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blem-finding

검색결과 1,670건 처리시간 0.034초

문제발견과 창의성 (Problem Finding and Creativity)

  • 하주현
    • 지식경영연구
    • /
    • 제7권1호
    • /
    • pp.1-12
    • /
    • 2006
  • The previous empirical research suggests that problem finding is more important than problem solving in the creative process. Problem finding is increasingly recognized in theories of creativity.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problem finding, there is little research to explain problem finding in Korea. This article reviews the research about problem finding and examines the nature of problem finding, the type of problems, the relation of problem finding and problem solving, the relation of problem finding and creativity, and the serendipity. Finally, theoretical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PDF

문제발견 중심의 과학토론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cientific Discussion Classes Focusing Problem Finding on the Primary School Students' Scientific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cience Process Skills)

  • 김순식;이용섭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33-14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cientific discussion classes focusing problem finding on the primary school students' scientific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science process skills and attitude toward science class. To verify this research problem,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fifth-grade students selected from four classes of M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Busan city. For four months, the experimental group of 51 students was taught using the "scientific discussion classes focusing problem finding". The control group also of 53 students was taught in normal classes which used a text-book. All students were given pre and post test to verify the effects of scientific discussion classes focusing problem finding on the primary school students' scientific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science process skills and attitude toward science clas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the following. First, the scientific discussion classes focusing problem finding were effective in scientific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mong the primary school students. It is possibly because in the process where one student compare his/her own thoughts with the others' ones and discuss them. Second, the scientific discussion classes focusing problem finding were effective in science process skills among the primary school students. Third, the scientific discussion classes focusing problem finding were effective in attitude toward science class. In conclusion, the scientific discussion classes focusing problem finding had positive effects on improvement of primary school students' scientific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science process skills and also could lead to a change in students' cognition about science class to a positive way. Therefore, the scientific discussion class focusing problem finding is hopefully to be provided as an effective instructive strategy of science class in school in the future.

초등학교 아동의 과학적 문제 발견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에서의 남녀 차이 (Gender Differences in the Factors Affec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ility to Identify Scientific Problems)

  • 이혜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4호
    • /
    • pp.419-429
    • /
    • 2006
  • This study investigated gender differences in the factors affec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ility to identify scientific problems. Scientific problem finding tasks, involving written instruments including IQ tests, content knowledge, science process skills, divergent thinking skills, intrinsic/extrinsic motivation, personality traits, and home environment were administered to 96 elementary school students(male; 50 & female: 46). The data collected was analyzed by means of a t-test,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The finding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scientific problem finding performance. Female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both total score and elaborate score of scientific problem finding than male students. Personality traits and intrinsic motivation positively and extrinsic motivation negatively predicted male students' abilities in scientific problem finding. Science process skills, personality traits and intrinsic motivation positively and extrinsic motivation negatively predicted female students' scientific problem finding and IQ positively predicted female students' elaborate score of scientific problem finding.

  • PDF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 학생의 과학탐구문제 발견 능력에 대한 비교 (A Comparison of Science Inquiry Problem Finding Ability of Gifted Elementary Students of Science and General Elementary Students)

  • 김민희;이석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2권4호
    • /
    • pp.464-47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cience inquiry problem finding ability of gifted elementary students of science and general elementary student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types of science inquiry problems in an ill-structured problem finding situation. Also, this study has compared science inquiry problem finding abilities of those two group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new ways of improving student' science inquiry problem finding ability and selection of gifted students of science were sugge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inquiry problems generated by the scientifically gifted and the general students in an ill-structured problem situation could be categorized into seven types (measurement, method, cause, possibility, what, comparison,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inquiry objectives, and both group found more problems in scientific context than in everyday context. Regardless of the context of problem,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found more problems and the type of problems generated by them were more various than those of general students.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problem finding ability between scientifically gifted and general students.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found more problems and the quality of problems were higher than general students.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문제 발견력,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성향, 과학 탐구 능력 비교 (Comparison of Problem Find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Ability, Creative Tendency, Science Process Skill between the Scientifically Gifted and General Students)

  • 고유미;여상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4호
    • /
    • pp.624-633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roblem finding ability, creative thinking ability, creative tendency, and science process skill between the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and the general students. For this study, problem finding ability test, integrating creativity test, and science process skill test were conducted to the elementary gifted students (n=95) in science and the general students (n=149) at the same school distric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mean scores of problem finding, creative thinking, creative tendency, and science process skill of the gifted students were statistically higher than the general students. The problem finding ability had partially weak correlation with sub-domains of the creative thinking ability, creative tendency, and science process skill. Findings suggest that there are needs of further study about factors affecting problem finding and considering the degree of structure of problem situation.

소집단 자유 탐구에서 과학적 탐구 문제 발견 과정의 특징 분석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 Inquiry Problem Finding Process in Small Group Free Inquiry)

  • 천명기;이봉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865-87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학생들의 소집단 자유 탐구 활동에서의 탐구 문제 발견 과정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2학년 학생 91명을 대상으로 자유 탐구를 수행하게 하였다. 한 학기(약 4개월) 동안 이루어진 탐구 과정 중 비교적 성공적으로 탐구를 수행한 15개 모둠, 48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모둠별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탐구 과정에서 나타난 탐구 문제 발견의 단계와 탐구 문제 발견을 위해 시도한 전략을 통해 탐구 문제 발견 과정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구 문제 발견 과정에서 주제어 선정, 문제점 제시, 의문점 제시, 탐구 문제 발견 등의 단계가 발견되었으며, 특히 탐구의 소재, 상황 등의 탐구 대상에 해당하는 주제어 선정 과정이 많이 발견되었다. 둘째, 학생들이 탐구 문제 발견 과정에서 사용한 전략으로는 정보 탐색, 선행 연구 탐색, 지식/경험의 공유, 지식/경험의 연결과 확장, 환경 인식, 전문가 자문, 적합성 논의, 정교화 등이 발견되었다. 셋째, 일상생활에서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를 해결하는 방안을 연구하는 형태의 탐구에서는 문제 발견 과정이 비교적 쉽게 이루어졌다. 넷째, 인터넷을 통한 선행 연구의 탐색은 주제어 선정 및 탐구 주제의 정교화 과정에서 유용하게 활용되었다. 다섯째, 학생들이 여러 개의 후보 탐구 주제 중 하나를 선택할 때 고려하는 주요 요인은 실행 가능성, 실생활 적용 가능성, 경제성 등이었다. 여섯째, 시사적인 상황이 탐구 주제 생성에 영향을 주었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탐구 문제 발견을 도와 줄 수 있는 몇 가지 방안을 논의하였다.

과학영재의 과학문제발견력 관련변인에 대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과학관련태도와 동기 및 자기조절 학습전략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the Scientific Problem Finding Ability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Based on Science Related Attitude, Motivation, and Self-regulation Learning Strategy)

  • 김명숙;한기순
    • 영재교육연구
    • /
    • 제18권1호
    • /
    • pp.23-52
    • /
    • 2008
  • 본 연구는 수도권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 재학중인 153명의 과학영재를 대상으로 과학문제발견력을 구성하는 학습자요인으로서 과학관련태도와 동기 및 자기조절적 학습전략 변인을 중심으로 가설적 구조모형을 상정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통해 구조모형을 검증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간의 상관분석 결과, 과학관련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자아효능감이나 내재적 가치를 나타내는 동기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인지전략의 사용이나 자기조절을 나타내는 자기조절적 학습전략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과학관련태도 중 과학적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과학문제발견력중 창의성관련 범주인 정교성이 높았다. 그러나, 과학관련태도의 다른 하위범주와 과학문제해결력의 다른 하위범주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또한 자기조절적 학습전략은 자기조절적 학습전략이 높을수록 정교성이 높았으며 과학의 탐구동기와 탐구수준과도 정적 관계를 갖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과학문제발전력의 구조모형을 검증한 결과, 과학탐구관련 과학문제발견력 구조모형 1과 창의성 관련 과학문제발견력 구조모형 2의 분석결과가 모두 학습자의 정의적 요인인 과학관련태도가 직접적으로 과학문제발견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자아효능감과 학습에 대한 내재적 가치의 인식을 갖는 동기요인과 자기조절적 학습전략의 사용을 매개로 하여 과학문제발견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낮게 구조화된 과학적 문제 상황에서 고등학생들의 문제발견 활동 분석 (An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Activity on Problem-finding in III-structured Scientific Problem Situation)

  • 류시경;박종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765-774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적 문제발견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수업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연구 대상자들은 협동 활동과 개별 활동을 통해 낮게 구조화된 과학적 문제 상황에서의 문제발견 과제를 수행하였으며, 문제발견 활동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협동 문제발견 활동은 '문제 상황 탐색', '기존 지식 및 경험 표출', '잠정적 문제의 적절성 논의', '다양한 문제 생성', '최선의 문제 선택'의 다섯 단계를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협동 문제발견 활동은 기존 지식이나 직간접 경험에 크게 의존하며, 문제 상황과 관련된 다양한 과학적 개념이 자연스럽게 표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동 활동을 통해 발견된 문제에 대한 창의성 요소 점수와 독창적 문제선택에 대한 일치 정도는 대체로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또한 열린 문제 상황에서 발견된 문제의 유형이 닫힌 상황보다 더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은 문제발견 활동이 과학적 개념이나 사고력 및 탐구 능력을 신장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교사는 첫째, 문제발견에 필요한 지식이나 정보를 탐색할 수 있는 교육적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둘째, 과학 지식과 경험의 폭을 넓힐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학생들의 지식과 경험을 자유롭게 표출할 수 있는 수업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

개방적 상황에서 과학적 문제 만들기 활동이 예비교사의 과학적 문제발견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pen-Situation Scientific Problem-Making Activity on the Scientific Problem-Finding Ability of Pre-Service Teachers)

  • 황요한;박윤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09-119
    • /
    • 2015
  • 본 연구는 개방적 상황에서 과학적 문제 만들기 활동을 통해 예비교사들의 과학적 문제발견능력이 어떻게 향상되는지를 보았다. 이를 위해 과학교육학부 1학년 세 반을 훈련에 참여한 정도를 기준으로 적극적으로 참여한 반을 실험집단 1로, 비적극적으로 참여한 반을 실험집단 2로, 참여하지 않은 집단을 통제집단으로 편성하였다. 문제 만들기 훈련을 위해 활동지를 제작하여 예비교사들에게 적용하였는데, 예비교사들은 7주간 한 주에 하나의 궁금증을 찾아 활동지를 작성하였고,연구자와 교수가 매주 피드백 해주었다. 또한 문제 만들기 훈련이 문제 발견능력에 주는 영향을 보기 위해 개방적 상황에서의 문제발견 검사지를 개발하여 훈련 전후 문제발견능력을 측정하였다. 훈련 간 문제 만들기 활동지의 지속적인 작성과 피드백을 통해 예비교사들이 발견하는 문제의 수준이 높아지고 다양해졌으며, 검사결과 발견한 문제의 양과 질에서 실험 집단 1이 다른 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특히 질적 검사 항목 중 독창성, 정교성, 검증 가능성, 변인의 유형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실험 집단 2는 부정적인 결과를 보였는데, 이것으로 보아 훈련에 임하는 태도가 문제발견능력의 향상과 상관이 있다고 짐작할 수 있다. 전체적인 결과로 보아 지속적인 문제 만들기 훈련과 피드백은 예비교사들의 문제발견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구조화 정도가 다른 문제 상황에서 문제발견에 대한 제 변인의 상대적 기여도에서의 남녀 차이 (Gender Differences Between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Variables to Problem Finding in Ill-structured and Moderately Structured Problem Situation)

  • 이혜주
    • 아동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71-187
    • /
    • 2007
  • The 166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by gender and degree of structure in problem situations. Written instruments ascertained intelligence, conceptual knowledge, science process skills, divergent thinking, intrinsic/extrinsic motivation, personality traits, and home environment. Results were that male students scored higher on problem finding in the ill-structured than in the moderately structured problem situation. In the ill-structured problem situation, personality traits, conceptual knowledge, and intrinsic motivation contributed to the scores of male students and home environment and conceptual knowledge contributed to the scores of female students. In the moderately structured problem situation, personality traits and intrinsic motivation contributed to the scores of all students, but science process skills contributed to the scores of female students on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