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moting Cooperation

검색결과 354건 처리시간 0.025초

숲 체험 활동이 유아의 공동체 의식함양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on Promoting Children's Community Spirit)

  • 강영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494-501
    • /
    • 2020
  • 본 연구는 숲 체험 활동이 유아의 공동체 의식 함양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데 목적을 갖고 충남지역 A 어린이집의 40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사전사후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전체적인 연구 결과 숲에서 숲 체험 활동을 한 실험집단과 기존 누리 과정 실외 활동을 한 비실험집단 간 공동체 의식의 하위요인인 친밀감, 정서, 상호 공공의식, 참여의식의 사후검사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연구문제는 모두 채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숲 유치원에서 자연을 활용한 유아들의 인성 교육은 오감이 깨어나는 경험을 통해 유아들의 감성 및 정서적 안정감의 발달을 촉진시키고 또래 간 숲 활동을 통해 자기 인식과 자립심, 신뢰감을 형성하고 긍정적인 태도와 사회성이 발달과 타인에 대한 배려와 존중을 배우고 잠재 능력, 상상력, 창의성을 발달시키는 교육 장소로 훌륭한 대상이 됨을 시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숲 체험 활동이 유아가 공동체를 지향하는 삶을 살아가게 하는데 효과적이므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지속적인 제공이 필요하다는 경험적 근거를 제공하였다는데서 실무적 의의를 갖는다.

The Analysis of Hydropower Development and the Mekong Power Grid on Regional Cooperation : Focus on the Greater Mekong Subregion Program

  • Nayeon Shin;Seungho Lee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245-245
    • /
    • 2023
  • This paper examines the extent to which the Mekong River Basin countries have achieved socioeconomic benefits based on regional cooperation through the Greater Mekong Subregion (GMS) Program, focusing on hydropower development and the Mekong Power Grid.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time period from 2012 to 2022. The benefit sharing approach is employed to evaluate the extent to which hydropower development and the Mekong Power Grid have contributed to the regional energy trade in the GMS program. The GMS program was launched by the Asian Development Bank (ADB) in 1992, and the Chinese provinces of Yunnan and Guangxi, Myanmar, Lao PDR, Thailand, Cambodia, and Vietnam have taken an active part in the program. The goals of the GMS program are to achieve poverty alleviation, economic development, and regional cooperation in various sectors, including energy, tourism, and transportation. The GMS Economic Cooperation Program Strategic Framework 2030 (GMS-2030), in 2021, provides a new framework for prosperou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river basin. In the energy sector, the GMS program has been instrumental in facilitating hydropower development and creating the Mekong Power Grid with the Regional Grid Code (RGC), contributing to economic benefits and promoting regional trade of hydroelectricity. It is argued that the GMS program has enhanced regional cooperation between the riparian countries. Despite such achievements, the GMS program has faced challenges, including the gap of economic development between the riparian countries, socioeconomic and environmental concerns regarding hydropower development between the Upper and Lower Mekong countries, and geopolitical tensions from the US-China rivalry. These challenges should adequately be addressed within the program, which can guarantee the sustainability of the program for the river basin.

  • PDF

남북 전통의학 협력 사업 우선순위 선정 연구 (Study on Priorities of South-North Korea Traditional Medicine Cooperation Project)

  • 김동수;김종현;임수정;이은희;안은지;권오민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76-87
    • /
    • 2023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priorities for candidate projects so that future inter-Korean traditional medicine cooperation can be promoted efficiently and effectively. Methods: This study used the Delphi-AHP method to derive priorities for the inter-Korean traditional medicine cooperation project. First, 33 candidate projects were selected through a data survey. In addition, the priority importance score was calculated through a 2-round mini-Delphi survey of 20 experts. The importance of 33 candidate projects was calculated by three evaluation criteria, and the weights for these three evaluation criteria were derived through the AHP method. Results: As for the weight by item, 'feasibility' was the highest with 0.6749 points, followed by 'social ripple effect' (0.1811) and 'instrumentality' (0.1439).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importance score by reflecting the weight of the evaluation criteria for each project, the South's sole project, "Understanding the Status of North Korea's Korean Medicine," was the top priority, followed by the "Establishment of Strategy for Inter-Korean Traditional Medicine and Cooperation."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experts now believe that it is important to prioritize the highly feasible South Korean independent project in the field of traditional medicine between the two Koreas. This will serve as the basis for promoting cooperative projects in the event of future changes in the inter-Korean situation.

한(韓)·베트남 군사협력 추진전략 : 방산분야를 중심으로 (Strategy for South Korea-Vietnamese Military Cooperation in the field of defense)

  • 이강경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105-112
    • /
    • 2018
  • 한국과 베트남은 1992년 수교 이후 정치, 경제, 문화적으로 폭넓은 교류협력을 이어왔다. 2018년 3월, 문재인 대통령은 신남방정책의 핵심 파트너인 베트남을 공식 방문하여 교역확대와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포괄적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2018년 4월에 열린 한(韓) 베트남 국방장관 회담에서는 해양안보, 방산협력, UN PKO 활동, 유해발굴, 인도적 지원 등 국방 방산 전분야 협력증진을 골자로 하는 '국방협력에 관한 공동비전 성명'을 체결했다. 현재 베트남은 남중국해를 둘러싸고 중국과 도서영유권 분쟁을 겪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 군 현대화와 군비증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해상전력을 강화하기 위해 미국과 러시아, 인도, 프랑스 등과 이념을 초월하여 대외군사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한(韓) 베트남 교류협력은 기존의 경제 문화적 교류를 넘어 군사협력으로 범위를 확대해나갈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교 26주년을 맞은 한(韓) 베트남 관계를 재조명하고 'Next China'로 성장한 베트남과의 군사협력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베트남의 안보환경과 군사전략을 분석하고, 방산분야를 중심으로 한 군사협력 추진전략을 제시하였다.

  • PDF

방문건강관리사업 담당자의 공공부문 사례관리 연계협력 경험: 포커스 그룹 인터뷰 (Experiences of Public Visiting Nurses on the Linkage Cooperation of public case management: Focus Group Interview)

  • 김형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160-169
    • /
    • 2020
  • 이 연구는 공공 행정에서 서비스 전달 조직과 절차를 관리하고 재정을 지원하는 공공부문 사례관리 사업 중 방문건강관리 사업 실무자를 대상으로 타 사례관리 사업과의 연계협력 업무에 대한 경험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광역시와 시군 소재 보건소 방문건강관리사업 담당자 3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자료 수집을 위해 사용한 인터뷰 질문들은 사전에 연구진간 논의를 거쳐 도출한 반구조화 질문지를 활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방문건강관리 업무를 수행하면서 경험한 연계협력의 성공과 실패 요인들을 심층적으로 기술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질적으로 분석되어 3개의 주제, 9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공공부문 사례관리 사업 간 연계협력 업무안내서는 연계협력을 수행하는 데 있어 긍정적 성과요인이었지만, 방문건강관리 전문 인력의 불안정한 고용문제와 통합시스템의 부재는 연계협력의 장애요인이었으며, 성공적인 연계협력을 위해서는 인적 인프라 강화, 기능적 시스템 개선, 조직적 차원의 방안 마련 등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명확한 연계협력 표준 및 절차 수립, 방문간호 전문인력의 처우 개선, 사례관리 통합정보시스템 개발을 제안한다. 또한, 지역 간 편차가 큰 방문건강관리 사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지역을 대상으로 한 추후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기업-정부출연(연) 간 협력과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Industry-Public Research Institutes Cooperation and Firm Performance in Korea)

  • 황경연;성을현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7권3호
    • /
    • pp.147-171
    • /
    • 2018
  • 본 연구는 기업과 정부출연(연)간 산연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산연협력이 기업의 기술적 성과 및 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기존 산학간, 산연간, 산산간 및 산학연간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를 고찰하고, 이를 기초로 산연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산연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선정된 요인은 정부출연(연)의 역량, 기업의 연구개발역량과 조직적 특성 그리고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이다. 한편, 기존 연구에 기초하여 산연협력 영향 요인, 산연협력, 기업의 기술적 성과 및 기업의 경제적 성과간 구조적 관계를 7개의 가설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산연협력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총 116개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가설검정에 사용하였다. 가설검정을 위한 방법으로는 PLS-MGA가 사용되었다. 실증분석 결과에서 정부출연(연)의 역량, 기업의 조직적 특성과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이 산연협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산연협력은 기업의 기술적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의 기술적 성과는 기업의 경제적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업의 연구개발역량이 산연협력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과 정부출연(연)간 산연협력이 기업의 경제적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산연협력과 경제적 성과간의 관계에서 기술적 성과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업과 정부출연(연)간 협력을 활성화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지역사회기반 사회서비스 분야 고용활성화 방안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 (Promoting Employment in Community-based Social Service Sectors: Focusing on Gwangju Metropolitan City, Republic of Korea)

  • 이형하;정성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238-248
    • /
    • 2009
  • 본 연구는 지역사회 차원에서 사회서비스 부문의 주요 직종인 교육 및 보육서비스,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 분야 등에 대한 고용창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사회서비스 부문의 고용창출을 통해 지역사회의 복지수준을 제고하고, 사회 양극화를 해소하며, 여성 등 잠재인력의 경제활동참가를 증진하기 위한 고용창출의 원칙과 인력의 전문성을 확보를 위한 다양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개선방안으로 사회서비스 공급자를 위한 교육훈련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고, 공공과 민간의 유관 부서간의 협력과 조정이 필요하며, 사회적 기업의 성공을 위한 공감대를 바탕으로 모델적인 사회적 기업을 발굴과 홍보가 필요하다.

민간 의료기관에서 보건교육사의 활동 영역과 능력 개발 (The Roles and Professional Competencies of Health Education Specialists in Private Health Care Setting)

  • 김영복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37-48
    • /
    • 2010
  • Objectives: In health care setting, patient education and health promotion services are inexpensive and effective initiatives to change health behavior due to use medical service resources and personnel. This study performed to define the responsibilities and competencies of health education specialist in private health care setting. For our suggestion, we reviewed regulatory, recommendation, and programs related to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in clinics and hospitals. Results and Conclusion: The health promoting hospital and health services in Europe and innovative hospitals of community health promotion in the U.S. were examples of approaches that supply target groups with health promotion services in health care setting. The National Commission for Health Education Credentialing has suggested the specified responsibilities and competencies of health education specialist in health care setting according to their general duty. Considering the recommendation of the NCHEC, our suggestion included: 1) the three kinds of job scope, 2) the major targets, 3) the specified responsibilities and competencies, and 4) the available health promotion programs in clinic and hospital setting. The suggestion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job market for health education specialist and to the cooperation with community health resources in health promotion services and comprehensive health care.

전통문화축제의 내실화방안 연구 (Developing Proposals for Korean Traditional Culture Festivals)

  • 정달영;박기종
    • 한국연극학
    • /
    • 제48호
    • /
    • pp.549-569
    • /
    • 2012
  • Since 1995, the Local autonomy era has opened, local festivals have been increasing throughout the country. Traditional culture festivals are also increasing. Performing traditional culture festivals is effective for maintenance and transmission of traditional culture as well as creation and nurturing of local culture. They are also effective promoting local economy. Depending on realization level of character, place and costume based on historic research, traditional culture festivals are classified as the "Representation event" or the "Reenactment event". But there are two problems. The first is unexacting classification method for festival types made by Central government yearly. The second is unable to meet one of two goals which are protecting traditional culture and stimulating local economy throughout increasing touris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 of classification method for festival types, and to offer two suggestions for ensure successful local festivals. First of all, I suggest advanced classification method for festival types. For more sophisticated collection process of national festival status, local government department should ensure purpose of festivals, and central government department should add 3 steps to existing process. For example professional committee for judgement of festival types should be founded for consulting of local and central government department. The second suggestion is reinforcement of historic research for the Representation of traditional culture event. The representation of traditional culture should focus on protection of tradition, and could be perfect by continuous historic research. The last suggestion is cooperation with local governments each other for the Reenactment of traditional culture event. The Reenactment of traditional culture should focus on promoting local economy by increasing tourists. So local governments who have similar traditional events should cooperate to get preventing loss of resource and overcome weakness of promoting.

비만여성들의 8주간 모션비트 리듬운동 적용에 따른 뇌파반응과 건강증진행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Electroencephalogram Respons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by Applying Eight-Week Motionbeat Exercise to Obese Women)

  • 신혜선;이종민;서수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400-411
    • /
    • 2017
  • 본 연구는 비만여성들의 모션비트 리듬운동의 실효성을 극대화하고 생활체육 현장에 적용을 기대하고자하며 그에 따른 건강증진행위의 향상과 지속적인 운동 참가의 조성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리듬운동 구성은 리권운동을 기본으로 하여 모션비트를 적용한 모션비트 리듬운동 집단 18명, 모션비트를 적용하지 않은 일반비트 리듬운동 집단 18명, 통제 집단 18명으로 나누어 8주간의 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비만여성들의 모션비트 리듬운동에 대한 효과는 다음과 같은 결론으로 요약할 수 있다. 뇌파 반응의 변화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모션비트 리듬운동 집단의 변화에서는 전전두엽 좌측 뇌파(알파파워)에서 스트레스관리에 대한 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일반비트 모션비트 집단의 변화에서는 전전두엽 양측 뇌파에서 자아실현에 대한 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8주간의 모션비트를 적용한 운동을 통하여 전전두엽의 긍정적 변화가 스트레스와 관련한 건강관리행위에 재미와 흥미를 극대화시켜줌으로써 비만여성들을 위한 적절하고 효율적인 생활체육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비만인들의 단순 신체효과를 나타낸 결과에서 벗어나 재미있고 여유로운 운동의 효과를 확보하여 지속적인 운동참가의 조성방안으로 제시될 것이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