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gram

검색결과 61,972건 처리시간 0.079초

레이더강우와 Vflo모형을 이용한 남강댐유역 홍수유출해석 (Flood Runoff Analysis using Radar Rainfall and Vflo Model for Namgang Dam Watershed)

  • 박진혁;강부식;이근상;이을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3-21
    • /
    • 2007
  • 최근 기상이변에 따른 국지성 돌발 홍수의 빈번한 발생으로 인해 레이더 등을 이용한 초단기 강수예보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시공간 분포를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는 레이더 강우시계열자료와 GIS기반의 분포형모형을 연계하여 국내 댐유역에 적용해 봄으로써, 분포형모형의 홍수유출시 실무에서의 적용가능성을 검증해 본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물리적기반의 분포형모형으로는 미국 오클라호마 대학에서 개발한 Vflo모형을 이용하였으며, 낙동강권역의 남강댐유역($2,293km^2$)을 시험유역으로 적용하였다. 입력강우로는 진도레이더로 부터 레이더강우 전처리프로그램인 K-RainVieux를 이용하여 모형의 격자해상도에 맞는 분포형 강우를 생성하였다. 또한, GIS수문매개변수를 DEM, 토지피복도, 토양도 등의 기본 GIS자료들로 부터 추출, 물리적기반의 분포형모형(Vflo)의 입력인자로 사용하여 모형의 초기설정을 향상시켰다. 본 연구의 성과는 향후 돌발홍수에 대응한 실시간 단기 강우유출예측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기반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거대자기저항 스핀밸브 소자를 이용한 음용수 미네랄 Mg 용해센서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Mineral Mg Dissolving Sensor in Edible Water using GMR-SV Device)

  • 이주희;김다운;김민지;박광서;강준호;이상석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174-179
    • /
    • 2008
  • 자장감응도가 약 0.8 %/Oe인 거대자기저항-스핀밸브(GMR-SV) 소자를 이용하여 두께 200 nm의 Mg-박막과 두께 $50\;{\mu}m$의 Mg- 포일이 물속에서 녹는 Mg 용해도 측정 센서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Mg-박막과 Mg-포일이 각각 용해할 때, 증가하는 저항으로 인한 전류 감소가 솔레노이드 내부의 자기장의 변화를 일으켜 GMR-SV 센서로 감지되었다. Mg이 음용수와 반응하여 발생하는 방울수와 산화환원전위(ORP)의 시간 변화율을 측정하여 일반 수돗물과 증류수의 것과 비교하였다. 미네랄 Mg함량이 다른 3가지 물에서 Mg 용해속도가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Mg-박막 일 경우, 출력신호의 자기저항 값이 최소 $43.6\;{\Omega}$로 떨어졌으며 자기저항의 급격한 변화가 5분 이내에 나타났고, 그 변화율은 ${\Delta}R/{\Delta}t=0.18\;{\Omega}/min$ 이었다. Mg-포일 일 경우, 20분 이내에 $0.3\;{\Omega}/min$이었다. 음용수에 담긴 Mg-박막이나 Mg-포일의 용해시간과 용해속도를 측정하여 알칼리 환원수로 변환을 감지하는 미네랄 Mg 용해센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중소해양도시 크루즈관광 여건 및 활성화 방안: 여수시를 중심으로 (The Current State and Promotional Strategies for Ocean Cruise Tourism in Small and Medium-sized Ocean Cities, - Focused on Yeosu -)

  • 최창호;임영태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3-136
    • /
    • 2013
  • 최근 우리나라에 기항하는 국제해양크루즈가 급증하면서 크루즈관광 활성화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크루즈관광 정책과 시설확충 계획은 부산, 인천, 제주 등 크루즈 기항실적이 많은 도시의 거점항 위주로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연근해를 대표하는 중소해양도시의 지역항도 크루즈관광 매력을 갖추고 크루즈 유치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므로 이들 도시의 크루즈관광 활성화를 위한 지원도 필요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소해양도시의 크루즈관광 여건을 살펴보고 중소해양도시의 크루즈관광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항만 서비스, 교통 접근성과 도시 편의성, 관광활동 지원 분야에 대한 개선방안과 이를 위한 공공과 민간 등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사례연구 지역으로 전라남도 여수시를 선정하여 중소해양도시의 여건과 개선방안, 그리고 거점항과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크루즈 기항항이 되기 위해서는 거점항과 지역항의 차이가 없이 크루즈관광과 관련된 전 분야에서 많은 개선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중소해양도시에 속한 지역항은 모항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기항항으로 선정되는데 초점을 둔 정책과 관광 프로그램 개발이 추진되어야 한다.

Growth differentiation factor 9 and cumulus cell supplementation in in vitro maturation culture media enhances the viability of human blastocysts

  • Chatroudi, Mahla Honari;Khalili, Mohammad Ali;Ashourzadeh, Sareh;Anbari, Fatemeh;Shahedi, Abbas;Safari, Somayyeh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46권4호
    • /
    • pp.166-172
    • /
    • 2019
  • Objective: In vitro maturation (IVM) of immature oocytes can be useful for some infertile patients. In IVM programs, the rates of embryo formation and pregnancy are low.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recognize the main factors involved in regulating oocyte maturation in vitr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owth differentiation factor 9 (GDF9) and cumulus cell (CC) supplementation in IVM medium on the rates of embryo formation and viability of human blastocysts. Methods: A total of 80 germinal vesicle oocytes from stimulated cycles underwent an IVM program. The oocyte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where group I consisted of IVM media only and served as the control, group II consisted of IVM+CCs, group III consisted of IVM+GDF9 (200 ng/mL), and group IV consisted of IVM+CCs+GDF9 (200 ng/mL).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was performed on the IVM oocytes, and the cleavage embryos that were generated were vitrified. Following thawing, the embryos were cultured for 3 additional days, and the viability rates of the developed blastocysts were determined. Results: The maturation rate of the oocyte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cross the four groups. The fertilization rate in group II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76.5% vs. 46.2%). Embryo formation was significantly more frequent in all experimental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while blastocyst formatio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hree experimental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The mean viability rates in groups II, III, and IV were 58.16%, 55.91%, and 55.95%, respectively, versus 37.78% in the control group (p< 0.05). Conclusion: Supplementation of IVM culture media with GDF9 and CCs enhanced the fertilization, embryo formation, and viability rates of blastocysts generated from vitrified cleavage embryos.

죽음준비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Analysis of the trends of research education on death)

  • 김신향;변성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469-475
    • /
    • 2014
  • 본 연구는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논문의 죽음준비교육 124편 연구물에 대한 연구실태와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경향은 1990년대에는 8편에 불과하였으며, 2005-2009년에 들어와 50편(40.3%)으로 매우 높은 연구 성장을 보였다. 출처에서는 석사 학위논문이 59편(47.6%)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둘째, 연구 전공별 동향은 신학에서 가장 선두적으로 연구되었으며 사회복지학에서 29편(28.4%)으로 가장 많이 연구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별은 노인이 35편(40.5%)으로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넷째, 연구방법별은 문헌연구가 61편(49.2%)로 가장 많았다. 다섯째, 죽음준비교육 중재프로그램은 실험집단-통제집단 사전 사후 설계로 총 회기는 5-8회기. 주회기는 주1회, 1회기 활동시간은 100-120분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죽음준비교육 중재프로그램의 효과변인은 죽음불안이 23편(31.5%)으로 가장 많은 효과 검증이 되었다.

건강검진 수검자의 의료기관내 검진센터 선택요인과 만족도 (Determination Factors and Satisfaction of Health Screening Center by Health Examination at Hospital)

  • 임복희;최희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457-467
    • /
    • 2014
  • 본 연구는 의료기관 내 검진센터의 선택요인, 만족도, 재이용의사를 파악하여 이용자의 선호도를 이해하고 검진센터 이용자의 지속적인 검진센터 유도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2013년 2월 22일부터 2013년 4월 5일 까지 부산시 의료기관 내 검진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10개소를 선정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검진센터를 방문한 수검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892부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빈도, 비율, 평균의 차이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구대상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여성, 50대 연령, 대졸 이상의 학력, 사무 전문직, 월평균 소득 200만원 미만, 직장인 일반 신검자, 신검센터의 방문이 처음이 아닌 사람, 질병이 없고,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에서 높은 분포를 보였다. 검진센터 선택요인은 접근성, 직장과의 제휴, 주변권유 순의 결과를 보였다. 검진센터에 대한 만족도는 접근성(3.59), 검진내용(3.59), 브랜드인지도(3.58)시설 환경(3.50), 비용경제성(3.40) 순의 결과를 보였다. 질병이 없는 40~50대 연령층에서 검진센터를 재방문 할 의향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이들 집단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그리고 검진센터의 검진 종류 및 검진 항목을 다양화하여 이용자의 특성에 적합한 건강 검진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8주간 걷기운동과 아사이베리 섭취가 중년여성의 염증지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8 Weeks Walking Exercise and Acaiberry Ingestion on Inflammatory Markers in Middle age Women)

  • 남상남;강희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643-650
    • /
    • 2014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8주간 걷기운동과 아사이베리 섭취를 통하여 심혈관 질환의 위험요인인 염증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40-50대의 경기도 A시에 거주하는 심혈관 질환 및 대사성 질환이 없고 규칙적으로 운동에 참여한 경험이 없는 신체적으로 건강한 사람을 대상으로 아사이베리 섭취그룹(AB), 걷기운동과 아사이베리 섭취그룹(WE+AB), 걷기운동그룹(WE)으로 구분하여 걷기운동은 8주, 주 3회, 일일 60분간 실시하고 아사이베리 섭취는 8주, 매일 아침, 저녁 식사 전 5g을 100㎖의 물과 함께 희석시켜 섭취하고 8주 전 후 심혈관 질환의 위험요소인 염증지표를 살펴보였다. 그 결과 아사이베리 섭취그룹, 걷기운동과 아사이베리 섭취그룹, 걷기운동그룹의 염증지표 변인인 WBC(white blood cell), Albumin, ESR(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CRP(C-reactive protein)에서 긍정적인 향상을 보였으며 Albumin에서만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8주간 걷기운동과 아사이베리 섭취를 통하여 심혈관질환의 위험요소인 염증지표를 개선하기에는 다소 기간이 부족하다고 사료되며 향후 염증지표의 개선의 효과를 위해서는 8주 이상의 장기간 운동과 아사이베리 섭취에 대한 추후 연구와 운동방법, 강도 및 섭취량 등의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비만과 치아우식증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Dental Caries)

  • 이선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633-641
    • /
    • 2014
  • 본 연구는 비만과 치아우식증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대한민국 전국단위의 건강 및 영양조사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4기 3차년도(2009)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19세 이상 성인 중 비만과 치아우식증 관련 변수의 결측 대상자를 제외하여 최종 7,393명이다. 자료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유의수준 0.05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저체중(${\beta}$ = 0.21, p=.03)은 정상에 비해 DT 개수가 높게 나타났고, 과체중(${\beta}$ = -0.12, p=.02)은 정상에 비해 DT 개수가 낮게 나타났다. 2. 비만(OR = 0.69, 95% CI: 0.57, 0.84)은 정상에 비해 DMFT를 가질 가능성이 낮게 나타났다. 3. 저체중(${\beta}$ = 1.14, p<.001)은 정상에 비해 DMFT 개수가 높게 나타났고, 과체중(${\beta}$ = -0.39, p = .02)과 비만(${\beta}$ = -0.70, p<.0001)은 정상에 비해 DMFT 개수가 낮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비만(체질량지수)과 치아우식증(DT, DMFT)은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혼란변수를 보정한 후에도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지각된 간호사의 의사소통 스타일이 입원 환아 어머니의 스트레스 및 대처노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rceived Nurse's Communication Style on Admitted Children Mother's Stress and Coping)

  • 박인숙;오재우;김양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6호
    • /
    • pp.365-373
    • /
    • 2014
  • 간호사의 의사소통 스타일이 입원 환아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대처노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알아봄으로써 간호서비스의 개선 및 입원 환아 어머니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대처노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상관성 조사연구로서, 자료 수집은 2013년 9월부터 12월까지 시행하였으며, D시에 소재한 E병원의 소아과 병동에 입원한 아동의 어머니 19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피어슨 상관계수, 회귀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지각된 간호사의 의사소통 스타일이 입원 환아 어머니의 스트레스 및 대처노력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간호사의 비권위적 스타일이 스트레스에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내었으며, 이들 변인의 설명력은 30.1%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입원 환아 어머니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대처노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간호사들은 권위적인 태도를 지양하고, 친화적인 태도의 의사소통 기술과 정보 제공적 태도의 의사소통 기술을 사용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런 의사소통 기술들은 체계적인 의사소통 증진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강화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심뇌혈관 환자의 정기적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regular medical care utilization of cardio-cerebrovascular patients)

  • 서영숙;박종호;임지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7호
    • /
    • pp.327-336
    • /
    • 2014
  • 본 연구는 심뇌혈관 환자의 정기적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2010년 한국의료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설문에 응답한 응답자 중 심뇌혈관질환자 770명을 대상자로 하였다. 분석대상자의 의료이용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심뇌혈관 환자의 정기적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심뇌혈관 환자의 정기적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교육수준, 가구소득수준, 동반상병지수(CCI), 고위험음주 유무, 비만 유무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60-69세, 교육수준별로는 고등학교 이상, 가구소득수준별로는 중위수 이상, 동반상병지수(CCI)가 높을수록, 고위험 음주 무, 비만인 환자가 정기적으로 의료를 이용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정기적 의료이용이 낮은 중위수 미만 환자와 고위험 음주 유인 환자 등 문제의 원인과 대상에 맞는 구체적인 관리방안을 모색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들은 향후 보건의료정책 수립에 기초 자료로 의미 있게 활용되어질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