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sthodontic rehabilitation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39초

거대설을 가진 환자에서 중립대 개념과 연마면 인상을 이용한 총의치 수복 증례 (Neutral zone approach and external impression for rehabilitation of macroglossia: a case report)

  • 강현;서누리;박상원;윤귀덕;박찬;임현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4권3호
    • /
    • pp.218-224
    • /
    • 2018
  • 거대설은 일반적인 보철 수복을 진행하는 데에 장애물이 되는 요소 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환자에서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작된 의치는 유지와 안정을 얻기 어려울 뿐 만 아니라, 기본적인 저작의 효율 또한 얻기 힘들 것이다. 이러한 경우 안정적인 의치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의치의 교합뿐 아니라 주변 근육 조직과의 조화가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고, 이를 위해서 연마면을 적절히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중립대(neutral zone)는 혀가 밖으로 미는 힘과 볼과 입술이 안으로 미는 힘이 평형을 이루는 근신경계 기능에 의한 잠재적 영역으로 정의되며, 총의치의 인공치가 이 영역에 위치되고, 연마면 형태가 동적인 근육의 해부학적 형태를 따른다면 근육의 움직임은 의치를 안정시키는 요소로 작용할 뿐 아니라 안면 지지를 통하여 심미성 또한 향상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악 소수치 잔존 환자에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가철성 부분틀니 수복 증례 (Rehabilitation of maxillary partial edentulous patients using implant 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 이보라;김지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28-135
    • /
    • 2014
  • 부분 무치악 환자는 고정성 보철, 가철성 국소의치,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로 수복될 수 있다. 그러나 소수 잔존치아만 남은 경우, 고정성 보철로는 수복이 어려우며, 국소의치 혹은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을 고려하게 된다. 이 경우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은 고정성 수복이라는 장점이 있으나, 충분한 개수의 임플란트가 식립되어야 하며, 환자의 전신적, 국소적 여건이 합당해야 하고, 경제적 부담도 크다. 가철성 국소의치는 지대치에 의한 대칭적인 지지가 중요하며, 특히 중심선에 대해 편측으로 소수 치아만 남은 경우에는 지점선에 대해 지대치에 유해한 스트레스를 가하면서 지대치의 예후가 불량해진다. 이 경우, 전략적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함으로써 임플란트를 의치의 유지 및 지지 요소로 활용하는 가철성보철물을 설계한다면 비용 대비 기능적이며 심미적인 보철 수복이 가능해진다. 본 두 증례는 상악 Kennedy Class I 부분 무치악 환자 중 편측으로 소수 잔존치가 전치에 국한하여 존재하는 경우로, 잔존치를 지대치로 사용하면서, 전략적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함으로써 의치의 지지가 향상된 국소의치를 제작한 증례이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전악 고정성 보철 수복 증례 (Application of various digital technique on full mouth rehabilitation: A case report)

  • 배민수;송광엽;안승근;박주미;이정진;서재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43-54
    • /
    • 2021
  • 디지털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보철 수복치료에 있어서도 많은 기술들이 활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구강스캐너와 3D printing 기술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더 나아가 안면스캔 기술 또한 접목되어 활용되고 있다. 본 증례는 37세 여성환자에서 전통적인 방식으로 제작되고 장착되어 충분히 평가된 전악 고정성 임시수복상태를 구강스캐너와 안면스캐너, 3D printing 등의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안모와 조화를 이루는 최종보철물로 이행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를 통해 안정적인 교합을 회복하고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편측성 완전 구순구개열 환자의 포괄적 치료 (COMPREHENSIVE TREATMENT OF UNILATERAL COMPLETE CLEFT LIP AND PALATE)

  • 이정근;황병남;최은주;김용빈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2권4호
    • /
    • pp.430-435
    • /
    • 2000
  • Cleft lip and palate is one of the congenital anomalies which need comprehensive and multidisciplinary treatment plan because 1) oral cavity is an important organ with masticatory function as a start of digestive tract, 2) anatomic symmetry and balance is esthetically important in midfacial area, and 3) it is also important to prevent psycho-social problems by adequate restoration of normal facial appearance. There are many different protocols in the treatment of cleft lip and palate, but our department has adopted and modified the $Z{\"{u}}rich$ protocol, a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Cleft Lip and Palate Association in 1998. The first challenge is feeding. Type of feeding aid ranges from simple obturators to active orthopedic appliances. In our department we use passive-type plate made up of soft and hard acrylic resin which permits normal maxillary growth. We use Millard's method to restore normal appearance and function of unilateral complete cleft lip. In consideration of both maxillary growth and phonetic problems, we first close soft palate at 18 months of age and delay the hard palate palatoplasty until 4 to 5 years of age. When soft palate is closed, posterior third of the hard palate is intentionally not denuded to allow normal maxillary growth. In hard palate palatoplasty the mucoperiosteum of affected site is not mobilized to permit residual growth of the maxilla. We have treated a patient with unilateral complete cleft lip and palate by Ajou protocol, which is a kind of modified $Z{\"{u}}rich$ protocol. It is as follows: Infantile orthopedics with passive-type plate such as Hotz plate, cheiloplasty with Millard's rotation-advancement flap, and two stage palatoplasty. It is followed by orthodontic treatment and secondary osteoplasty to augment cleft alveolus, orthognathic surgery, and finally rehabilitation with conventional prosthodontic treatment or implant installation. The result was good up to now, but we are later to investigate the final result with longitudinal follow-up study according to master plan by Ajou protocol.

  • PDF

콘빔형 전산화단층영상을 이용한 한국인의 본윌 삼각에 대한 평가 (Evaluation of Bonwill triangle using cone beam computerized tomography in Korean)

  • 공현준;오상천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4권2호
    • /
    • pp.97-103
    • /
    • 2018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콘빔형 전산화단층영상(cone-beam computerized tomography)을 이용하여 한국인의 본윌 삼각을 평가함으로써 그간 서양인을 기준으로 제시된 본윌 삼각 관련 수치와 비교하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대전치과병원에 내원하여 Cone-beam CT를 촬영한 환자 중, 본 연구의 기준에 적합한 한국인 120명(남성 60명, 여성 60명)이 선택되었으며 Invivo 5.1 (Anatomage, San Jose, USA)가 Cone-beam CT scan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축의 방향설정을 시행한 후, 과두간 거리는 각 과두의 중심점을 지정하여 측정하였으며, 과두-절치간 거리는 과두 중심점과 하악 양 중절치 절단연의 접촉점을 지정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23.0 (IBM Inc., Armonk, US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independent t-test를 이용하여 성별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한국인의 평균 과두간 거리는 105.9 mm였으며, 남성(108.3 mm)이 여성(103.4 mm)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 한국인의 평균 과두-절치간 거리는 105.2 mm였으며, 남성(108.1 mm)이 여성(102.3 mm)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측정된 한국인의 과두간 거리는 105.9 mm로 서양인을 대상으로 제시된 110 mm에 비해 작은 값을 보였으며, 남성이 여성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 본 제한된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한국인의 보철적 수복 시 과두간 거리를 좀 더 개인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교합기 사용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전치부 임플란트 보철을 이용한 후방연장 국소의치 수복 (Distal-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Anterior Implant Prostheses: Case Report)

  • 나현준;강동완;손미경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7권4호
    • /
    • pp.437-447
    • /
    • 2011
  • 오랜 기간 국소의치를 장착한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치아가 결손된 부위는 점진적인 치조골의 흡수가 발생되는 반면, 잔존 지대치 부위는 치조골이 유지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차후 잔존 지대치를 상실한 후에도 치아 상실의 시점에 따라 수직적인 골 높이의 현저한 차이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전체 치아 발거 후 상하악 악간 거리가 좌우측 또는 전후방으로 다르게 나타나는 환자에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물이나 임플란트 피개의치의 제작 시 여러 가지 보철적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본 논문은 구치부 결손으로 인해 오랫동안 국소의치를 사용했던 환자에서 치아 상실 후 잔존 치조골의 높이를 고려하여 임플란트 지지 국소의치를 제작한 증례로서 잔존 치조골 량이 많아 악간거리가 짧은 전치부는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고정성 보철물로, 오랫동안 치조골의 흡수로 인해 악간거리가 긴 구치부는 국소의치로 수복하였다. 본 증례에서의 임플란트 지지 국소의치는 부가적인 수술이 없이 소수의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환자에게 기존 보철물의 양식과 유사한 보철물을 제공함으로서 경제적이고 편안한 치료결과를 보여주었다.

무치악 환자에서 치은의 색조 개선을 통해 심미성을 향상 시킨 총의치 수복 증례 (Esthetically improved complete denture by gingival shade alteration: a case report)

  • 임수현;김지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39-245
    • /
    • 2014
  • 총의치 보철은 잔존 자연치가 완전히 소실된 환자를 위한 상, 하악의 상실된 관련 구조물과 자연치의 수복을 포함한다. 보철치료의 궁극적인 목적중에 심미적 그리고 기능적인 회복이 포함된다. 최근에는 고령의 환자들에도 심미적인 요구가 크게 증가되고 있기에 총의치 보철치료에 있어서도 이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총의치 보철치료에서도 자연 치아와 유사하게 보이기 위해 치아 마모 정도 및 배열, 치경부 치은의 퇴축, 착색, 치은의 색조 개선 등을 표현하려는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져 왔다. 본 61세 여환은 5년 전 개인치과에서 제작한 의치가 부러지고 잘 맞지 않는다는 주소로 본원 보철과 내원하였고 상악 총의치 및 하악의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제작하기로 계획하였다. 환자는 기본적인 저작기능의 회복을 고려하고 있었지만, 그보다는 자연스럽고 심미적인 총의치 제작에 최우선 순위를 두고 있었다. 심미적이며 자연스러운 형태를 표현하기 위하여 Aesthetic Color Set Easy system$^{(R)}$ (Candulor dental GmbH, Wangen, Germany)을 활용하여 치은의 다양한 색조를 재현한 총의치를 제작하였다. 보철물 시적이 완료되었고 총의치의 기능적인 면이 회복되었을 뿐만 아니라 환자의 심미적인 요구까지 충족시킬 수 있었다. 적절한 심미적 재료의 선택과 더불어 개개인에 적합한 특성을 잘 표현할 수 있다면 환자와 치과의사 모두에게 만족감을 주는 총의치 보철치료가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하악 전치부 상실로 인한 조음장애를 보이는 경도 지적장애 환아에서 탄성의치를 통한 조음능력의 향상 (Improvement of Articulation Disorder Using Flexible Partial Denture in Intellectural Disability Patient with Missing Lower Incisors)

  • 최해인;최병재;최형준;송제선;이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06-313
    • /
    • 2013
  • 구강악안면의 여러 구조는 매우 복잡하고 정밀한 상호과정을 거쳐 말소리를 만들어낸다. 그 중 치아는 중요한 조음기관으로서 치아의 상실시 정상적인 발음을 하기 위해서는 혀와 턱의 위치 수정을 통한 적응이 필요하며, 적응 가능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적극적인 보철적, 교정적 치료를 요하게 된다. 소아의 다수 치아 상실은 조음에 어려움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부정교합, 악골발육 저하, 측두하악관절의 변위, 저작력 저하, 영양 불균형, 심미성 저하 등의 문제를 초래하기 때문에 반드시 상실부위의 회복이 필요하다. 아크릴릭 레진을 이용한 기존의 가철성 장치와 비교하여 Valplast$^{(R)}$ 탄성의치는 조직과 긴밀하기 접착되며 치은의 자연적인 색조를 투과시키는 얇고 강한 레진 유지부를 가져 심미성이 매우 높으며 우수한 물성을 가지는 등 많은 장점을 갖고 있다. 특히 전체적인 두께가 얇고 부피가 작아 이물감이 적고 혀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기 때문에 발음의 회복에 장점을 가진다. 본 증례는 완전탈구된 하악 전치부로 인해 조음장애를 보였으나 Valplast$^{(R)}$ 탄성의치를 장착한 후 조음의 개선을 보인 경도 지적장애 환아에 관한 것으로 조음검사를 통해 하악 전치부의 상실이 조음에 미치는 영향에 보고하고자 한다.

Functionally generated path technique 및 구내 디지털 스캔을 이용한 상악 구치부의 고정성 보철 수복 증례 (Fixed prosthodontic rehabilitation of maxillary posterior teeth using functionally generated path technique and intraoral digital scan: Case report)

  • 김성호;이종혁;최유성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3호
    • /
    • pp.228-238
    • /
    • 2020
  • 환자의 교합에 맞춰 적절한 고정성 보철물을 성공적으로 제작 및 수복하기 위해서 필요한 다양한 고려사항이 있다. 그 중 환자가 갖고 있는 교합의 형태를 파악하여 고정성 보철물에 부여하는 것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견치 유도 교합, 군 기능 교합 등 여러가지 교합 형태를 파악하는데 있어서 하악의 운동을 기록하는 것이 중요한데, 1933년 Meyers에 의해 소개된 Functionally generated path (FGP) technique은 구내에서 왁스 등의 재료를 이용하여 교두가 지나가는 하악 운동로를 기록한 후 보철물 제작에 적용하는 치료 술식이다. 본 증례에서는 두 명의 환자에 있어서 상악 구치부에 이차 우식 혹은 치주염으로부터 기원한 치수 유래 병소가 있어, 근관 치료 및 치주 치료 완료 후 고정성 보철물 수복이 필요하였다. 장기적인 예후가 좋지 않은 치아이기에 측방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FGP technique을 이용하여 하악 운동을 기록하였다. 통상적인 석고 인상 방법이 아닌 구내 디지털 스캔을 시행함으로써 더 효율적으로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치료 후 환자와 술자 모두 기능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임시 고정성 보철물 제작용 레진의 굽힘강도 (Flexual strength of resins for provisional fixed prostheses)

  • 최명아;안승근;조국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16권3호
    • /
    • pp.221-227
    • /
    • 2000
  • Provisional fixed partial dentures(FPDs) are an important part of many prosthodontic treatment procedures. These provisional fixed prostheses must fulfill biologic, mechanical, and esthetic requirements to be considered successful. Consideration of all these factors and requirements are important because provisional resin restorations may be worn over a long period to assess the results of periodontal and endodontics therapies, and also during the restorative phase of implant reconstructive procedures. This in vitro study examined flexual strength of four resins commonly used for fixed provisional prostheses. The effects of polymerization conditions were also evaluated. The four resins tested were : Caulk Temporary bridge resin(L.D. Caulk Co. Dentsply International Millford), Jet(Lang Dental Mfg. Co. Chicago. ILL. U.S.A), Alike (Coe Laboratories. Inc. Chicago. ILL. U.S.A) and Tokuso Curefast (Coe Laboratories. Inc. Chicago. ILL. U.S.A) The test specimens were 65mm long, 14mm wide, and 3.5mm thickness. 10 specimens of four resins were cured for 15 minutes at atmospheric pressure and 10 specimens of four resins were cured at an additional pressure of approximately 20 psi. A total of 80 specimens were prepared. The flexual strength was determined by three-point bending test. Data were analysed with the Paired samples T-test and Tukey student-range test Within the limitations imposed in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 1. Under the condition of bench curing, Caulk Temporary bridge resin showed the highest flexual strength. In decreasing order, the flexual strength of the other materials was as follows : Jet, Tokuso Curefast, Alike, and Caulk Temporary bridge resin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strength than other resins. 2. Under the condition of pressure curing, Jet showed the highest flexual strength. In decreasing order, the flexual strength of the other materials was as follows : Caulk Temporary bridge resin, Tokuso Curefast, and Alike. There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four resins 3.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nch- and pressure-cured specimens in all four materia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