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vate Tutoring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4초

The First Curriculum of Mathematics in Korea for the New Millennium

  • Choe, Young-Ha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7권2호
    • /
    • pp.73-90
    • /
    • 2003
  • In the Republic of Korea, mathematics has always been a major blame for huge private expenditures on so-called "private education," which consists of private tutoring and lessons at "private academies of extra curricula." The private spending on out-of-school education often exceeded public expenditures on schools. In 1997, South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reformed curriculum of mathematics along with other subjects to ease the burden of private education. The aim of this curriculum change was to put a boost on individual students' interests, affections and other attributes toward school mathematics. The essential distinctiveness of the new curriculum of mathematics compared with the previous one is as follows: 1. The implementation of so-called "differentiated curriculum" for grades 1-10. 2. 30% reduction of contents in mathematics and the reconciliation of contents. 3. Elective subjects for mathematics for grades 11 and 12. 4. More uses of technology in mathematics teaching. Firstly, we examine the background of the curriculum reform and analyze the new curriculum according to awareness of educational administrators, teaching environments of schools and readiness of mathematics teachers. Then we find out what kinds of problems it has and look for some suggestions for remedies.

  • PDF

아동의 수면시간과 수면시간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족특성과 아동의 생활시간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children's sleep duration and sleep time poverty)

  • 고선강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1권3호
    • /
    • pp.141-159
    • /
    • 2017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that influence sleep duration and sleep time poverty in terms of family characteristics, child characteristics, and time use. A series of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on children's time use in two-parent families based on the 2013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One major finding is that children's sleep duration and the probability of having a sleep time poverty are related to their mothers' job classification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uration of sleep time and the sleep time poverty are similar in terms of family characteristics and children's time use. The mother's job classification, family income, number of younger siblings, number of older siblings, children's private tutoring hours, computer game hours, and TV hour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duration of sleep time and the probability of having a sleep time poverty. However, the factor with greatest influence on sleep time duration is private tutoring hours and the factor most affecting sleep time poverty is computer game hours. The mother's job classification is a relatively powerful determinant for predicting her children's sleep duration and sleep time poverty.

Long-Term Historical Significance of Private Educ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 Seong-Gon KIM
    • 한류연구
    • /
    • 제2권2호
    • /
    • pp.1-8
    • /
    • 2023
  •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connections and effects of these historical events on South Korea's education system. The research seeks to illuminate private education's complex history and the complex factors that have shaped it by examining these historical trajectories. After the Korean War in the mid-20th century, South Korea went from agrarian to industrial, which shaped private education. Unparalleled economic growth in the 1960s and 1980s altered schooling. South Korea quickly became an industrial powerhouse, and education became crucial for families seeking socioeconomic advancement. The growing middle class, believing education was the key to prosperity, demanded more extra education. South Korean private education's fourth major event occurred during the socioeconomic upheavals of the 1960s-1980s. Prior studies explain how the fast transition from agrarian to industrial society made schooling essential for families seeking upward mobility. Due to the demand for extra education, private tutoring and specialist hagwons flourished. In summary, this study insists that the effects of historical events on South Korean private education demonstrate the interconnection of cultural, economic, and sociological aspects. Educational practitioners must comprehend the historical backdrop, recognize the lasting impact of past events, and use literature-based tools to navigate this complex landscape.

온라인과 오프라인 과외교육의 비용-효과 분석 (Cost-Effectiveness Analysis on On-line and Off-line Extra Curricula Education)

  • 김병주;김선연;김정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1권2호
    • /
    • pp.199-21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st-effectiveness analysis on on-line and off-line extra-curricula education(ECE). Based on a review of relevant literature, on-line ECE is defined as internet based learning, and off-line ECE is defined as on-site learning out of school such as private cram schools and private tuto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xty nine percent of the subjects were received ECE. Off-line ECE is more dominant than on-line ECE. Second, cost for off-line ECE is more expensive than on-line ECE. Third, off-line ECE is more effective than on-line ECE, when cost is ignored. Fourth, on-line ECE is more cost-effective than off-line ECE.

학업성취도 향상 요인에 대한 청소년의 지각 (Korean Students' Attributions on Academic Achievement)

  • 황매향
    • 초등상담연구
    • /
    • 제7권2호
    • /
    • pp.117-129
    • /
    • 2008
  • 이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자신의 학업과정을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학교공부를 열심히 한 정도, 사교육을 받는 시간, 개인공부시간이 자신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는지 분석해 보았다. 한국청소년패널 1차년도 자료와 3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중학교 2학년 3,449명과 고등학교 1학년 3,125명의 응답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로 첫째, 학교수업를 열심히 한 정도, 사교육 수강시간, 개인공부시간의 학교 성적 향상 효과는 5점 리커트 척도에서 3점과 4점 사이의 평균을 보이는데, 중학생과 고등학생 모두 사교육, 개인공부, 학교수업 순으로 효과적이라고 지각하고 있었다. 둘째, 학교수업를 열심히 한 정도, 사교육 수강시간, 개인공부시간에 따라 각각의 학교성적 향상효과에 대한 지각이 달라지는가에 대한 분석에서는 학교수업를 열심히 한 정도, 사교육 수강시간, 개인공부 시간 각각과 학교성적 향상효과에 대한 지각은 정적 상관을 보이는데, 학교수업, 개인공부, 사교육 순으로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교육 수강시간과 학교성적 향상효과의 지각과는 상관계수가 .12 이하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셋째, 실제 학업성취도와의 상관분석에서도 동일한 경향성이 나타나는데, 학교수업이 개인공부보다 학교 성적과 더 높은 상관을 보이고, 사교육은 상대적으로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동기 이론이 적용된 e-Learning system의 교육적 실천: 흥미와 SDT를 중심으로 (The Educational Implementation of e-Learning System Applying the Theory of Motivation - With Focus on "Interest" and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 방미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69-79
    • /
    • 2018
  • 본 연구는 '흥미'와 '자기결정성 이론' 이라는 동기 이론을 체계적으로 접목한 초등 영어 e-Learning 시스템(www.englishbuddy.kr)을 개발하고, 이를 3,100개 학원에서 적용해 본 후 실제로 학습자의 내적 동기가 향상되었는가를 측정한 것이다. 동기 전략이 적용된 이러닝 시스템으로 학습한 학습자 328명과 다른 영어 학습 프로그램 학습자 150명의 설문지 조사 분석 결과, 동기 전략이 적용된 이 러닝 시스템이 학습자의 '흥미'와 '심리적 욕구'를 만족시키고 있다는 것이 밝혀짐으로써 '학습자의 동기를 높이는 동기 전략'이 구체화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e-Learning 환경에서 학습자의 동기가 높아지는 특징이 명확해짐으로써, e-Learning 학습을 발전시키고, 또한 '흥미'와 '자기결정성 이론' 이라는 동기 이론을 체계적으로 접목한 e-Learning 시스템을 실제로 구축하고, 3,100개 학원, 16,000명 학습자에게 적용시켜 본 매우 실증적인 연구라는 점에서 그 연구 의의가 있다 하겠다.

중학생의 방과후 수학교과 학습활동과 학업성취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fter-School Learning Activities an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of Mathematics in Middle School)

  • 이윤자;김응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323-340
    • /
    • 2007
  • 본 연구는 방과 후 활동의 현황과 문제점을 조망하고 대다수의 학생들이 수학교과의 방과 후에 실시하고 있는 학습유형에 대한 분석과 함께 학원수강 및 사설 과외와 같은 사교육의 효율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현재의 교육체제 속에서 수학교과에서 이루어지는 방과후 학습의 방향과 방과후 학습활동이 학교 수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를 토대로 공교육이 보다 정상화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실제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수학교과를 중심으로 방과 후 학습활동의 유형을 크게 학원수강, 과외, 자율학습으로 분류하고, 학생들의 3학기동안의 학업성적을 비교 분석하여 학교 수업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연구하였다.

  • PDF

수능 인터넷강의 선호요인 사례분석 : 학업성취 수준을 중심으로 (Understanding Major Factors in Taking Internet based Lectures for the National College Entrance Exam according to Academic Performances by Case Studies)

  • 임걸;정영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477-491
    • /
    • 2010
  • 본 논문은 고등학생이 선호하는 수학능력시험 대비 인터넷 강의의 유형과 이유를 반구조화된 질적 인터뷰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업성취도가 높은 수준 집단이 인터넷 강의에 대한 관심도 및 활용도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학업성취도가 낮은 수준 집단, 그리고 중간 수준 집단의 순서였다. 한편, 학업성취도가 높은 수준 집단은 사교육 업체에서 운영하는 인터넷 강의를 선호하였으며, 다른 두 집단은 상대적으로 EBSi를 선호하였다. 인터넷 강의에 지출되는 비용은 학업성취도 상 중 하 집단별로 전체 사교육비 지출대비 각각 57%, 2%, 16%였는데, 이는 거주지역과도 상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제언으로,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 공교육 인터넷 강의의 질적 향상, 그리고 인터넷 강의와 학교교육의 연계성이 강조되었다.

사교육 참여가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A Longitudinal Study on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Private Education on Mathematics Achievement : For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 김용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3권4호
    • /
    • pp.207-227
    • /
    • 2020
  • 우리나라의 사교육 수요는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학년이 낮을수록 사교육의 참여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교육 효과에 대한 실증적인 검증을 위해서는 장시간에 걸쳐 추적 조사한 종단자료를 통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서울 교육종단연구의 2013년도(초등학교 4학년)부터 2017년(중학교 2학년)까지의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수학 사교육 참여시간과 수학 학업성취도의 종단적인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학생들이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수학 학업성취도가 유사하게 변화는 그룹으로 나누어 각 그룹별 수학 사교육 참여 시간의 변화에 따른 수학 학업성취도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전체 학생들의 수학 사교육 참여시간은 초등학교 5학년부터 중학교 2학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룹별 수학 사교육 참여시간은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그룹별 사교육 효과는 집단과 시기에 따라서도 다르게 나타났다.

기혼 여성의 노동공급과 자녀 교육 (The Effects of Children in School on Married Women's Labor Supply)

  • 김대일
    • 노동경제논집
    • /
    • 제31권2호
    • /
    • pp.73-102
    • /
    • 200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혼 여성의 노동공급에 있어서 취학 자녀가 지니는 효과에 대해 분석한다. 출산 및 저연령 자녀의 효과에 초점이 맞추어진 기존의 기혼 여성 노동공급 논의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본 연구는 고학년 자녀의 효과에 초점을 맞춘다. 고학년 자녀가 기혼 여성의 노동공급을 제약할 가능성은, 최근 자녀 교육에 있어서 어머니의 역할이 강조되는 사회적 경향과 연계되어 생각할 수 있다. 본 결과에 의하면 고학력 기혼 여성일수록, 그리고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취학 자녀로 인해 노동공급이 제약되는 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