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cess

검색결과 124,995건 처리시간 0.135초

선박교통관제에 관한 법률에 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Review of the Act on Vessel Traffic Services)

  • 신동호;지승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36-345
    • /
    • 2020
  • 선박교통관제는 선박의 안전 및 사고 예방을 위한 제도이다. 국제해사기구, 국제항로표지협회는 일찍부터 선박교통관제와 관련된 규정을 제정해 오고 있었다. 우리나라는 2019년 12월 03일에 선박교통관제에 관하여 「선박교통관제에 관한 법률」이라는 단행법을 제정하였고, 2020년 6월 4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선박교통관제에 법률」의 제정배경을 살펴보고, 해당 법률 조항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특히 선박관제사의 면책규정이 삭제된 연유를 집중적으로 검토하여 타당성 측면에서 동 법률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선박교통관제에 관한 단행법이 없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우리나라의 법률을 참고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선박교통관제에 관한 법률」의 구성과 정의 부분 등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더불어 최초 법안 발의 시에 포함되었다가 입법과정에서 삭제된 선박관제사의 면책규정은 향후 법률 개정에서 재 반영되어야 한다.

Construction stages analyses using time dependent material properties of concrete arch dams

  • Sevim, Baris;Altunisik, Ahmet C.;Bayraktar, Alemdar
    • Computers and Concrete
    • /
    • 제14권5호
    • /
    • pp.599-612
    • /
    • 2014
  • This paper presents the effects of the construction stages using time dependent material properties on the structural behaviour of concrete arch dams. For this purpose, a double curvature Type-5 arch dam suggested in "Arch Dams" symposium in England in 1968 is selected as a numerical example. Finite element models of Type-5 arch dam are modelled using SAP2000 program. Geometric nonlinearity is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 construction stage analysis using P-Delta plus large displacement criterion. In addition, the time dependent material strength variations and geometric variations are included in the analysis. Elasticity modulus, creep and shrinkage are computed for different stages of the construction process. In the construction stage analyses, a total of 64 construction stages are included. Each stage has generally $6000m^3$ concrete volume. Total duration is taken into account as 1280 days. Maximum total step and maximum iteration for each step are selected as 200 and 50, respectively. The structural behaviour of the arch dam at different construction stages has been examined. Two different finite element analyses cases are performed. In the first case, construction stages using time dependent material properties are considered. In the second case, only linear static analysis (not considered construction stages) is taken into account. Variation of the displacements and stresses are obtained from the both analyses. It is highlighted that construction stage analysis using time dependent material strength variations and geometric variations has an important effect on the structural behaviour of arch dams. The maximum longitudinal, transverse and vertical displacements obtained from construction stages and static analyses are 1.35 mm and 0 mm; -8.44 and 6.68 mm; -4.00 and -9.90 mm, respectively. In addition, vertical displacements increase from the base to crest of the dam for both analyses. The maximum S11, S22 and S33 stresses are obtained as 1.60MPa and 2.84MPa; 1.39MPa and 2.43MPa; 0.60MPa and 0.50MPa, respectively. The differences between maximum longitudinal, transverse, and vertical stresses obtained from construction stage and static analyses are 78%, 75%, and %17,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re is averagely 12% difference between minimum stresses for all three directions.

인삼엽(人蔘葉)을 이용(利用)한 다류제조(茶類製造)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Ginseng-leaf' tea)

  • 양희천;이석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2권1호
    • /
    • pp.51-57
    • /
    • 1979
  • 전북지방(全北地方)의 백삼포(白蔘圃)에서 부산물(副産物)로 생산(生産)되는 인삼엽(人蔘葉)을 이용(利用)하여 다류(茶類)로 조제(調製)하는 실험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인삼엽(人蔘葉) 중(中)에는 다엽(茶葉)에서보다 가용분(可溶分)이 훨씬 많으며 열탕추출(熱湯抽出)이 아주 잘된다. 2. Tannin함량(含量)은 평균(平均) 2.2% 정도로 다엽(茶葉)의 7.89%보다 훨씬 적어 수감미가 적다. 3. 인삼엽(人蔘葉) 중(中)의 비타민 C량(量)은 다엽(茶葉)과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50{\sim}110$배(倍))로 많이 함유(含有)하고 있다. 4. 인삼엽(人蔘葉)의 dammarane계(系) glycoside 함량(含量)은 $5.7{\sim}8.5%$로서 많은 함량(含量)을 가지고 있고 panaxadiol과 panaxatriol의 비는 $0.54{\sim}0.75$로서 panaxatriol계(系) saponin이 훨씬 많다. 5. 가용분(可溶分), 착색도(着色度)등을 고려할때 인삼엽(人蔘葉) 제품(製品) 2g을 200ml의 물에 넣어 3분간추출(分間抽出)하는 것이 가장 좋았다. 6. 기호적(嗜好的) 특성(特性)으로 볼때 또한 유효성분(有效成分) 함량면(含量面)에서도 증자(蒸煮)${\rightarrow}$건조(乾燥)${\rightarrow}$배소(焙燒)과정을 거치는 D제품(製品)이 가장 우수하다.

  • PDF

${\ll}$영추(靈樞).전광편(癲狂篇)${\gg}$에 대(對)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Jeon Kwang Pyun (癲狂篇) of the Young Chu(靈樞))

  • 서명진;육상원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61-394
    • /
    • 1998
  • Jeon Kwang(癲狂), term of oriental medicine, corresponds to psychopathy. This is recorded in the 22th chapter of Young Chu(靈樞). Jeon and Kwang come under Eum(陰) and Yang(陽) respectively. The symptoms of Jeon have silence, cry and giggle alternately, muttering, and so on. And those of Kwang have quick-tempered, absurd remarks, slander, and so on. The contents of this chapter are divided into three volumes. The first is descriptive of paroxysmal causes and various symptoms of Jean and methods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The second stales causes, symptoms, and remedy methods of Kwang. And the third describes about Pung Youk(風逆), Kweol Youk(厥逆), So Ki(少氣), and Tan Ki(短氣). A paragraph concerning of Mok Ja(目眥), so to speak side of pupil, is mentioned at the begginning of this chapter incomprehensibly. Si Ma(馬蒔) asserted that this one is not a pleonasm because mental condition is seen at Mok Ja. But Sa-Deok Jeong(程士德) decided this one doesn't relation to Jeon Kwang. In my opinion, both views have proprieties. It is in a controversy whether Jeon Kwang has somthing to do with Pung Youk, Kweol Youk, etc. Tan Pa(丹波) asserted that these don't have connection each other. But JI-Chong Jang(張志總) explained Jeon Kwang originates in Kweol Youk with a basis of So Mun(素門). It is difficult to judge which opinion is right, but I am of the opinion that paragraphs of Pung Youk and downward mentioned those of other chapter with a mistake in the process of transcription. On accout of not only shortage contents but also ancient writings of this chapter we cannot understand all about Jeon Kwang. In addition, each woodblock-printed book has different letters and every commentaries aren't the same. Till now, therefore, basic study hasn't been done enough to offer a foundation to the theory of medical trea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rrect wrong letters, to take out right commentaries, and then to interpret the accurat meaning of this chapter. I think this bibliographic study is quite meaningful because of hardship to cure psychopathy in clinic as well as of a viewpoint of basic study. However as this thesis is insufficient, so I expect many studies come out later.

  • PDF

상한론(傷寒論)과 사상의학(四象醫學)의 병기(病機)에 대한 비교연구(比較硏究) -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변증론(辨證論)을 중심(中心)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between Shanghanlun(傷寒論) and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四象醫學) in Pathogenesis)

  • 이광영;박찬국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76-718
    • /
    • 1998
  • After a comparative study on between Shanghanlun(傷寒論) and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四象醫學) in Pathogenesis, I got a conclusion like this. Sa-sang consitutional medicine(四象醫學) changed the directions to the medicine in the center of personality from the medicine in the center of Shanghanlun(傷寒論)'s demonstration, devided the personality of people by the size of Organ system(臟腑) into 4types of Tae-eum, Yo-yang, Tae-yang, Yo-eum(太少陰陽), and explains all the course of physiology, pathology, diagnosis, therapy of the body on the point of constitutional view. Comparing the features of two medicines, Shanghanlun(傷寒論) and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四象醫學), Shanghanlun(傷寒論) devided the diseases into the three type of eum-yang based on eight principal syndroms(八綱原理), in accordance with evidence of illness, pulse and studied the therapy, Shanghanlun(傷寒論) set up the basis of medicine which is based on overall of symptoms and signg(辨證論治醫學).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四象醫學) distinguished the image(象) which is devided by the size of inherited Organ system(臟腑), refered to the symptom of diseases(病症) and decided the therapic directions. So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四象醫學) gave more accuracy to the therapy by subdeviding the process of differenciation of case(辨證) into 2 steps of differenciation of image(辨象) and differenciation of case(辨證). In view of etiologic factor, Shanghanlun(傷寒論) regarded it as a invading of pathogenic factors(邪氣), so Shanghanlun(傷寒論) has the medical theory of pathogenic factors(邪氣). But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四象醫學) regarded it as a disorder of the genuine energy(正氣)'s movements(升降緩速), so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四象醫學) has the medical theory putting first of genuine energy(正氣). But Shanghanlun(傷寒論) also recognized the constitutional difference basically and Sa-sang consitutional medicine(四象醫學) devided the constitution into Tae-eum, Yo-yang, Tae-yang, Yo-eum(太少陰陽) and explained the food-air-fluid metabolism(飮食-氣液之氣病證) as cold-hot, cool-warm and devided the the symptom of diseases(病症) into the interior and the exterior(表裏) as the up-down, slow-fast movements of eum-yang and insufficiency and excessiveness is between them. In the end,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四象醫學) has the theory of eight principal syndroms(八綱原理) faithfully which is the theory of differenciation of case(辨證理論) of Shanghanlun(傷寒論). Therefore Shanghanlun(傷寒論) made a lot of influence on originating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四象醫學),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四象醫學) is the theory which is based on existing medical theory including Shanghanlun(傷寒論) and composed the new medical theory to the constitutional point of view.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四象醫學) enriched the medical theory and developed the clinical medicine so it has the historical value in the medicine.

  • PDF

수문기상 정보를 이용한 가뭄 전이 분석: 기상학적 가뭄에서 농업적 가뭄 (Analysis of drought propagation using hydrometeorological data: from meteorological drought to agricultural drought)

  • 유명수;조영현;김태웅;채효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1권3호
    • /
    • pp.195-205
    • /
    • 2018
  • 가뭄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현상으로 자연적 원인과 인위적 원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기후학적 특성상 여름철에 태평양 고기압의 발달 시기가 빠르거나 평년보다 강하면 장마 기간이 짧아져 자연적인 원인에 의해 가뭄이 발생한다. 가뭄은 발생과정과 피해 영향에 따라 기상학적, 농업적, 수문학적, 사회경제적 가뭄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직 간접적으로 다른 가뭄에 영향을 미친다. 가뭄의 종류가 기상학적 가뭄에서 농업적 가뭄 혹은 기상학적 가뭄에서 수문학적 가뭄으로 변화되는 현상을 가뭄 전이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가뭄 전이 발생 여부와 발생 패턴을 검토하기 위해 수문기상 정보를 이용하여 기상학적 가뭄에서 농업적 가뭄으로의 전이 관계를 분석하였다. 가뭄 전이 발생 현황 및 특성 분석을 위해 가뭄 발생의 유형을 5가지로 구분하였으며, 유형에 따라 가뭄 전이가 발생하지 않거나 최대 3개월까지 지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더 많은 가뭄 지표들과의 분석을 통해 가뭄 전이 관계를 일반화한다면 기상학적 가뭄 발생 시 농업적 가뭄 예측을 위한 인자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기능보의 방류량 산정 개선을 위한 운영 분석 및 수정 경사-면적법의 적용 (Operation analysis and application of modified slope-area method for the estimation of discharge in multi-function weir)

  • 오지환;장석환;오경두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1권8호
    • /
    • pp.687-701
    • /
    • 2018
  • 수자원의 추가 확보와 홍수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목적으로 국내 4대강 주요 지점에 다기능보(multi-function weir)를 설치하였다. 다기능보는 흐름 통제 단면으로서 정밀한 유량 산정이 가능한 수리구조물로 하천의 일반적인 수위-유량 관계식보다 정밀하게 산정할 수 있으며, 향후 각 유역의 국가 표준 유량 기준점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산강의 승촌보를 대상으로 현재 취득되는 운영 자료를 분석하여 개선사항을 제시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간접유량추정 방법인 경사-면적법(slope-area method)을 응용하여 정밀한 유량 산정이 가능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현재 상태는 이론적인 유량계수 범위 초과와 급격한 변동, 상 하류부의 수위차를 연동하지 못하는 등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였다. 응용한 경사-면적법은 앞서 제시한 한계점을 보완하고, 자연 하도의 검증된 수리학적 이론에 의해 수면경사와 마찰손실을 반복 계산을 통해 오차를 줄여나가는 상호 보완적인 방법으로 물리적으로 타당하여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다기능보의 최적 운영을 위하여 이를 적용한다면, 실제 운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상수도관망 재난관리 및 복구를 위한 데이터기반 이상탐지 방법론 개발 (Data-driven event detection method for efficient management and recovery of water distribution system man-made disasters)

  • 정동휘;안재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1권8호
    • /
    • pp.703-711
    • /
    • 2018
  • 상수도관의 파열은 과도한 압력, 노후화, 온도변화 나 지진 등에 의한 지반이동에 의해 발생한다. 상수도관 파열이 대규모 단수, 싱크홀 등과 같은 더 심각한 피해 이어지지 않도록 신속하게 탐지 및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상수도관 파열 탐지를 위해 개선 Western Electric Company (WECO) 방법을 개발하였다. 개선 WECO 방법은 통계적공정관리기법 중 하나인 기존 WECO 방법에 임계치 조정자(w)를 추가하여 대상 네트워크에 적합한 이상탐지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했다. 개발된 개선 WECO 방법을 미국 텍사스 오스틴 관망에 적용 및 검증하였다. 상수도관 파열 발생 시 측정한 비정상데이터와 수요량 변동만 고려한 정상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존 및 개선 WECO 방법을 비교하였다. 최적 임계치 조정자 w값을 결정하기 위해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다양한 계측시간 간격 데이터(dt = 5, 10, 15분 등)의 영향도 분석하였다. 각 경우 별 탐지성능은 탐지확률, 오경보확률, 평균탐지시간을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WECO 방법을 실제 상수도관 파열 탐지에 적용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CMIP5 GCM의 동아시아 해안지역에 대한 공간적 강우특성 재현성 평가 (Assessing the skills of CMIP5 GCMs in reproducing spatial climatology of precipitation over the coastal area in East Asia)

  • 황세운;조재필;윤광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1권8호
    • /
    • pp.629-642
    • /
    • 2018
  •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특성의 변화 등 다양한 기상이변과 극한사상에 관련된 수자원 연구는 일반적으로 전지구 기후 모델(General Circulation Model, GCM) 산출물에 기반하여 생산된 미래 기상정보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사회 다양한 분야에서 기후변화 영향평가가 심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과거기간에 대한 원시 모의결과 평가를 통한 GCM의 성능과 산출물에 대한 재현성 고찰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지역에 대한 전지구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동아시아 지역의 격자단위 관측자료를 수집하여 과거기간(1970~2005)에 대한 강우특성 공간분포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GCM 산출물의 재현성을 평가하였다. 위도와 경도에 따른 강우특성의 공간적 변동성에 대한 GCM 결과의 상관성과 평균/절대오차를 산정하여 29개 CMIP5 GCM의 순위를 결정하여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오차 통계와 대상지역에 따라 GCM 순위가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공간분포의 패턴과 절대적 오차를 기준으로 판단한 GCM 순위가 크게 다르게 나타났다. 대체로 Hadley Centre 계열 모델의 동아시아 지역에 대한 강우특성 재현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한반도 지역만을 대상으로 평가한 경우 MPI_ESM_MR과 CMCC center 계열 모델의 재현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한반도 지역의 기후변화 영향평가에 가중있게 고려되어야 할 GCM의 선정과 GCM 성능고려에 따른 기후변화 예측 불확실성 평가에 적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영향 평가 연구결과의 신뢰도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공공기관 주요사업 계량지표에 관한 연구 -한국국토정보공사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trical indicator of the major projects of public organizations -Focused on the case of Korea Land and Geospatial InformatiX Co.-)

  • 정종대;김영학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8권1호
    • /
    • pp.93-109
    • /
    • 2018
  • 정부는 공공기관의 효율적이고 투명한 운영을 통해 사업성과를 제고하기 위하여 매년 기획재정부주관으로 공공기관 경영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공공기관 경영평가는 경영관리범주와 주요사업범주로 구분되는데 경영관리범주는 평가 대상 기관 공통으로 적용되고 주요사업과 주요사업 계량지표는 기관의 설립목적과 특성에 따라 자율적으로 선정하여 평가를 받고 있다. 공공기관의 주요사업은 기관의 설립목적을 대표하므로 수행성과가 매우 중요하므로 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주요사업 계량지표를 로직모델을 통해 살펴보고 지표의 특성을 알아보고 공공기관의 주요사업 계량지표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은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인 한국국토정보공사의 주요사업으로 한정하고 범위는 2017년도 경영평가 편람을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한국국토정보공사 주요사업 계량지표는 투입, 과정, 산출 지표 위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둘째, 공공기관에서 제시한 주요사업 계량지표는 적정성을 알아보는 방법으로 로직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셋째, 공공기관의 주요사업 계량지표를 투입, 과정, 산출지표가 아닌 결과지표로 선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공공기관의 주요사업 계량지표의 선정과 검증에 필요한 방법론 즉 로직모델을 통해 공공기관의 주요사업 계량지표가 결과지표 중심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