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vate education cost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7초

초,중,고 사교육비 영향요인 분석 (The Analysis of Private Education Cost for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 이혜정;송종우
    • 응용통계연구
    • /
    • 제27권7호
    • /
    • pp.1125-1137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현재 우리 사회에서 큰 이슈가 되고 있는 사교육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사교육비가 논란이 되는 이유 가운데 하나는 각 가정에서 소비되는 전체 교육비 가운데 사교육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으면 경제적으로 교육에 대한 기회균등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과도한 사교육으로 인해 기본적인 학교 교육보다 더 많은 시간과 비용을 할애한다면, 계층 간, 지역 간의 양극화와 더불어 학교의 기능이 저하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다양한 회귀분석 방법론과 분류분석 방법론을 이용하여 사교육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변수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또 각각의 변수들이 어떻게 사교육비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도시가 중소도시 보다 사교육비 지출이 높았고, 일반 고등학교, 중학교, 전문 고등학교, 초등학교 순으로 사교육비 지출이 높았다. 그리고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사교육비 지출도 높았다.

사교육과 영재교육 참여경험이 중학생의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rivate Tutor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Gifted Education)

  • 박순흥;한기순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1호
    • /
    • pp.49-65
    • /
    • 2013
  • 이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자료를 활용해 사교육 참여 경험이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과 더불어 영재교육 참여경험이 수학성취도에 대한 사교육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선형 성장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학성취도 점수를 포함하고 있는 KELS 1차년도(2005년)부터 3차년도(2007년)의 자료 중 수학 교과에 대한 사교육 참여 여부, 주당 사교육 시간, 월 사교육비, 영재교육 경험 여부, 성별, 초등학교 6학년 성적 자료, 부모님의 월소득, 내재적 동기 그리고 자아효능감 자료가 사용되었다. 연구대상은 수학성취도 점수를 포함하여 연구목적에 포함된 변수들에 결측치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4,435명으로 한정하였다. 연구결과 사교육 참여 경험이 더 많은 학생들이 다른 변수들을 통제하고도 수학성취도가 높았으나, 사교육 요인 중 사교육 시간과 사교육 비용의 경우 학년과의 상호작용이 수학성취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하여 영재교육 참여경험은 수학성취도 향상 정도에는 부적 영향을 미쳤으나, 사교육 비용이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에는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영재교육 경험이 수학성취도에 대한 부정적 사교육 비용 효과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력을 간접적으로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교육이 수학성취도에 주는 영향 그리고 이러한 사교육 효과에 대한 영재교육경험의 영향과 의미를 논의하였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과외교육의 비용-효과 분석 (Cost-Effectiveness Analysis on On-line and Off-line Extra Curricula Education)

  • 김병주;김선연;김정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1권2호
    • /
    • pp.199-21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st-effectiveness analysis on on-line and off-line extra-curricula education(ECE). Based on a review of relevant literature, on-line ECE is defined as internet based learning, and off-line ECE is defined as on-site learning out of school such as private cram schools and private tuto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xty nine percent of the subjects were received ECE. Off-line ECE is more dominant than on-line ECE. Second, cost for off-line ECE is more expensive than on-line ECE. Third, off-line ECE is more effective than on-line ECE, when cost is ignored. Fourth, on-line ECE is more cost-effective than off-line ECE.

Factors Associated with Use and Types of Multiple Concurrent Care and Education Arrangements in Early Childhood in South Korea

  • An, Mi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15권2호
    • /
    • pp.81-92
    • /
    • 2014
  • This paper explores factors associated with multiple concurrent care and education arrangements in early childhood in South Korea. It draws on a subsample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Results show that about one-fifth of the families utilized multiple arrangements for their first preschool child. The primary non-parental option in multiplicity was nurseries or kindergartens. Home care and education options such as home study materials were found to be most prevalent secondary non-parental option, followed by services at private institution as well as relative care. Children's age, care cost, non-parental care time and time constraints were found to be positively related to the incidence of multiplicity for the first preschool child while family income and cost constraints were negatively associated. As a secondary option in the multiplicity, services at private institutions increased with children's age, care cost and when the grandparents live far from the parents' house. Home care and education utilization was found more among mothers with low degree of time constraints. Utilization of relative support decreased with the children's age and meant lower care cost and increased with mother's employment, fathers' education, family income, cost constraints and when grandparents live nearby. This paper, based on the associated factors, suggests how issues of children enrichment and constraints might be related to the multiplicity.

일반계 고등학생 사교육비 지출에 대한 베이지안 분위회귀모형 분석 (Bayesian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of private education expenses for high scool students in Korea)

  • 오현숙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6호
    • /
    • pp.1457-1469
    • /
    • 2017
  • 일반계 고등학생의 사교육비 지출은 대학입시와 맞물려 최근 더욱 증가하고 있는 동시에 가구소득 수준, 지역 등에 따라 양극화되고 있다. 기존의 사교육비 연구는 주로 다중회귀모형을 토대로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였으나 자료가 최소자승법의 기본가정인 정규성과 등분산성을 만족하지 않으면 분석결과의 신뢰성에 대한 문제가 발생된다. 본 연구는 2015년도 사교육실태조사자료에 대하여 정규성과 등분산성이 성립되지 않음을 확인하고 이를 통제할 수 있는 베이지안 분위회귀모형을 적합한 후 깁스 샘플링 방법을 이용하여 사교육비 지출규모 수준 (분위수)에 따라 영향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생의 성별, 부모의 나이, 방과후 학교 참여시간과 비용은 사교육비 지출규모에 의미있는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가구소득은 사교육비 지출규모의 모든 수준에서 동일하게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그 외, 거주지역, 총사교육시간, 학생의 성적, 부모의 교육정도, 가구의 경제활동주체, 방과후 학교 참여여부, EBS 교재비용은 사교육비 지출 규모의 수준에 따라 다르게 영향을 주었다.

초등학생의 수학 교과 사교육비에 대한 추이적 분석 (Progressive Analysis of Private Education Expenses for Mathematics Subj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소민;이종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243-259
    • /
    • 2021
  • 본 논문은 사교육 현상이 열풍을 넘어 교육 체계의 한 유형으로 인식되는 사교육 고착화시기에 2007년부터 2019년까지 초등학교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학교 급별, 지역별, 교과별, 유형별의 각 요인에 대한 사교육의 변화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초등학교 수학 교과 사교육의 요인 간 추세를 살펴보고, 나아가 학교 수학교육이 교육 수요자의 기대치를 충족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수학 교과의 사교육비는 기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어느정도 일관되게 선형의 완만한 증가 형태의 추세를 보였다. 또한, 초등학교 수학 교과의 사교육비는 다른 여타 교과와 비교해서 외부 변인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공고한 추세를 보였고, 학교 급별, 지역별, 유형별 추세에서도 일관된 변화 형태를 보이고 있었다.

대학생의 영어 사교육 비용에 미치는 개인, 학교, 및 부모/가구요인에 대한 연구 (Examination of Individual, School, and Parent/Household Factors Affecting Private English Tutoring Costs of College Students)

  • 김정은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29-446
    • /
    • 2017
  • The current study aims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private tutoring of college students in Kore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the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survey, which contains items regarding whether or not college students receive private tutoring as well as the monthly costs of private lessons. The current study focuses on private English lessons due to the very low response rates of other types of private tutoring. For the analysis, the 5th wave of KEEP collected in 2008 was selected, and a Heckman selection model was employed, including three categories of variables: individual, school, and parent/household factors. The results have revealed that for the selection model (receiving private English tutoring or not), having received private lessons in high school, gender, and level of satisfaction regarding the respondent's current university were significant. In terms of the outcome model (cost for private English tutoring in college), university admission type (rolling vs. regular), living with parents, school type (4-yr university vs. others), being in debt to cover private lesson fees in high school,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had significant effects. This article also discusses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olicy makers.

예비교사와 고등학교 교사의 인식을 통한 교육대학 입학과 사교육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Admission to University of Education and Private Education through Perceptions of Pre-service Teachers and High School Teachers)

  • 이종학;김유영;윤마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132-143
    • /
    • 2019
  • 본 연구는 교육대학의 입시 제도가 사교육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사교육 경감을 위한 교육대학 입시 제도의 개선 방향에 대해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장에서 대학 입시를 담당하는 대구·경북 지역의 고등학교 3학년 담임교사들과 교육대학 입시를 실제적으로 경험한 D 교육대학 1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교육대학 입학 전형 요소와 사교육과의 관련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교육대학 입시에서 내신 강화가 공교육을 강화하는 효과도 있지만, 내신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강하게 작용하여 오히려 사교육을 강화하는 역작용이 발생할 여지가 있다는 의견이 많았다. 농촌 지역인 경상북도와 대도시인 대구 지역의 전형 요소별 인식 차이가 커서 지역 사회의 특성을 고려한 전형과 각 교육대학이 위치한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입시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정시 전형의 요소별 점수 반영 비율에 대해서 3학년 담임교사들은 수능 점수 반영 비율을 낮추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으며, 이와 함께 면접 반영 비율의 상향을 주장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사교육 감소를 위한 교육대학 입시제도의 개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은 서류 평가의 공정성 확보가 요구되며, 면접의 강화와 함께 나타날 수 있는 사교육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 면접의 방향 및 문항에 대한 공개가 뒤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자녀 양육비와 둘째 자녀 출산의도 (Childrearing Expenditure and the Intension to Have the Second Childbirth)

  • 이성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10호
    • /
    • pp.105-119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expenditures for childrearing and the intention to have the second childbirth applying the recursive equation models.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ore than half of the households with one child did not have an intention to have the second childbirth. Second, about 40% of the household expenditure was spent for childrearing. About 36% of the childrearing expenditure was spent on the childcare and education, and about 64% on purchase of goods and services for child. Third, the variables which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have the second childbirth were child's age, mother's education, father's income, the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and consumption expenditure for child. The intention to have the second childbirth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evel of childrearing expenditure. The implications for the family policies were suggested.

사교육비 결정요인 분석: 전업주부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n determinants of the private education expenses from a viewpoint of housewives)

  • 강성호;임병인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3권3호
    • /
    • pp.543-558
    • /
    • 2012
  • 본 연구는 가계지출 부담을 주고 있는 사교육비의 증가원인을 여성 전업주부의 영향 관점에서 살펴보고 있다. 주요 결론으로는 첫째, 사교육비 정의를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효과를 살펴본 결과, 유형별 모형에 관계없이 여성전업주부는 가구의 사교육비를 증가시키는데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5분위 소득계층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1분위를 제외하고는 2분위 이상 소득계층에서는 소득이 많을수록 가구의 교육비부담에 대한 전업주부 효과가 다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구유형을 근로자 가구와 비근로자 가구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사교육비 부담에 대한 전업주부 효과가 비근로자 가구보다 근로자 가구에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이는 규칙적으로 소득을 벌어들이고 있는 근로자 가구가 비근로자 가구에 비해 전업주부를 통해서 사교육비에 더 많은 투자를 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