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tected areas

검색결과 370건 처리시간 0.031초

제3차전국자연환경조사의 조류자료를 활용한 생물다양성 우수지역 분포 연구 (Distribution Patterns of Biodiversity Hotspot using Birds Data from the 3rd National Ecosystem Survey in South Korea)

  • 권혁수;이윤경;유승화;김동원;김장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81-89
    • /
    • 2020
  • The grid-based analysis is useful for conservation planning, species distribution study, education, and others'. On the west coast of Korea, it was high in species richness, rarity and endangered species richness. Our results also showed that coordinated species data can be applied to develop species distribution models due to the high correlation between total species richness and coordinated species 0richness. In hot spot analysis, high species richness areas are concentrated around the west coast, while species richness is relatively low in Gangwon and Gyeongnam. Endangered species and rarity were also concentrated on the west coast and islands. Through the complementary analysis, we selected areas which are efficient to protect species; protecting more species while minimizing the conservation effort. Our result demonstrated that simply protecting Baengyueong island, Gageo island and a part of Jeju island can conserve over 50% of bird species in South Korea. However, the validity of our analysis was limited by the absence of data from national parks, and Baekdudaegan protected areas as well as inconsistent capacity among field researchers.

금정산성 주변 식생의 생태적 특성과 복원방안 (Restoration Pla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in the Area Adjacent to GeumJeong Mountain Fortress)

  • 김석규
    • 환경영향평가
    • /
    • 제19권3호
    • /
    • pp.231-245
    • /
    • 2010
  •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f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phytosociological changes in the area adjacent to GeumJeong Mountain Fortress for fifteen year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Of the 8 quadrates, site of the North Gate 2 was having a highest in the number of extinct trees, 15 kinds. This is probably due to trampling effect caused by climbers' steps. Site of the West Gate 1 and South gate 1 each had 8 kinds of extinct trees, respectively. The number of newly appeared trees was highest at site of the North Gate 1, (8 kinds) followed by the sites of South gate 1 and South gate 2, respectively (5 kinds). The highest decrease in number of tree species was observed in North Gate 1, therefore, there is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vegetation diversity and the number of users of the available spaces. In order to revitalize the unstable vegetation structure of the Area Adjacent to GeumJeong Mountain Fortress, Robinia pseudo-acacia has to be well maintained in the shrub tree layer, and vines, such as Smilax china, Humulus japonicus, and Pueraria thungergiana, should be removed. To recover natural vegetation, dead leaf layer should be protected, and more shrub trees need to be planted. In the understory and shrub tree layer, multi layer tree planting is highly recommended to recover natural vegetation and increase tree diversity. In order to improve bad soil condition caused by trampling effect of recreational users, special treatments to the soil structure are required, such as mulching and raking soil. Also, depending on its soil damage from users trampling, the areas in the park should be divided into usable areas and user limited areas by the sabbatical year system. To improve the soil acidity due to acidic rain, soil buffering ability should be improved by activating microorganisms in the soil by using lime and organic material.

조선시대 자연환경보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serva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in Chosun-Dynasty, Korea)

  • 오승봉;안동만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1-65
    • /
    • 1995
  • Conservation of the natural environiment In chosun-Dynasty, Korea, is analysed on the basis of the of official records of the king's offices(Chosun-wangjo-sillok). In the popular ideologies of the dynasty, Seongleehak(philosophy of humanity arid natural laws) and Pungsu (geomancy) , the naturnal enviroment is defined as an entity con-sisting of Cheon (heaven) , San(mnountains) , Su (water), Geumsu (animals)and Chomok (plants) .the notion of Tacksi-Tackmul(being careful to take natural resources at the right time) was one of the Cheonmyung (eavenly decrees) . It was believed that violation of this principle resulted in natural disasters. Sasan(four mountains surrounding Hansungbu-, the capital city, now Seoul) , were strictly preserved according to geomancy practices. In areas other than the capital city, Sanlimcheontack (mountains, forests, rivers and ponds) were con-served for sustained production of building materials especially pinetrees for ship building, foods, firewoods, horses, and orter useful natural resources. Various conservation policy insturuments were adopted. Prunning trees was permitted only in October. Capturing fishes was allowed only after the spawning period. Protection areas were designated in Sasan, Seongjoesiplee (surroundings of the capital city) , Geumsan(protected mountains), Kangmujang(hunting and army training grounds), Sijang(firewood areas), Mokmajang(horse ranches) and Neungyuk(royal tombs) . Activities prohibited for conservation purposes included cutting timbers, burning, building houses or tombs, dumping wastes, farming and breaking up fresh land, grazing, hunting and trespassing. Positive actions for conservation were rituals to Heaven ennoblement of natural elements such as mountians or rivers, planting trees, Boto (supplementing soil on low ridges) , Josan (mounding) and making ponds. Boto, Josan and making ponds were to make ideal terrains for geomancy. Many government bodies and civil servants were engaged in the conservation activities. For example, Sanjik(forest keeper) was a special position with responsibility for forest management.

  • PDF

광역생태축 구축을 위한 기준 및 관리지역 설정 연구 (A Study on the Setting Criteria and Management Area for the National Ecological Network)

  • 전성우;천정윤;성현찬;송원경;박지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154-171
    • /
    • 201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how criteria of a National Ecological Network (NEN) for South Korea and it was a part of a study of ecological network for broad areas on national land show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of Korea. After 1970s, many european countries presented methods and criteria not on individual protected area but on networking among many habitats. The PEEN (Pan European Ecological Network) and NATURA 2000 are results of those. In South Korea, concepts and mapping metheods of ecological network was studied but those were not applied to the whole national land because the equality and local specialities were not reflected. So, in this study, we presented the criteria composed of forest, river, wildlife and coastal evaluation items in conservation ecology and showed the mapping method which can applied to the national land. After the evaluation on land area which composed of forest, river and wildlife axis. Core areas were $30,616km^2$, buffer zone were $21,870km^2$ and each accounted for 31% and 22% of the national land. Except for Taebaeck-Gangwon region, whole region's core areas were accounted for 20~30% of it and buffer zone were accounted for 20~25% of it, so these can be applied to the national land with equality and local specialities. Forest axis and river axis were clearly linear and connected, but the wildlife axis was dispersed in point form. Therefore, to apply the NEN, a detailed habitat map is important and the interconnected implementation of forest, river, wildlife, and coastal axis is required.

서울시 구간 한강의 물리적 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of Physical Structure of Hangang(Riv.) in Seoul City Area)

  • 홍석환;염정헌;한봉호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03-408
    • /
    • 2017
  • 본 연구는 물새의 주요서식지인 한강의 물리적 구조 변화특성에 대한 시계열적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향후 물새서식지 복원 등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분석은 한강 전체 497.5km 중 서울 시내를 관통하는 구간인 상류부 팔당대교에서부터 하류부 행주대교까지 총 41.5km을 대상으로 하였고, 1975년을 기준하여 한강의 제외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토지이용분석결과, 1975년에는 퇴적지(22.7%), 수면(20.7%)을 포함하여 주변으로 시가화지역(16.9%), 밭(16.2%), 논(15.9%)이 주요 유형이었는데, 이후 대부분 지역의 토지이용을 위해 하천권역 내부로 간선도로가 조성되었고 수면 확대를 위해 수중보가 건설되면서 1985년에는 하천의 역할을 상실한 제내지(51.7%)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수면(32.8%)의 증가 또한 두드러졌으며, 제방의 축조와 수중보 조성 이후에는 토지이용의 급격한 변화보다는 조금씩 이용지역의 면적이 늘어나고 상대적으로 자연지역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2005년에는 제내지가 차지하는 비율이 57.7%까지 증가하였으며 수면은 33.3%로 증가하였다. 호안길이는 2005년 기준 1975년 대비 10.9% 감소하였으며, 자연호안의 길이는 91.5% 감소하였다. 반면 수심은 1.46m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난 30년간의 한강의 물리적 구조 변화의 흐름을 종합하면 1980년대 이전까지는 대규모 건설공사로 인한 수변구역의 축소와 수면부의 확장이 주로 진행되었으며 이후에는 호안의 인공화가 주로 진행된 흐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식처 측면에서 한강은 과거 다양한 서식환경을 유지하던 곳에서, 현재는 소수 물새류를 위한 단순한 서식지로 변화되어 서식처 다양성을 위한 적극적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멸종위기종 팔색조 전국 번식울음 분포 및 생물계절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Nationwide Song Distribution and Phenological Characteristics of Fairy Pitta Pitta Nympha, an Endangered Species)

  • 최세준;기경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39-149
    • /
    • 2022
  • 본 연구는 전국 보호지역을 대상으로 생물음향 녹음기술을 이용하여 팔색조 번식울음을 탐지하고 생물계절 특징을 파악하여 팔색조 서식지 보호와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작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지는 전국 보호지역 36개소였다. 데이터 수집 기간은 2019년 1월부터 12월이며, 분석 기간은 2019년 5월 1일부터 2019년 8월 31일이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36개소의 연구대상지에서 팔색조 번식울음이 탐지된 곳은 22개소였다. 번식울음 빈도 분석 결과 높은 빈도를 나타낸 지역은 제주도를 포함한 남부내륙이었고, 위도가 제일 높은 지역은 설악산국립공원이었다. 두 번째, 팔색조 번식울음 초성은 2019년 5월 14일에 한려해상국립공원 금산에서 나타났고, 종성은 2019년 8월 6일에 고창 운곡습지에서 나타났다. 세 번째, 번식울음 일주기 분석 결과 05시에 울음 빈도수가 급격하게 상승하여 06시에 피크를 나타낸 뒤, 다시 줄어드는 패턴이 나타났다. 네 번째, 번식울음 계절주기 분석 결과 2019년 5월 14일부터 8월 6일까지 나타났고, 번식울음 누적빈도가 가장 높은 날은 6월 3일(Julian date: 154)이었다. 번식울음이 탐지된 날의 평균 기온은 17.4℃, 평균 강수량은 0.02mm, 평균 습도는 82.6%이었다. 다섯 번째, 팔색조 번식울음과 기상요인과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번식울음과 기온과의 관계가 음의 상관관계(p<0.001)를 나타내었고, 강수량(p=0.053), 습도(p=0.077)는 유의한 의미를 나타내지 않았다(df=471). 본 연구는 전국 보호지역을 대상으로 생물음향 녹음기술을 이용하여 팔색조의 번식울음 분포를 확인하고, 울음기간, 기상요인과의 관계를 정밀하게 분석하여 생태적 특성을 밝힌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서울 도시생태 보호지역 관리계획 연구 - 백사실계곡 생태·경관보전지역을 대상으로 - (Studies on the Management Plan in Urban Ecological Protected Area of Seoul - A Case Study of the Baeksil Valley Ecological Scenery and Conservation Area -)

  • 박석철;한봉호;곽정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109-126
    • /
    • 2015
  • 본 연구는 백사실계곡 생태 경관보전지역의 생물다양성 확보와 건강한 생태계 유지에 필요한 정밀 자료를 구축하고, 보전지역 특성에 맞는 생태적 관리계획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기간은 2010년 4월부터 2013년 5월까지이다. 백사실계곡은 최근 시민들의 이용 증가와 외래식물 식재 및 확산이 되고 있어 생태계 교란이 가속화 되고 있다. 주요 연구내용은 보호지역 관리시스템 고찰, 유역권 차원의 생태적 관리 필요성 고찰, 관리계획 수립 체계 설정, 사례 대상지 현황조사 및 분석, 위협요인 도출, SWOT 분석을 통한 목표 설정, 관리 전략, 관리계획 수립이었다. 현황조사 항목은 자연기반 환경, 동 식물 현황, 이용 환경으로 구분하여 파악하였다. 백사실계곡 생태 경관보전지역의 생태적 관리계획의 목표는 양서류의 안정적인 산란 및 서식을 위한 유역권 관리, 까막딱다구리의 영구적 서식 유도를 위한 산림 식생 보전 및 복원, 대경목 느티나무 군락 경관 보전을 위한 기반 환경 관리, 보호생물의 안정적 서식을 위한 이용자 관리로 설정하였다. 세부 관리계획 내용으로 보전 계획은 상류부 점 비점오염원 관리, 자생식물 생육환경 확보, 안전한 양서류 서식처 확보, 주요 야생조류 서식지 확보를 제시하였고, 복원 계획은 인공림의 자연림 복원, 자생초본 및 외래초본 관리, 훼손된 숲길 복원을 제시하였다.

토양검정에 의한 시비량 수준이 멜론의 생육과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Fertilization Level by Soil Testing on Plant Growth and Fruit Quality in Melon (Cucumis melo L.))

  • 황미란;김희은;권준국;조명환;최효길;강남준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62-166
    • /
    • 2013
  • 토양검정 후 시비수준이 멜론의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추천 시비량을 줄이면 엽면적과 과실 무게는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엽면적은 추천시비량의 100% 시비구에 비해 0%와 50% 시비구에서 각각 54.1%와 24.5% 감소하였다. 과실무게는 추천 시비량의 100% 시비구에서 2670g인데 비해 0과 50% 시비구에서 각각 1650g과 2140g으로 38.2%와 19.9% 감소 하였다. 그러나 가용성 고형물과 자당 함량은 100% 시비구에 비해 50% 시비구에서는 각각 1.8%와 23.3% 증가하였다. 따라서 멜론 재배시 토양검정 후 추천 시비량의 50%만 시비하여도 엽수, 초장 및 엽면적 등의 생육과 평균과중에 감소가 없어 당도가 높은 멜론을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비량을 줄임으로써 염류집적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우리나라 보호지역의 보존에 대한 도서생물지리학과 서식처 분획화 이론의 적용 (The Application of Island Biogeography and Habitat Fragmentation Theory to the Conservation of Protected Areas in Korea)

  • 김용식;마이클모운더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2-24
    • /
    • 1992
  • 우리나라에 있는 보호지역의 보존 및 관리에 대한 제반 문제의 해결을 위한 한 접근방법으로 도서생물지리학과 서식처 분획화 이론의 적용에 대한 검토를 하였다. 최근 생물적 다양성의 파괴와 함께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보호지역내 자연 서식처에 대한 적절하고 신속한 조치가 필요하며.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우리나라 보호지역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제반 검토를 하였다. 우리나라의 식물상은 주로 인간의 간섭에 의해 계속 변화할 것이다. 다양한 내용의 위협에 처해 있는 우리나라 보호지역의 보존과 관리에 대한 이의 바람직한 해결을 위해서는 결과적으로 동, 식물상 또는 집단이나 종 등의 개별적인 접근이 아닌 종합적인 접근방법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접근방법은 서식처, 종 및 집단의 관리에 대한 위협의 종류, 유효성과 잠재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보호지역의 보존전략에 대한 도서생물지리학과 서식처 분획화 및 주연부효과 이론 등의 적용은 현존의 서식처 패치에 대한 격리 및 분획화등의 역동적인 관계에 대한 이해를 보다용이하게 해주게 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접근방법은 우리나라 식물상의 분포특성 및 현상에 대한 제반 지식에 기초를 둔 식물의 보존책의 하나로 이는 우리나라의 보호지역의 보존에 대한 보다 합리적인 접근방법이 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적용을 기초로 하여 최소활성화집단의 규모 등의 개념 도입은 식물과 서식처 보존의 보다 바람직한 해결을 위한 종합적인 한 방법이 되리라 생각된다.

  • PDF

사과원에서 점박이응애의 월동처와 월동 사충률 (Overwintering Sites and Winter Mortality of Tetranychus urticae in an Apple Orchard in Korea)

  • 이중섭;이선영;도윤수;이성찬;조일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51-357
    • /
    • 2015
  • 사과 재배포장에서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의 월동은 사과나무의 여러 장소에서 5~15마리의 성충 암컷이 개체군을 형성하여 월동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월동중인 암컷들은 대부분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 유충의 고치가 있는 조피사이의 갈라진 틈에서도 발견되었으며, 부주지 상에 형성된 좁은 조피틈과 과실 수확 후 남아있는 꽃자루에서도 발견되었으나 월동 개체수는 매우 적었다. 또한, 월동중인 암컷들은 결과지의 기부에 형성된 거친껍질 및 눈의 기부, 여러 작은가지의 분지부위 좁은틈에서도 발견되었다. 한편, 수체상에 형성된 일부 점박이응애 월동장소로 죽은 개각충속, 깍지벌레 빈껍질속, 진딧물의 미라속에서도 발견되었는데, 이들 장소에서의 월동 응애수는 매우 적었다. 2년에 걸쳐 수행된 본 연구에서 점박이응애의 월동중 암컷 성충의 사망률은 평균 72~80%로 매우 높았으며, 이는 이들 응애가 겨울 동안 추위에 견디는 저항력이 낮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