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전문성 및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와 행복감이 교사전문성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 예비유아교사 26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처리는 SPSS 2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earson의 상관계수와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전문성 및 교사효능감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행복감 전체와 하위 요인인 외적행복, 내적행복, 자기조절행복과 교사전문성 및 교사효능감 간에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이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행복감 전체와 하위요인인 외적 행복감, 내적 행복감, 자기조절 행복감 모두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다음으로 예비유아교사의 행복감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행복감 전체와 하위요인인 외적 행복감, 내적 행복감, 자기조절 행복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는 학교생활동안 예비유아교사들의 행복감을 증진하고 유아교사 양성기관의 교육 내용 및 과정에 긍정적인 측면을 강화하여 교사교육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제10권2호
/
pp.71-90
/
2020
Recently, as the pandemic COVID-19 has been spread worldwide, international research cooperation has come to the fore to overcome the crisis and develop treatments. Currently, in Korea, with the support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the International Research Cooperation Information Center operates an online service system for international research cooperation as a venue for sharing results among international research cooperation researchers and invigorating such research. However, since Korea's performance in international research cooperation is still poor, actively pursuing measures to improve professionalism and diversity based on international cooperation is deemed necessary. Therefore, in this study, factors influenc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international research cooperation online service systems were identified, and measures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international research cooperation online service were propos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Design of the system quality factors, accuracy and consistency of the information quality factors, and professionalism of the service quality factors were verifi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atisfaction with international research cooperation online service systems. Accordingly, further strengthening the aspects of design, accuracy, consistency, and professionalism was proposed as a way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international research cooperation online service systems.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건축설계디자인관련 실무 종사자들의 직업 현황과 직업의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국내 건축설계디자인 관련회사에 근무하는 271명의 실무디자이너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직업윤리와 연구가 가장 중요한 직업구성요건이었으며, 교육인증제, 대학원교육, 자격증에 대하여 부정적인 인식도를 나타내었다. 급여, 승진, 개인능력을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은 경력이었으며, 회사의 직업구성요건에 대한 지원과 권장은 업무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교육프로그램에 집중되어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자아성취와 적성이 직업선택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으며, 원만한 직장생활을 위한 덕목으로 팀워크와 업무수행 능력이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개인의 기술이나 지적소유권에 대한 의식이 매우 높았으며, 전문 직업성과 직업에 대한 자부심이 강한 반면, 직업의 사회적 지위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평가되었다.
Teacher quality is a key factor that determines quality of education. Being aware of this, the Korean government and teachers have been striving to improve teachers' professionalism. Research about the impacts of efforts to enhance teacher professionalism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course satisfaction, however, is extremely limited. This study sought to adv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by analyzing what teacher characteristics impact students'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To this end, the study drew on the middle and high school data from 3rd to 6th year survey of the 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were used as the main approach. Latent profile analysis, a kind of mixture modeling analysis, were used as needed. This study found that teachers' participation in instruction enhancement activity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impact students' attitude toward mathematics lessons and their perception on class atmosphere, and ultimately impact their academic achievement as well as their overall satisfaction in the course. In addition, teachers' use of EBS textbooks and videos impact 3rd grade high schoolers' academic achieve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ffort to improve teacher professionalism positively impact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course satisfaction, 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year grade.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education policy makers and teacher educators.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nsumer's satisfaction with the attractiveness, reliability, and professionalism that are characteristics of social influencers, an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influencer characteristics on consumers' continuous use intention through satisfaction. Design/methodology/approach - A total of 293 questionnaires on independent samples were used for this stud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26.0 and AMOS 24.0 program an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performed. Findings - The findings demonstrated the followings: First, the attractiveness, reliability and professionalism of influencer ha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Second, the attractiveness and reliability of influencer had a positive effect on continuous use intention. However, professionalism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Third, user satisfaction with social media (channel of influ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continuous use intention.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In doing so, this study was able to provid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key characteristics of influencers and their roles, and contributed to ongoing research by providing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본 연구는 도시, 농촌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암 검진 수검자들을 대상으로 원하는 암 검진 서비스와 과정, 환경, 결과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암 검진 수검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빈도분석, 교차분석, t-test, ANOVA,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도시지역 암 검진 수검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검진예약절차, 의료진전문성, 검진통보내용, 검진결과설명, 검진통보날짜, 검진예약기간이, 농촌지역은 검진통보내용, 총 검진시간, 검진결과설명, 의료진전문성, 검진예약기간, 검진과정설명이 주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도시 농촌별로 암 검진 수검 시 수검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에는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검진 절차와 서비스에 대한 요구파악은 지속적으로 실행되어야 하며, 도시 농촌지역간의 형평성을 고려한 차별화 전략과 정책수립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fashion accessories on how men of different ages are perceived, as well as how the social values of the perceiver affect the image evaluation proces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men's accessories were limited to glasses, ties, and hats. A quasi-experiment was conducted in which 358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examined two men, one in his 30s and the other in his 60s. The social value included materialism and hedonism with higher and lower group. Factor analysis revealed three main factors with regard to men's image based on age and accessories: professionalism, morality, and preference. The findings indicated that wearing accessories can affect how men are perceived, and the perceivers' social values are at play throughout the process. Glasses enhanced a professional image in men, while ties amplified professionalism and morality. Morality and preference for the older man were heightened when he wore a fedora and a hunting cap. Taking social values into account, perceivers with a higher level of materialism associated a man with a navy blue tie more strongly with professionalism. Perceivers who possessed more hedonistic traits preferred a man wearing a cap. The subjects considered the man in his 60s as having a higher level of professionalism when he wore casual hats such as a cap or a cloch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ocial values such as materialism and hedonism play a part in how people perceive men wearing accessories.
본 연구는 간호학과 4학년을 대상으로 돌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G도 J대학 간호학과 173명을 자료수집 하였다. IBM SPSS WIN/25.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돌봄효능감은 임상실습 교육환경(r=.42, p<.001), 현장실습적응(r=.53, p<.001), 간호전문직관(r=.42, p<.001)과 상관관계, 임상실습관련 무력감(r=-46, p<.001)과 역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돌봄효능감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현장실습적응(β=.330, p<.001), 그 다음으로, 간호전문직관(β=.188, p=.005), 임상실습 교육환경(β=.176, p=.015), 내성적(β=-.146, p=.018), 외향적(β=.134, p=.035) 순이었다. 설명력은 41.8%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돌봄효능감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간호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돌봄효능감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행복지수, 전문직관,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비교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2012년 7월1일부터 7월20일까지 부산,경남에 소재한 200병상 이상 병원급 의료기관 8곳을 임의 표출하여 총 700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수집하였으며 최종 677부를 분석하였다. 간호사의 행복지수, 전문직관, 이직의도의 정도와 차이를 파악하였고, 변수간의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이직의도에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사의 행복지수와 관련된 항목의 평균은 3.03(5점척도), 전문직관의 평균평점은 3.09로 중간정도였으나 이직의도는 평균평점 3.35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연구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전문직관과 이직의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p<0.05), 이직의도는 행복지수와 전문직관과의 유의한 음의 관계를 보였다. 셋째, 이직의도에 가장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전문직관과 행복지수, 종합병원, 평균급여 201-250만원에서 유의한 수준을 보였다(p<0.05).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행복지수와 전문직관이 이직의도에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난 만큼 좀 더 심층적인 변인들을 포함하여 다차원적인 관점의 추후 연구가 요구되며,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적용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nvironmental and the medical selection factor on rehabilition hospital admission. Methods : The subjects were 107 patient and inpatients. The date were collected analyzed using the SPSS window 17.0 program. Results : General hospital select the recommendation 35.5%, medical team professionalism 18%, accessibility 16%, any others 14% appear in the rehabilitation hospital admission selection factor. Conclusion : Rehabilitation hospital admission selection factor is recommend and medical team service approach.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