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ject Information Portal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5초

농촌형 가정기업의 웹사이트 관리실태와 활성화를 위한 제언 (Web-site Management and Utilization Strategies for Family Farm Businesses)

  • 고선강;진경아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9권1호
    • /
    • pp.131-146
    • /
    • 2005
  • The farming type in Korea is predominantly a small farm managed by family members. This study mainly examines the current usage of the website of family farms as a management tool for small farm business and discusses the strategies for effective utilization of the website. A county that currently employs governmental project of information system was purposely selected. Among all the websites operated by small farm businesses in that county, websites of which purpose is introduction of the business, advertisement, or e-business were included for analysis; it yielded total seven website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wo phases; on-line website analysis and interview with business owners. The websites were analyzed based on four categories; content, interface, design, and site management. With regard to the content of the websites, the lack of connection between domain names and product names was found. Moreover, the problem relevant to site management was shown as low utilization of bulletin boards and delayed upload of new information. However, design and interface were comparatively well presented. Business owners reported that the motivation to initiate the websites was mostly supports from the governmental project for the agricultural information system. The barriers to effective management of websites were found i) business owner's misinterpretation of business website with e-business ii) very limited opportunity for website management education in small farm business, and iii) lack of regional infrastructure for information system.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as followed; i) construction of infrastructure should be preceded to make effective management for websites; ii) education for website management should include small business management strategies as well as computer skills, iii) the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in diverse ways considering subject's characteristics iv) small farm business owners should be informed that their websites could play a role only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s and hand over the practical load for e-business to retailing web sites such as portal shopping mall; and v) wives' participation should be encouraged.

  • PDF

공공건설사업의 원가절감사례 정보서비스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ormation Services Method of Cost Savings Practices in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 옥현;김성진;김태학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년도 제5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4권2호
    • /
    • pp.265-267
    • /
    • 2016
  • 건설사업의 원가절감은 사용자 요구에 부합되는 기능과 품질을 확보하면서 가장 경제적인 방법으로 시설물을 구축하는 것으로 건설환경 변화에 따른 경쟁력 향상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원가관리를 통한 원가절감이 필요하다. 국토교통부 소속 산하기관에서는 공공건설사업의 수행에 따라 설계의 경제성 등 검토, 공정관리 및 사업관리 등을 통해 공사비 절감에 대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현재 설계단계에서 설계VE 결과정보는 공공발주기관 간에 상호 공유하고 있으나, 시공단계에서의 원가절감사례 정보에 대한 공유는 아직까지 부족한 실정이다. 공공건설사업의 수행시 유사 건설사업에 대한 원가절감사례 정보를 참조 활용할 수 있도록 단계별 정보시스템 구축 및 원가절감 사례 정보서비스 방안을 제시하였다. 향후 공공건설사업의 기획, 설계, 시공, 유지관리 등 생애주기별 원가절감사례 정보의 분석 및 서비스를 통해 보다 합리적인 의사결정과 공공건설사업의 투자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PDF

무역절차 간소화를 위한 Single Window 구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ing of Single Window System for Simplification of Trade Procedures)

  • 송선욱
    • 통상정보연구
    • /
    • 제7권4호
    • /
    • pp.157-177
    • /
    • 2005
  • In many countries, a Single Window system for simplifications is establishing in order to reduce works submitted double data and compliance costs. A Single Window is defined as a facility that allows parties involved in trade and transport to lodge standardized information and documents with a single entry point to fulfil all import, export, and transit-related regulatory requirements. A Single window can bring improved level of security, faster clearance and reduced compliance costs. UN/CEFACT released "Recommendation and Guidelines on establishing a Single Window to enhance the efficient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trade and government". Also, WCO has made progress several projects to assist effective establishing a single window, i.e. CDM, UCR, ICT. Korea has being established a single window system, "e-trade platform" connected with trade, clearance, logistics, marketing and payment system. Some suggestions to establish a effective single window system in Korea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necessary to clearly defin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a lead agency in a single window system and form a organic relationship with PGA. Secondly, a single window system has to be progressed by stages, namely, customs clearance portal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first, and later established e-trade platform. Lastly, the Korean government has to take part in CDM project to gain an advantage over other countries.

  • PDF

인터넷 전자상거래 시대에 국제물류산업의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How International Logistics Industry Cope with the Challenge of Internet-based e-Commerce)

  • 고용기
    • 정보학연구
    • /
    • 제3권2호
    • /
    • pp.1-12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무역환경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재편되고 있는 시점에서 국제물류산업이 어떻게 대처를 하여야 하고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 지를 제시하고 그 선진사례를 소개하며 종합적으로 그 대처방안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전자상거래와 관련되는 사안 중 현재 관심의 초점이 모아지고 있는 볼레로 프로젝트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문제점과 해결책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한편 전세계적으로 국제물류산업에 관련되는 기업이나 유관기관들이 개혁적인 시대환경에 대응하기 위해서 어떠한 기술 투자를 하고 있는지 또는 그 문제점과 해결책에 대해서도 검토하고 논의하였다.

  • PDF

건설공사 사후평가시스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Construction Post-evaluation System in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 옥현;김진욱;양성훈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5년도 제5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3권2호
    • /
    • pp.305-308
    • /
    • 2015
  • 건설공사 사후평가는 공공건설사업 수행성과를 평가하고 차후 유사사업 추진 시 이를 활용하여 공공건설사업 효율화에 기여하기 위한 제도이다. 국토교통부에서는 발주청별로 실시하고 있는 건설공사 사후평가의 결과정보를 체계적으로 통합 관리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도록 건설공사 사후평가 시행지침을 기초로 한 건설공사 사후평가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 중에 있다. 하지만 사후평가 시행지침의 개정에 따라 입력양식 및 관리항목이 변경되고, 축적된 사후평가 결과정보의 분석기능 등의 부족으로 유사 건설사업 수행시 활용 체계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공사 사후평가 시행지침의 개정과 분석 및 통계기능 강화를 위해 따라 건설공사 사후평가시스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사후평가시스템의 활용도를 제고하고 유사 공공건설사업 수행시 시행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으리라 예상된다.

  • PDF

국가기록원 기록정보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sers' Perception of Reference Services in National Archives of Korea)

  • 김지현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67-187
    • /
    • 2012
  • 본 연구는 국가기록원의 분원인 서울기록정보센터의 방문이용자들을 대상으로 기록정보서비스에 대한 그들의 인식과 경험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북미에서 수행된 아카이브 매트릭스 프로젝트(Archival Metrics Project)의 이용자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설문 도구로 활용하였으며, 이용자와 직원에 대한 면담도 실시하였다. 47명의 설문 데이터와 이용자 1명 및 직원 2명에 대한 면담데이터 분석 결과, 이용자의 방문목적이 조상의 토지소유 확인을 위한 증거자료 수집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용되는 기록의 유형도 토지 임야관련 자료에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직원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은 긍정적인 편이었으며 직원이 기꺼이 도움을 제공하고 친절하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그러나 기록의 소장여부 에 있어 직원이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의견이 있었고 직원 역시 기록 부존재에 대한 사실 확인이 어렵다는 것을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나라기록포털의 유용성과 이용의 용이성에 대한 이용자 평가는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용자들은 나라기록포털에서의 검색이 매우 불편하다는 의견을 보였다. 이용자들은 국가기록원 서비스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만족한다고 응답하였으나 몇몇 이용자들은 보다 신속한 업무 처리와 비공개자료의 기준을 명확히 할 것을 제안하였다.

e-Plant 포털 시스템 정보화 환경 및 SWOT 분석 (A Study on the Information Environment and SWOT Analysis of e-Plant Portal System)

  • 안장원;지상복;전용배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6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539-542
    • /
    • 2006
  • 플랜트 산업의 수주실적이 늘어남에 따라 플랜트 프로젝트 관리 전반의 업무능력 향상이 요구되고 있고 이를 위해 정보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요구되는 정보화 기술을 위해서는 국내의 플랜트 관련 회사들의 부분적 또는 단위시스템별로 이루어진 정보화 현황들을 종합적인 시스템으로 개발함으로써 정보화기술에 대한 표준적인 방향제시 및 Tool과 노하우를 제공하는 체계적인 플랜트 종합정보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플랜트 산업의 추세를 반영하고 미래의 IT 기술 동향, 국내외 정보화 환경, 정책 동향 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플랜트 정보 시스템의 SWOT 분석을 실시하여 대응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정보화 전략 및 목표를 설정하는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SWOT 분석에 따른 대응방안으로 (1) 플랜트 산업 인력을 배출할 수 있는 교육 콘텐츠의 개발, (2) 플랜트 관련 정보들에 대해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통신 수단의 활용, (3) 다양하고 유용한 국내외 플랜트 지식을 제공하는 지식 활용 콘텐츠의 제공 등을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 PDF

도시재생사업의 메가프로젝트 건설관리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the Program Management System for Mega Project in Urban Regeneration)

  • 현창택;김주형;박일수;유정호;손보식;홍태훈;서용칠;이상범;김형관;김창완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76-183
    • /
    • 2008
  • 최근 낙후된 도심 재개발을 목적으로 신도시 및 신시가지 위주의 도시재생을 위한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도시재생 프로젝트들은 매우 다양한 기능을 요구하므로, 현존하는 단일 프로젝트 단계의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을 적용하기에는 한계점을 갖는다. 특히, 도심이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다양한 도시기반시설을 입체화하고 다양한 용도를 복합화하는 복잡한 배경과 함께, 참여 주체들 간의 복잡한 이해관계, 민간 및 공공 개발영역의 혼재, 운영유지 및 자산관리의 어려움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의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1) 수평, 수직적인 공간내 다양한 시설이 입체적으로 배치되는 메가프로젝트에 적합한 새로운 프로그램 관리 시스템 Prototype Ver 1.0의 개발, 2)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되는 다양한 프로젝트의 종합적인 관리가 가능한 프로그램 수준의 관리 체계 Prototype Ver 1.0의 수립. 효율적인 연구수행을 위해 지능형 종합 사업관리시스템 개발, 생애주기단계별 업무 프로세스 최적화 및 표준화 개발, 사업 전(全)단계를 고려한 종합사업비 및 공정관리 기술개발, 종합사업관리 효율화 및 최적화 기술개발 등의 세부 과제로 이루어져 있으며, 메가프로젝트 생애주기의 최적화, 다양한 위험요소에 대한 대응 및 예측방안, 비용/공정/프로세스의 관리 및 예측방안, 웹기반의 새로운 iPMIS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한약의 장내미생물 조절 효과에 대한 국내외 실험 연구 고찰 (A Review of the Experimental Studies on the Modulatory Effect Herbal Medicine on Gut Microbiota)

  • 안혜리;송지현;이혜림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43-58
    • /
    • 2020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various herbal medicin on gut microbiota. Methods Electronic searches were performed using NDSL, OASIS, KISS, KMBASE, K-portal, Pub med, Cochrane, CNKI. Results we analyzed 25 experimental studies on the effect of herbal medicine on microbiota. Diabetes, obesity, inflammatory bowel disease have been frequently studied in micobiota-related disease. The most common experimental animal model used in the studies C57BL/7 mouse. Among the studies wherein single herbal medication were used, Gynostemma pentaphyllum was most commonly studies, and different herbal medications were used in the studies wherein complex herbal medications were studied. Next generation sequencing was performed using Illumina MiSeq system, and gut microbio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QIIME and Ribosomal Database Project (RDP). In most studies, the herbal medicines exerted regulatory effects on gut microbiota and improved the symptoms of the experimental groups. Conclusions This review provides basic data on the correlation between korean medicine and gut microbiota, as well as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medicine.

공공건설사업에서의 건설공사 사후평가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the Construction Post-evaluation System in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 옥현;양성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7364-7371
    • /
    • 2014
  • 건설공사 사후평가는 공공건설사업 수행성과를 평가하고 차후 유사사업 추진 시 이를 활용하여 공공건설사업 효율화에 기여하기 위한 제도이다. 건설공사를 계획하는 과정과 공사완료 후의 공사비, 공사기간, 수요, 효과 등에 대한 예측치와 실제치를 종합적으로 분석, 평가하여 시행의 효율성을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방만한 사업추진을 방지하고, 유사 건설공사의 품질 및 효율성 향상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건설공사 사후평가 자료를 유사 건설사업에 참조 및 활용하기 위해서는 건설공사 사후평가 결과정보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발주청별로 실시하고 있는 건설공사 사후평가의 결과정보를 체계적으로 통합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국토교통부에서 고시한 건설공사 사후평가 시행지침을 기초로 하여 건설공사 사후평가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공공 건설사업의 수행 시 유사 건설사업의 수요 증감, B/C 비율 등 결과정보의 참조 활용을 통해 품질 향상 및 효율적인 사업 추진이 가능한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향후 사후평가 결과정보의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종합적인 분석 및 평가 등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