전사인자들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일어난다. 본 연구에서는 팔각회향이 항비만 소재로 활용 가능한지 확인하기 위해, 팔각회향 물 추출물을 분획하여 지방축적 억제 활성이 좋은 dichloromethane층을 선정하였다. 3T3-L1 지방전구세포가 성숙한 지방세포로 분화할 때 팔각회향 dichloromethane 층이 어떠한 기전으로 분화를 조절하는지 확인한 결과, 지방세포 분화에서 중요한 전사인자인 C/EBP family, $PPAR{\gamma}$의 발현이 억제되었고, 지방세포 최종 분화 마커로 알려져 있는 FAS 및 LPL의 발현 또한 감소되었다. 또한 G1기에서의 세포주기 정지를 통해 지방세포 분화 단계에서 필수적인 mitotic clonal expansion 단계를 억제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팔각회향이 항비만 효과를 가지는 천연물 소재로의 활용가능성을 보여주는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염주괴불주머니 분획물의 MMP-2, MMP-9 발현 억제 효과 (MMP-2 and MMP-9 Inhibitory Effects of Different Solvent Fractions from Corydalis heterocarpa)

  • 유가현;카라데니즈 파티;공창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11호
    • /
    • pp.980-986
    • /
    • 2021
  • 염주괴불주머니(Corydalis heterocarpa)는 두해살이 풀로 노란 꽃이 피고 염주처럼 잘록한 열매를 맺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우리나라 갯벌에서 서식하는 염생식물로 내건성, 내염성과 같은 독특한 생리적 기전을 가지고 있으며 민간에서 진통 경련 완화 치료제로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항염증, 항노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는 염주괴불주머니(Corydalis heterocarpa)을 이용하여 용매분획물(H2O, n-BuOH, 85% aq. MeOH, n-hexane)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PMA로 유도된 인간 섬유육종세포 HT-1080 세포에서 MMP-2, MMP-9의 발현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염주괴불주머니 분획물 처리시 TIMP-1 및 TIMP-2를 증가시키면서 MMP-2 및 MMP-9의 mRNA 및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염주괴불주머니 용매분획물 처리시 MAPKs 신호 전달 경로인 p38, JNK, ERK의 인산화를 억제하여 MMPs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염주괴불주머니의 85% aq. MeOH와 n-hexane 용매분획물에서 MMP-2 및 MMP-9 발현이 효과적으로 억제되어 MMP 억제활성이 높은 물질이 들어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이를 통해 염주괴불주머니의 암 전이 억제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Effects of Aspergillus oryzae Inclusion on Corn Silage Fermentation

  • Chiou, Peter Wen-Shyg;Ku, Hsiao-Che;Chen, Chao-Ren;Yu, B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11호
    • /
    • pp.1568-1579
    • /
    • 2001
  • This study is aimed at evaluating the effect of Aspergillus oryzae fermentation extract (AFE) on corn silag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Trial included two groups of treatments, with or without AFE inclusion in corn ensilage. Sixty corn silage containers, including two treatments with thirty replicates each, were processed in a laboratory scale mini-silo of 21 cm radius by 45 cm height. Three replicate containers were opened and sampled for analysis at 0, 0.5, 1, 2, 3, 4, 6, 10, 18 and 34 days after being ensiled. One silage container from each treatment was installed with a remote controlled electronic thermometer to record the temperature changes. Analysis included silage temperature, pH, fermentation acids, the water-soluble carbohydrates and chemical compositions and the silage protein fractions. Results showed that on the first day, the temperature of the ensiled corn was slightly higher than room temperature, but returned to room temperature on the second day. The pH and concentrations of WSC, ADF, lignin and acetic acid in the AFE treated silage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trol groups (p<0.05). The lactic acid and crude protein on the other han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FE treated silage as compared to the control (p<0.05) at the end of the ensilage period. The DM con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whereas the butyric acid content of the AFE treated silage was significantly lower (p<0.05) than the control at the end of the 34 day ensilage period. Titratable acid and buffering capacity in the corn silag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reatment groups (p>0.05). Ammonia N concentration in the AFE treated silage showed a trend of decrease (p>0.05). NPN and the protein fraction A in both groups increased during the conservation period, but fraction A in the AFE treated corn silag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silage (p<0.05). During the conservation period, the AFE treated corn silage showed a trend toward a decrease in fractions $B_1$, $B_3$ and C (p<0.05). The protein fraction B2 showed a trend toward increase in the control group and an inconsistent trend in the AFE treated silage during the ensiling period. The AFE treated silage showed a better Flieg score over the control silage (97 vs. 75) as calculated from the concentrations of lactic acid, acetic acid and butyric acid.

분열유발인자에 의한 흰쥐 림프구 단백의 인산화 (Phosphorylated Proteins of Mitogen Stimulated-Rat Peripheral Blood Lymphocytes)

  • 주일로;고성수;안영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21-130
    • /
    • 1993
  • 흰쥐 말초 T림프구에 분열유발 물질인 PMA와 Con A를 투여하여 인산화되는 단백을 확인하고, PKC 억제제인 H-7, CaM kinase 억제제인 W-7을 전처치한 후의 인산화 변동과 시간 경과에 따른 인산화 변동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흰쥐 T림프구를 PMA로 자극하면 5개의 인산화 단백이 새로이 나타나고 7개 단백의 인산화가 증가 되었으며, Con A자극으로는 1개의 단백이 새로이 인산화 되고 7개 단백의 인산화가 증가되었다. PMA 및 Con A자극으로 인산화 되는 13개 단백은 kinase억제제 전처치에 의하여 3군으로 각각 구분되며, H-7 전처치로 24 kDa/pI 7.1, 24/7.2, 26/6.1, 74/6.2 단백의, W-7 전처치로 14 kDa/pI5.9, 28/6.8, 29/6.9, 28/7.0, 44/6.8, 58/6.2 단백의 인산화가 현저히 감소 되었으며, 18 kDa/p1 5.4, 25/7.3 및 54/5.2단백은 두 억제제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들 인산화 단백은 대부분 세포의 soluble fraction에서 확인되며 자극후 반응 초기에 인산화 된 후 인산화가 감소하나, 침전물에서 관찰되는 소수의 인산화 단백은 지속적인 인산화를 보였다. 한편 Kinase 억제제 처리에 의하여 구분된 3군에 속하는 단백들의 시간에 따른 인산화 양상을 관찰한 결과 각 군에 따른 인산화 양상에 상호 연관성이 없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보아 림프구 활성의 초기 단계에서 인산화 되는 단백에는 PKC, CaM kinase 및 다른 kinase에 의해 인산화 되는 3종류의 단백이 존재하며, 3종류의 kinase의 활성은 단계적인 활성이 아니라 독립적 또는 상호 협동적으로 작용하여 림프구 활성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Biological Activities and Partial Characterization of Beauveria bassiana Mycelium

  • Park, Sung-Yong;Song, Hyuk-Hwan;Lee, Yong-Gab;Yoon, Cheol-Sik;Lee, Cha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1호
    • /
    • pp.95-101
    • /
    • 2008
  • Some biological activities of Beauveria bassiana were studied to elucidate pharmacological function of B. bassiana-infected larva of the silkworm. The mycelium consisted mainly of carbohydrate (65.8%), followed by protein (15.9%) and fat (8.3%). Glucose (68.8%), mannose (7.1%), and galactose (6.1%) were major components in carbohydrates. Ten amino acids including glutamine, threonine, valine, aspartic acid, alanine, leucine, serine, glycine, arginine, and isoleucine were found in protein as major amino acids. Various extracts were prepared from the freeze-dried mycelium of B. bassiana by systemic extraction and their biological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Among tested fractions, the hot-water extract (HW)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anti-coagulant activity, anti-complementary activity, and stimulation of intestinal immune system. The methanol extract (ME) increased acetylcholinesterase (AChE) inhibition activity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cavenging activity.

난포액내 정자유인물질의 분석 (Analysis of Sperm Chemoattractant in Follicular Fluid)

  • 박영식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7-57
    • /
    • 1999
  • Among proteins separated from methanol extract of follicular fluid with superose column, the components inducing sperm swim-up separation through sucrose layer were analysed with superose column in Smart system and SDS-PAGE. An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The fractions of retention volume (RV) 0.83ml and RV 1.36ml separated with superose column should stimulate sperm migration and movement. However, RV 0.83 fraction was consisted of complex materials containing RV 1.36 component. RV 1.36 fraction contained a BSA analogue of 67 kilodaltons (Kd) and showed identical peak pattern with BSA fraction V. In conclusion, the protein of 67 Kd in follicular fluid should stimulate sperm migration and move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