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pagation loss

검색결과 605건 처리시간 0.024초

황해에서 저주파 음파의 해저손실 변동 (Bottom Loss Variation of Low-Frequency Sound Wave in the Yellow Sea)

  • 김봉채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9권2호
    • /
    • pp.113-121
    • /
    • 2007
  • The sound wave in the sea propagates under the effect of water depth, sound speed structure, sea surface roughness, bottom roughness, and acoustic properties of bottom sediment. In shallow water, the bottom sediments are distributed very variously with place and the sound speed structure varying with time and spac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easonal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low-frequency sound wave in the Yellow Sea, propaga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along a track in the middle part of the Yellow Sea in spring, summer, and autumn. In this paper we consider seasonal variations of the sound speed profile and propagation loss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s. Also we quantitatively investigate variation of bottom loss by dividing the propagation loss into three components: spreading loss, absorption loss, and bottom loss. As a result, the propagation losses measured in summer were larger than the losses in spring and autumn, and the propagation losses measured in autumn were smaller than the losses in spring. The spreading loss and the absorption loss did not show seasonal variations, but the bottom loss showed seasonal variations. So it was thought that the seasonal variation of the propagation loss was due to the seasonal change of the bottom loss and the seasonal variation of the bottom loss was due to the change of the sound speed profile by season.

해수면 자유공간의 전파경로손실 예측 모델 (Prediction Model of Propagation Path Loss of the Free Space in the Sea)

  • 류광진;박창균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579-584
    • /
    • 2003
  • 지금까지 제안된 전파경로손실 예측모델 모두는 지표면 생활공간을 대상으로 하였을 뿐이다. 실제 해수면 자유공간은 지표면 생활공간과 물리적 계층구조가 다르다. 따라서 지표면 생활공간을 대상으로 한 전파경로손실 예측모델을 해수면 자유공간에 적용하는 경우, 전파경로손실은 실측값보다 더 적고, 한편 서비스 가능 최대 직선거리는 더 짧게 예측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CDMA방식 이동 통신 주파수대역을 중심으로 해수면 자유공간에서의 전파경로손실을 보다 정확히 예측하기 위한 모델을 제안하여 시뮬레이션하고 이를 현장 실측결과와 비교함으로써 그 실용성을 검증한다.

산악지형에서의 UHF대역 전파손실예측을 위한 LEE모델 적용방안 연구 (A Study on LEE Model Application for Propagation Loss Estimation of UHF band in Mountain Area)

  • 이창원;전용찬;신임섭;김진국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7-172
    • /
    • 2015
  • In this paper, we have compared some radio propagation models in order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W.C.Y LEE propagation model in mountain area. The four propagation models, which are Okumura-Hata, ITU-R P.525, Egli and W.C.Y. LEE, are analyzed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measured values and propagation loss estimation values. And a correction method for W.C.Y LEE model is suggest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W.C.Y. LEE model with measured data in mountain area.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estimation error using W.C.Y LEE model is the lowest among four propagation models. Also, the results show that the corrected W.C.Y LEE model with suggested method improves the performance of propagation loss estimation.

A Study on Propagation Path Characteristics of GPS Potential Jamming Signal Based on Spherical Ground Diffraction Loss

  • Ko, Kwang-Soob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64-269
    • /
    • 2013
  •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propagation path characteristics of GPS potential jamming signal. To do this, the spherical ground diffraction model is applied to the potential jamming scenario referred to the GPS jamming events occurred in recent years. The fundamental theory on the propagation path loss is discussed and a specific model is applied to several vehicles types which have own heights of antennas in order to compare their propagation path loss values at same 2-D location. The transmitting powers are appropriately given as the ordinary GPS jamming events. And then the received powers in dBW are obtained with given transmitting powers and the estimated total loss. The result of received jamming power at various locations due to the given scenario was distinct. For example, propagation loss values were estimated as -147 ~ -142dBW and -167 ~ -162dBW in $10^6W$ and $10^4W$, respectively. This computation result of the loss can be seriously considered with the tolerable jammer power against L1- C/A GPS receiver under any real jamming situations.

동중국해 북부해역에서 음파전달 특성의 시공간적 변동성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Sound Propagation Characteristics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 박경주;피터추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01-211
    • /
    • 2015
  • Acoustic propagation in shallow water with changing environments is a major concern of navy.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acoustic propagation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ECS) is studied, using the 11 years hydrographic data and the Bellhop acoustic model. Acoustic propagation in the northern ECS is highly variable due to extensive interaction of various ocean currents and boundaries. Seasonal variations of transmission loss (TL) with various source depths are highly affected by sharp gradient of sound speed and bottoms interaction. Especially, various bottom sediment types lead to severely degrading a waterborne propagation with bottom loss. In particular, the highly increased TL near the ocean front depends on the source position, and the direction of sound propagation.

황해에서 저주파 광대역 음원을 이용한 전달손실의 계절변동 연구 (A Study on Seasonal Variation of Propagation Loss in the Yellow Sea Using Broadband Source of Low Frequency)

  • 김봉채;최복경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13-220
    • /
    • 2002
  • 해수중에서 음파는 수심, 음속구조 및 해저지질 등의 영향을 받으면서 전파한다. 특히 천해의 경우 해수중의 음속구조는 시공간적으로 심하게 변동하고 있고, 해저지질도 공간적으토 다양하게 분포한다. 황해에 있어서 저주파 음파전파의 계절변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황해의 중앙부분에 위치하는 동일한 정선에서 봄철, 여름철, 가을철 등 서로 다른 계절에 저주파 광대역 음원을 이용하여 음파 전파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 때에는 수중음파 전락환경을 파악하기 위하여 해수중 음속구조를 측정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황해에 있어서 음속구조 및 음파 전달손실의 측정결과에 관하여 고찰하였고, 음파 전달손실의 계절변동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여름철에 측정된 전달손실은 봄철 및 가을철에 측정된 전달손실보다 크게 나타났고, 가을철에 측정된 전달손실은 봄철에 측정된 전달손실보다 다소 작게 나타났다. 그리고 계절에 의한 전달손실의 차이는 주파수 및 전파거리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다.

협대역 음향신호를 이용한 수중음파의 전파손실 측정 (Propagation Loss Measurement of Underwater Sound Wave using Narrow Band Acoustic Signal)

  • 나영남;심태보;최진혁;장덕홍;김성일;한정우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5-15
    • /
    • 1994
  • 천해에서 수심과 퇴적물 유형의 변화에 따른 전파손실 양상을 규명하기 위해 한국 동남해역에서 음향실험을 실시하였다. 정해진 경로를 따라서 약 5kts의 속도로 음원기를 예인하고 3개 정점의 해저면에 설치된 수신기에서 동시에 신호를 수신하였다. 음파가 등수심선에 평행하게 진행할 때와 수직으로 진행할 때의 전파손실을 비교해 보면 평행하게 진행할 때 전반적으로 손실이 작다. 이러한 경향은 음원-수신기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 수록 두드러진다. 또한 음파가 등수심선에 수직으로 진행할때 상향조건과 하향조건등 진행하는 방향에 따라서도 전파손실의 차이가 발생하며, 전반적으로 하향조건하에서 손실이 작고 거리에 따라서는 10dB 이상 차이가 발생한다. 그리고 해저 표층 퇴적물이 gravelly sand와 sand-silt-clay로 구성된 두 해역에서의 전파손실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발겨하기 어렵다. 한편, 최적 전파 주파수는 대부분 130-255Hz범위에 존재한다.

  • PDF

밀리미터파 대역에서 전파경로손실 예측 모델 (A Study on the Predictive Model of Propagation Path Loss in Millimeter-Wave Band)

  • 김송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E
    • /
    • 제42권2호
    • /
    • pp.23-28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밀리미터파 대역의 주파수를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차량간 통신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 전파경로 분석과 전파경로손실 예측 모델을 제안하였다. 다중경로에 의한 반사파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차량정체가 많은 대도시 지역 편도 2차선의 도로에서 차량과 차량 사이에 통신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가정하였다. 제안모델의 시뮬레이션 결과, 전파직선경로 100[m]를 진행하는 동안 반사파에 의한 전파경로는 직접파에 비해 0.1[m]$\sim$5.1[m]정도 더 길었다. 또한 전파경로 손실을 비교한 결과 벽면에 의한 반사의 경우 -0.8[dB]$\sim$-4.2[dB], 차량에 의한 반사의 경우 -0.8[dB]$\sim$-1[dB] 정도 더 손실이 커짐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 벽면에 의해 발생한 반사파의 경로손실이 인접 차량에 의해 발생한 경로 손실 보다 -3.2[dB] 정도 더 큼을 알 수 있었다.

층류화염전파중의 연소실 벽면으로의 열손실 (Heat Loss to Combustion Chamber Wall During Laminar Flame Propagation)

  • 이상준;한동호;김문헌;이종태;이성열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6권7호
    • /
    • pp.1398-1407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정적연소기를 대상으로 하여 화염전파중의 열손실을 연소실내 의 압력 및 슐리렌 촬영한 화염사진에 의해 구한 발생열로부터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 하고, 연소실 벽면의 순간온도를 직접 측정함으로써 상기방법에 의한 열손실 추정법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그리고 이 열손실과 기연가스가 연소실 벽면에 접하는 열전달 면적과의 관계를 해석하므로서, 추후 열손실을 고려한 연소실 형상 설계에 있어서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초소형 연소기내 화염전파의 수치모사 (Numerical Simulation of Flame Propagation in a Micro Combustor)

  • 최권형;이대훈;권세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7권6호
    • /
    • pp.685-692
    • /
    • 2003
  • A numerical simulation of flame propagation in a micro combustor was carried out. Combustor has a sub -millimeter depth cylindrical internal volume and axisymmetric one-dimensional was used to simplify the geometry. Semi-empirical heat transfer model was used to account for the heat loss to the walls during the flame propagation. A detailed chemical kinetics model of $H_2/Air$ with 10 species and 16 reaction steps was used to calculate the combustion. An operator-splitting PISO scheme that is non-iterative, time-dependent, and implicit was used to solve the system of transport equations. The computation was validated for adiabatic flame propagation and showed good agreement with existing results of adiabatic flame propagation. A full simulation including the heat loss model was carried out and results were compared with measurements made at corresponding test conditions. The heat loss that adds its significance at smaller value of combust or height obviously affected the flame propagation speed as final temperature of the burnt gas inside the combustor. Also, the distribution of gas properties such as temperature and species concentration showed wide variation inside the combustor, which affected the evaluation of total work available of the g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