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Current State and Promotional Strategies for Ocean Cruise Tourism in Small and Medium-sized Ocean Cities, - Focused on Yeosu -  

Choi, Changho (전남대학교 경상학부)
Lim, Youngtae (국토연구원 국토인프라연구본부)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v.29, no.2, 2013 , pp. 113-13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recent rapid increase of international ocean cruises calling at Korea has prompted the interests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n promotion of cruise ship tour. Korea's cruise tour policies and facility improvement plans tend to be focused only on main ports of cities with high calls at cruise port, such as Busan, Incheon, and Jeju. However, small and medium-sized ocean cities which represent the coastal areas are also seeking to activate cruise ship tour and attract investment, and therefore they merit governmental support as well. This study looks at the current conditions of cruise tourism in small and medium-sized ocean cities and searches for the means to activate cruise tours. It suggests improvement policies for port services, transport accessibility, urban facilities and tour activity support, as well as expected roles of public and private sector. As a case study of Yeosu in Jeollanam-do, it analyzes the present state and discusses possible future activation programs, comparing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with cities with main ports. In order to be a port of call, steady exertions for improvement are required in all areas regarding cruise tourism whether it's main or local. Especially, since local ports in small and medium-sized ocean cities are relatively unlikely to be developed into home ports, policies and tourism programs should be established to support them in being chosen as ports of call.
Keywords
International Ocean Cruise; Small and Medium-sized Ocean Cities; Cruise Ship Tour; Activate Program; Yeosu-c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국토해양부, 제3차 전국항만기본계획(2011-2020), 2011.
2 강숙영, "제주지역 외래관광객 유치 증대 전략에 관 연구-크루즈관광을 중심으로-", 관광경영연구, 제45권(단일호), 2010.
3 강해상, "부산의 크루즈산업 현황과 활성화전략", 지역과사회, 통권 제60호, 2009, 128-133.
4 곽대영, "외래 크루즈선 승객의 기항지 만족도-부산, 인천, 제주항 입항 크루즈선 승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10호, 2009, 389-397.
5 김경희, "해양크루즈 관광산업 진흥에 관한 연구-인천항.부산항을 중심으로", 인천국제관광 학술대회자료집, 2007, 41-57.
6 김경희, "한국 크루즈산업의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제17집 제1호, 2008, 200-202.
7 김병일.김홍섭, "크루즈관광에서 기존-잠재 고객간 행동의도 결정요인 차이에 관한 연구-인천지역을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8권 4호, 2012, 39-57.
8 김현지, "방문전후 이미지 변화가 관광만족, 재방문의도,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방문 일본인 크루즈이용 관광객을 중심으로", 호텔경영학연구, 제21권 4호, 2012, 284-301.
9 김홍섭, "크루즈산업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인천항의 경우",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4권 제4호, 2008, 408-440.
10 문화관광부, 크루즈산업 육성을 위한 진흥계획, 2006.
11 문화관광부.해양수산부, 해양관광 활성화를 위한 업무 협약, 2005.
12 문화관광부․해양수산부, 해양크루즈 관광산업 활성화 방안, 2007.
13 문화체육관광부, 제3차 관광진흥5개년계획(2009-2013), 2009.
14 문화체육관광부, 2010 크루즈관광 활성화 방안, 2010.
15 문화체육관광부, 관광레저산업 육성 방안, 2010.
16 박영기, "크루즈관광 상품속성이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일본방문 한국인 관광객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제25집 제1호, 2010, 439-459.
17 부산광역시, 부산항 크루즈 활성화방안, 2009.
18 심기섭, 제주외항 크루즈터미널 타당성조사, 해양수산개발원, 2008.
19 이종훈, 부산항 크루즈 활성화방안, 해양수산개발원, 2009.
20 이덕순, "크루즈 관광개발에 관한 사례연구-여수.코베간 크루즈관광객의 시장특성을 중심으로", 제58차 경기국제관광학술대회 자료집, 2005, 323-332.
21 이봉희, 강원도 크루즈관광 활성화 방안, 2009.
22 이윤정, "동북아 크루즈시장의 성장과 우리의 과제", 해양국토 21, 59-83, 2010.
23 이행철.양수현, "제주외항 크루즈터미널 건립방향 및 제주의 크루즈관광산업 활성화방안", 대한건축학회지, 제14권 제3호, 2012, 1-10.
24 제주특별자치도, 국제크루즈 유치확대 시장조사 및 전략수립, 2009.
25 장준호.허영범.정익준, "한국 크루즈관광의 현황과 미래전략",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7권 제4호, 2012, 109-127.
26 정승훈, 제주지역 크루즈관광 실태 및 활성화방안, 제주발전연구원 기본연구보고서, 2009.
27 정승훈.양성수.박승영, "크루즈관광의 기항지 관광활동에 관한 연구: 제주지역 중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관광경영연구, 제14권 제3호, 2010, 183-203.
28 조미혜.이봉희, "강원도 크루즈/페리 기항지의 관광지 역할", 관광학연구, 제34권 제2호, 2010, 77-100.
29 최도석, "부산항 크루즈 관광산업의 현실과 과제", 해양국토21, 제7권, 2010, 124-158.
30 최용훈, "크루즈 관광산업 활성화 방안 연구", 여행학연구, 제29호, 2008, 107-126.
31 최창호.김형태.진장원, "해양크루즈 관광수요 예측방법의 개선방향 연구" 교통연구, 제 15권 제2호, 2008, 85-100.
32 최창호, "2012 여수세계박람회 준비의 실효성 평가: 교통대책을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9권 제1호, 2013, 99-122.
33 하명신.박경희, "동북아 크루즈산업의 현황과 발전방안",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3집 제3호, 2007, 127-148.
34 하인수, "국내크루즈산업 장애요인", 관광연구저널, 제19집 제3호, 2005, 497-508.
35 한국관광공사, 외래관광객 유치증진을 위한 크루즈전략 보고서, 2006.
36 한국관광공사, 2010년 외래크루즈 관광객 실태조사, 2010.
37 한국관광공사(a), 크루즈 통계의 정형화․표준화 방안 연구, 2012.
38 황진회, "우리나라 해양크루즈산업 육성방안 연구: 인천지역을 중심으로", 해양수산, 통권 291호, 2008, 23-48.
39 한국관광공사(b), 2012년 외래크루즈 관광객 실태조사, 2012.
40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크루즈산업 육성을 위한 관광진흥계획, 문화체육관광부, 2006.
41 황진회.홍장원.김은수, 크루즈 관광산업 발전기반 조성방안,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6.
42 황진회, "세계 크루즈 산업 동향과 발전과제", 한국해운물류학회, 제53회 정기학술대회 발표자료, 2012.
43 해양수산부, 제2차 전국항만기본계획 수정계획(2006-2011), 2006.
44 국민일보 홈페이지(www.kukinews.com)
45 해양수산부, 2013년 업무계획 보고, 2013.
46 Peisley, T., The Future of Cruise Boom or Bust? A Worldwide Analysis to 2015, Seatrade Communication Ltd., 109-210, 2006.
47 경인일보 홈페이지(www.kyeongin.com)
48 제주일보 홈페이지(www.jejunews.com)
49 중앙일보 홈페이지(www.join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