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vate mall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32초

고객세분화를 통한 인터넷 쇼핑몰 구매 경험자 재구매의도 영향 요인 (Repurchase Intention of Experienced Buyers in the Internet Shopping Mall by Using Customer Segmentation)

  • 이정환;최문기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0권1호
    • /
    • pp.19-34
    • /
    • 2003
  • Identifying customer repurchase intention is very Important for the Internet shopping mall to activate CRM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in B2C (Business to Customer) eCommerce. In this paper, the experienced buyer's repurchase intention Is analyzed by using the approach of customer segmentation. Total of 979 samples, which had already experience of Internet shopping, are analyzed to demonstrate that the degree of repurchase Intentions differs from each segmented group. The benefit segmentation is performed by identifying private benefits for which consumers can seek among 14 services. The results show that the different group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purchase Intention. The results of repurchase intention can lead to practical recommendations for CRM in B2C eCommerce.

  • PDF

공동구매형 소셜커머스와 프라이빗 쇼핑몰을 이용하여 패션/뷰티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의 쇼핑 가치 (Shopping Value of the Consumers Who Purchase Fashion/Beauty Products Using Group Buying Social Commerce and Private Shopping Malls)

  • 서상우;조윤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61-174
    • /
    • 2014
  • This study performs an investigative research on the shopping value of consumers who purchase fashion/beauty products using group buying social commerce among the types of social commerce and private shopping malls. We provide basic knowledge on consumer behavior using social commerce newly appeared as shopping channels. For the method, the research was performed by designing a sequential integration method of conducting quantitative verification after qualitative research. As a result of qualitative research, multiple shopping values have been shown as the common shopping values of consumers using two types of shopping malls. The dimensions are price, quality, convenience, interaction, information, reliability, hedonic and impulse buying values. A total of eight sub-dimensions have appeared due to performing quantitative verification on the shopping value of group buying social commerce. The dimensions are same as the results from the qualitative research. The shopping value of consumers who purchase fashion/beauty products using private shopping malls has been classified into seven dimensions (except interaction value).

온라인쇼핑몰에서 구매고객의 인지부조화가 불만족 및 재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e-CRM 구성요소 중 e-Community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s of Purchaser's Cognitive Dissonance on their Re-purchase and Dissatisfaction in Online Shopping Malls)

  • 이득규;노태범
    • CRM연구
    • /
    • 제2권2호
    • /
    • pp.71-88
    • /
    • 2009
  • 본 논문의 목적은 인터넷 쇼핑몰 기업의 e-CRM 활동이 구매고객 및 잠재고객의 구매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인터넷 쇼핑몰 기업은 고객의 다양한 수요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e-CRM을 활용하고 있으며 특히 게시판(e-Community)등을 통해 구매고객의 이용후기를 유도하여 많은 잠재 고객에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자 한다. 그러나 인터넷쇼핑몰 기업의 의도와는 달리 게시판등을 통해 구매고객의 인지부조화가 발생할 수 있으며 불만사항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불만사항이 게시판을 통해 제대로 관리되지 않고 방치되면 다른 잠재고객에게 불만이 전이되고 불만고객에 대한 동조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을 통해 확인된 내용은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 제품을 구매한 고객이 부정적 인지부조화가 발생하게 되면 사적불만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행동은 게시판등을 통해 형성된다. 사적불만 행동단계에게 기업의 적절한 대응이 없으면 사적불만행동은 곧 공적불만행동으로 커지게 되고 아울러 다른 잠재고객에게 불만내용이 전이되어 빠르게 확산될 수 있다. 즉, 인터넷쇼핑몰 기업의 의도와는 반대로 e-CRM을 통해 잠재고객의 구매의사결정을 촉진하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잠재고객의 구매의사결정을 보류 또는 철회하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인터넷 쇼핑몰 기업은 e-CRM 의 구성요인 중 e-Community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며 불만고객에 대해서 즉각적인 대응이 있어야만 e-Community 의 기능이 제대로 작동을 하게 된다.

  • PDF

한복제품 관련 사이트의 유형별 운영 실태 분석 (Analysis on the Management Conditions of Web Sites Related to Hanbok Products by Types)

  • 장은영
    • 한국패션뷰티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50-57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crutinize Internet sites which recently promote and sell Hanbok products online and to compare and analyze the formation and management conditions of those by types. One hundred thirty well-known Internet sites related to Hanbok products were studied on the formation and management conditions. The elements of Hanbok products, sales, promotion, and customer service were also discussed as details. In this study, those Internet sites were divided into six categories; private Hanbok designer sites, famous Hanbok brand sites, Hanbok specialized shopping mall sites, Hanbok rental sites, general and specialized Hanbok sites, and Hanbok information si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ites of private Hanbok designers and famous Hanbok brands are un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rather than selling its products. Second, the object of operating Hanbok specialized shopping mall sites is to sell its products via the Internet with practical Hanbok and kids Hanbok as the central items. These sites are fairly well organized. They show various items and provide information on descriptions, prices, and sizes of its products and offer customer service for sales. Third, custom-made Hanbok is also available alongside of Hanbok rentals on Hanbok rental sites. There are two kinds of rentals, door-to-door rental and online rental and customers normally rent traditional Hanbok for their needs. Fourth, products are sold in the order of kids Hanbok, practical Hanbok, Hanbok accessories, and traditional Hanbok on the general and specialized Hanbok sites. Finally, Hanbok information sites furnish various information on Hanbok and provide link services through making partnerships with other Hanbok cooperations.

  • PDF

전통시장 활성화 요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Traditional Market Revitalization Factors on Management Performance)

  • 권세용;강미례;김형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307-317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시장의 서비스품질, 청년몰 조성에 대한 상인들의 인식, 그리고 전통시장 활성화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여, 전통시장의 자생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을 도출하고자 함이다. 특히 최근 전통시장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해 급속하게 생겨나고 있는 청년몰에 대한 상인들의 인식을 선행요인으로 포함시켜, 청년몰 조성사업의 실질적인 효과성 또한 예측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익산시 소재 5개 사설 전통시장의 소상공인 4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의 기술적 통계, 신뢰성, 타당성을 분석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으며,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청년몰은 전통시장 활성화와 경영성과 개선을 위해 범정부적인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추진되는 정책이지만, 본 연구 결과 전통시장 내 청년몰 조성은 전통시장 활성화와 경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전통시장 활성화 및 경영성과 개선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는 청년몰 조성 정책이 추진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지각된 가치와 위험이 인터넷 패션 쇼핑몰의 수입패션제품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공식딜러와 비공식딜러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Perceived Value and Perceived Risk on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for Imported Apparel in Internet Shopping Malls)

  • 김효정;황선진
    • 복식
    • /
    • 제61권4호
    • /
    • pp.63-7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influences of perceived value and perceived risk on purchasing behavior for imported apparel from official dealer and unofficial dealer in internet shopping mall. A total of 363 female subjects with ages ranging between 20's and 30'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mported apparel through official dealer had no influence by impulse buying for convenience and efficiency value, information value, after-purchasing value. On the other hand, imported apparel through unofficial dealer had a negative influence by impulse buying for convenience and efficiency value. 2) Imported apparel through official dealer had a negative influence by impulse buying for function and service risk. But for imported apparel through unofficial dealer, not only function and service risk but also private information risk were influenced by impulse buying. 3) All of imported apparel through official dealer and unofficial dealer had no influence by flow for convenience and efficiency value, information value, after-purchasing value. 4) All of imported apparel through official dealer and unofficial dealer were influenced by flow for function and service risk. That is to say, when consumer find satisfaction about quality of products, whether real thing or not, guarantee of quality,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will be enhance.

천안 구도심 명동지역 도시재생 전략수립 연구 (Schematic Regeneration Strategy of Old Downtown, Myeongdong, in Cheonan)

  • 성민호;이희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3231-3239
    • /
    • 2014
  • 1970~1980년대의 급격한 경제개발과 도시의 발전 이후 현재에 들어 당시에 개발된 원도심지의 노후화와 기존기능이 빠르게 빠져나가는 도심공동화 현상이 발생하면서 근래에 도시재생이 도시계획 및 도시개발의 새로운 키워드로 등장하였다. 천안의 구도심인 명동지역(중앙동, 문성동)또한 공동화 현상이 급격하게 진행되면서 천안시에서는 재개발 및 활성화 사업을 진행하였지만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도시재생 및 TOD개발 관련 사례를 분석해보고 명동지역의 현황분석을 통해 명동지역의 발전 및 공동화 이유와 기존 활성화 사업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명동지역의 새로운 활성화 계획을 제안하였다. 활성화 계획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명동지역의 경우 버스터미널과 천안역, 중앙시장까지 어우르는 도시흐름을 형성하는 하나의 결절점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2)민자역사유치, 지하상가와 연결된 쇼핑루트 개발, 통합 환승센터 및 이를 중심으로 한 마켓단지조성, 동남구청 부지의 문화센터 개발 및 예술공원 등의 개발이 서로 연계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소모성자재산업 발전방향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Direction of MRO Industry for SMB)

  • 김경일
    • 중소기업융합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49-55
    • /
    • 2013
  • 본 연구는 소모성자재 유통에 관련된 구매사, 자재구매대행업자, 납품업체의 운영실태, 애로사항, 정책 및 지원사항 등에 대해 조사하고, 해외선진국가의 소모성 자재 관련 각종 지원정책과 사업운영 프로세스 등에 관한 내용을 벤치마킹하여 정부정책개발 및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고, 나아가 영세 기업인 납품업체를 특화하여 육성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공공기관, 중소납품업체를 대상으로 지원방향을, 자재구매대행업자와 민간구매회사를 대상으로 대응방향을 마련하여야 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지원방향에 있어서는 첫째 공공기간에 대해서는 구매시스템을 구축하고 대행하며 검증된 중소납품업체 정보 제공이 지원되어야 하며, 구체적으로는 공공기관 통합 구매시스템이 구축되어 구매 대행 서비스를 지원하여야 할 것이다. 중소납품업체에 대해서는 5대 의무구매품목 인증을 지원하여 공공기관의 입찰 기준을 개선하고 마케팅, 영업 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구체적인 실천방안으로는 영세업체 인증지원을 강화하고 조달청 등의 복잡한 입찰절차를 완화하고 권역별 대표 유통단지를 대상으로 현장교육을 실시하며 공동구매 서비스를 지원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대응방향에 있어서는 자매구매대행업체들에 대해서 소모성자재 대체 납품기준을 마련하여 가격 외의 기준으로 공공기관부터 적용하여야 할 것이며, 공동 MRO몰의 초기 포지셔닝 방향을 수립하고 지원하여 민간기업과의 차별화를 부각시켜 5대 의무구매품목만 취급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민간구매회사에 대해서는 납품업체 적정이익을 확보하여 납품업체 이익을 일정부분 보장한 정부주체의 운영몰 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 PDF

태양광 발전소와 부동산 자산 운용 수익의 경제성 평가에 대한 연구 (Study on Economic Evaluation of Solar Power Plant and Real Estate Asset Management Revenues)

  • 우제택;서미자;이재환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633-642
    • /
    • 2018
  • 태양광발전소는 급속한 보급을 거듭하며 민간 중심의 부동산 개발과 함께 건물의 부대시설 및 토지, 산악지역과 염전 부지 등 다양한 형태로 수익화 운영을 지속하고 있다. 최근의 태양광발전소는 발전단가의 하락에도 불구하고 주요 설비의 가격 대중화와 기술의 안정화로 발전소 구축이 다시 활발해지고 있다. 그러나 시공에 대한 비용투자와 발전소 운영 수익의 손익분기를 바탕으로 전통적인 부동산 자산 운용과의 수익성 비교검토는 부족한 실정으로 본 논문에서는 부동산 자산운용의 보편화된 형태로 오피스텔과 상가 투자를 바탕으로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경제성을 분석하기 위한 검토와 연구를 진행 하였다.

1인 미디어 UCC의 현재와 미래 - UCC의 전반적인 통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esent & Future for the One man Media UCC)

  • 서정우;최복희;김치용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43-646
    • /
    • 2009
  • 시대가 빠르게 변할수록 미디어의 형태와 역할도 발맞춰 바뀌어 가는게 현실이다. 지금 가장 주목 받고 있는 미디어는 바로 1인 미디어 UCC(User Created Contents)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각 가정마다 하나의 카메라가 보급이 되고 심지어 일상생활에서 없어서 안 될 휴대폰으로도 영상을 촬영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여기서 끝나는 게 아니라 이것을 가지고 동영상을 제작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그것이 바로 UCC의 시작이다. 개인의 사생활을 제작할 뿐 만 아니라 기업, 사회, 광고, 엔터테인먼트, 쇼핑몰 등 다양한 곳에서 UCC를 활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시대를 맞아 1인 미디어 UCC의 현재와 미래를 통계학적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