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scenium stage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1초

중세(中世)와 르네상스 극장(劇場) 무대공간(舞臺空間)의 미디어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dia Characteristics of Stage Space in Middle Age and Renaissance Theater)

  • 김성기;박언곤
    • 건축역사연구
    • /
    • 제15권1호
    • /
    • pp.61-76
    • /
    • 2006
  • The stage is ceremonial and legendary space unlike the ordinary world. Performance is not simply scrip-staged, but spatial art based on tempo that transmits extreme condition. The stage art is a visual art combined with stage settings, lighting, customs and the like. I exemplify the stage of Middle Age and Renaissance in the history of the art of public performance and so I review that what meditative functions each stage perform and that as what pattern of media it can be conceptualized. In this thesis, I divide the places of public performance Into the spaces of proscenium and polygon and also set up the concepts of hot and cool that McLuhan presents for each space. So, the degree of participation c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distinction of quantity of information, which is communication following the patterns of spaces. The basis of public performance might be the communication between co-actors and audiences. Since the sense of the art of public performance is the art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meaning based on the communication with co-actors, it is not a confirmed and fixed one, but rather a reflexive one that can be created and changed continuously. Therefore, audiences should be regarded as the subjects, who are making the art of public performance with co-actors.

  • PDF

16세기 르네상스 극장에 나타난 무대와 객석공간의 특성과 변화에 관한 연구 - 테아트로 올림피코와 테아트로 파르네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 and translations of the Stage and Auditorium on the 16th Renaissance Theater - Focused on the Teatro Olimpico and Teatro Farnese -)

  • 임종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9호
    • /
    • pp.51-57
    • /
    • 2001
  • This study examines the space composition and character of 16th Renaissance Theater base on the theory of typology and interpreter in the european traditional classic theater. Baroque theater and early modern theater is considered as a symbolic representation of the renaissance theater's organization. In the historical theory, theater Teatro Olimpico and Teatro Farnese was a common tool and best systeme in reflecting renaissance type and perspective system. This role of type as life cycle and new style of theater permanent design has get its value with the population increase. This study attempts to revaluate the need of space typology in modern society through a critical review of theater and its use as a visual space. Content analysis was used to discuss the topics of this study includ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theater, the relationship between amphitheater and modern theater design, and the role of scenery, auditorium and its impact on Proscenium scenery. The scope of the study is limited to the comparison of 16th european theater and contemporary theater space use program from the space critic and sociologist. Today the concept of theatrical space is altered with the typology of classic and interpreter space.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for the future implications of theatrical space in developing space for its a new definition as cultural representation.

  • PDF

공연장 무대부 화재 시 자연배출구 및 방화막 영향 검토를 위한 축소모형 실험 (Reduced-scale Model Experiment for Examination of Natural Vent and Fire Curtain Effects in Fire of Theater Stage)

  • 백선아;양지현;정찬석;이치영;김동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4호
    • /
    • pp.41-4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실존하는 공연장을 대상으로 1/14 비율로 축소하여 제작한 모형을 이용하여 공연장 무대부 화재 시 자연배출구 및 방화막 영향을 검토하였다. 자연배출구가 개방되고 방화막이 미설치된 경우에 무대부 온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객석부 온도의 경우 자연배출구가 개방되고 방화막이 설치된 경우에 낮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한편, 객석부 프로시니엄 개구부에 근접한 위치에서의 온도 상승 시점 분석을 통해 자연배출구 개방이 무대부에서 객석부로의 연기 유출 시작 시점을 지연시키고 객석부 온도 상승을 억제할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 조건에서 방화막 설치 여부는 자연배출구를 통한 유출 유동의 속도 및 질량 유량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이는 무대부에 존재하는 개구부 때문으로 판단된다. 본 실험 결과는 실제 공연장 화재 시 자연배출구 및 방화막 영향 평가를 위한 기초 데이터로 활용 가능할 뿐 아니라 전산시뮬레이션의 신뢰성 검증을 위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공연장 화재 축소모형의 전산시뮬레이션을 통한 방화막 영향 예측 (Prediction of the Fire Curtain Effect through a Numerical Simulation of a Reduced Scale Model for Fires in Theaters)

  • 김동환;이치영;김동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3호
    • /
    • pp.51-59
    • /
    • 2018
  • 공연장 화재 시 방화막이 객석공간으로의 연기 확산을 억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산시뮬레이션의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존 축소모형실험에 대해 전산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해당 전산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방화막의 영향을 예측하였다. Fire Dynamics Simulator (FDS)를 이용하였고, 자연배출구 크기는 무대공간 바닥면적의 ~10%, ~5%, ~1%로 설정하였다. 연기 거동을 가시화하고 질량 유량 및 온도 등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실규모 공연장 화재에서의 방화막 영향을 예측하기 위하여 상사법칙을 활용하였다. 방화막이 없을 때 본 전산시뮬레이션 결과는 기존 축소모형실험 결과와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한편, 실규모 공연장 화재 시, 방화막은 자연배출구 및 프로시니엄 개구부를 통한 질량 유량 및 객석공간으로 soot 유출이 일어나는 시점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방화막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달구벌 북춤 춤사위의 특성에 대한 고찰 (A Study on Movement Characteristics of Dalgubal Drum Dance)

  • 최원선
    • 공연문화연구
    • /
    • 제42호
    • /
    • pp.147-181
    • /
    • 2021
  • 달구벌 북춤은 영남지역의 전통 북춤의 전형에 기반하여 지역적 상징성과 전승자 황보영의 춤철학과 사상, 예술적 감각을 가미해 현대적 형태로 계승되고 있는 춤이다. 이 춤은 전통춤의 주요한 요소들과 예술성을 장점으로 대구, 영남지역뿐만 아니라 국내외 여러 무대에 초청받아 활동을 이어오며 전통문화의 변용을 통한 대중적 가능성을 보인다. 본 연구는 이러한 달구벌 북춤의 움직임 특질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여 이 춤이 지닌 독특한 매력과 상징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구체적 분석은 제89회 한국의 명인 명무전의 달구벌 북춤의 영상을 대상으로 라반의 움직임 분석법(Laban Movement Analysis)을 적용해 진행하였다. LMA의 4가지 주요한 카테고리-신체, 에포트, 형태, 공간-를 중심으로 살펴본 달구벌 북춤은 군더더기나 지나친 화려함 없이 담백한 움직임과 강렬하지만 단순하고 경쾌하며 큰 산맥으로 둘러싸인 대구지역의 사람들의 호방한 기질이자 문화적 특성을 형상화하고 있다. 강하게 북을 쳐 소리를 만들고, 그 음악적 행위가 다채로운 춤으로 발전되어 형성되는 북소리와 춤사위의 멋드러진 조화는 악(樂)과 무(舞)의 일치를 통한 활달한 한국적 풍류, 멋과 흥, 신명이 무엇인지를 보여준다. 특히 프로시니엄 무대를 고려하여 구성된 춤사위 그리고 북놀음의 모습은 3차원 공간의 입체 구조를 활용한 조형미와 인간의 몸짓을 드러내는 문화적 상징성을 드러낸다. 또한, 사상적으로 삼수분화(三數分化), 천지인(天地人) 합일사상(合一思想)과 음(陰) 양(陽)의 조화가 깃든 짜임새 있는 구조와 정(靜), 중(中), 동(動)의 조화로운 움직임 표현을 보인다. 인간사의 갈등과 모순, 대립에서 벗어나 신명으로 소통하고 공동체의 화합을 희망하는 주제를 담고 있는 이 춤은 한국춤의 독특한 가치와 고유한 특성을 바탕으로 한국의 전통 철학과 동양 사상의 의미성을 현대적 재해석한 작품으로 해석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