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vate Provided Infrastructure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4초

Security Model for Pervasive Multimedia Environment

  • Djellali, Benchaa;Lorenz, Pascal;Belarbi, Kheira;Chouarfia, Abdallah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1권1호
    • /
    • pp.23-43
    • /
    • 2014
  • With the rapidity of the development on electronic technology, various mobile devices are produced to make human life more convenient. The user is always in constant search of middle with ease of deployment.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infrastructure and application with ubiquitous nature gets a growing keen interest. Recently, the number of pervasive network services is expanding into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To get desired services, user presents personal details about this identity, location and private information. The information transmitted and the services provided in pervasive computing environments (PCEs) are exposed to eavesdropping and various attacks. Therefore, the need to protect this environment from illegal accesses has become extremely urgent.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nonymous authentication and access control scheme to secure the interaction between mobile users and services in PCEs. The proposed scheme integrates a biometric authentication in PKI model. The proposed authentication aims to secure access remote in PCE for guaranteeing reliability and availability. Our authentication concept can offer pervasive network service users convenience and security.

  • PDF

교육정보화 정책에 대한 정부부처와 민간의 지원 내용 분석 (Analysis of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for the Educational Informatization Policies)

  • 김자미;이승진;이원규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85-93
    • /
    • 2010
  • 교육정보화 관련 연구는 주로 교육정보화의 수준 측정이나 효과에 관한 것들이었으며 타 부처나 민간 등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정보화 관련 정책이나 정책 지원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3단계 교육정보화가 마무리되는 시점에서 타 부처 및 민간에서 진행하고 있는 교육정보화 지원 내용을 분석하여 교육정보화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정부에서는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보화 역기능 대응 사업, 정보격차 해소 사업 등 교육정보화 활용측면 강조의 정책들이 추진되었다. 반면에 민간은 낙후 지역 정보화 인프라 구축 사업, 저소득층에 대한 인프라 및 교육 지원 사업 등을 추진하였다. 따라서 교육정보화 사업추진에서 인프라에 대한 지속적인 유지보수나 정보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VPN 환경에서 Mobile IPv6 노드의 이동성 제공을 위한 AAA 기반의 인증 (Authentication using AAA for the Mobility Support of Mobile IPv6 Nodes in VPN Environments)

  • 김미영;문영성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3권3호
    • /
    • pp.218-230
    • /
    • 2006
  • 기업의 서비스 망은 DMZ(De-Militarized Zone)를 기준으로 인터넷과 인트라넷으로 분할된다. Mobile IP 의 설계 철학은 망의 토폴로지 및 서비스 형태와 무관하게 지속적인 이동성 제공을 위한 투명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기술 사양에서는 이러한 사설망으로의 원활한 로밍을 제공하지 못한다. 즉, 로밍 시 보안 정책 수용을 위한 다양한 접근 방법을 수용하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에 있는 기업 사용자가 VPN(Virtual Private Network) 게이트웨이를 통한 인트라넷 엑세스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AAA(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 인프라 기반의 인증 및 세션 키 교환에 관해 기술하고 제안된 방식에 대한 성능 분석결과를 제시한다.

UCI 디지털식별체계시스템의 사용자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User Satisfaction for the UCI Digital Identifier System)

  • 임규건;김재훈;백승익;박승범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97-218
    • /
    • 2010
  • Korean Government has invested a lot of efforts on digital contents industry. It believes that the digital contents industry enables Korea to regain the reputation of the most powerful IT country. Among its various efforts to promote the digital contents industry, a Digital Contents Identifier System, called UCI(Universal Contents Identifier), has been developed and deployed. UCI has provided a critical infrastructure for digital contents production and distribution. Thanks to Korean Government's efforts, users (companies and individuals) have currently registered 3.8 million digital contents through 25 RA organizations. Although the number of registered contents has been increased rapidly, many organizations hesitate to adopt the UCI system due to the lack of visible and short-term returns from the UCI system. Thus, this research tries to explore factors which affect UCI user satisfaction. This research finds that user's awareness, information quality, and service quality are the critical influencing factors toward UCI user satisfaction. In addition, this research finds that the critical influencing factors in public organizations are different from the critical influencing factors in private organizations. These findings hopefully provide useful guidelines for disseminating the UCI system widely.

우리나라 공공의료 강화를 위해 공공의대는 꼭 필요한가?: 누가, 왜 공공의대를 만들려 하는가? (Is a New Public Medical School Linked to Compulsory Service Necessary to Strengthen Public Health Care in Korea?: Who Wants to Build a New Public Medical School Linked to Compulsory Service? And Why?)

  • 한희철
    • 의학교육논단
    • /
    • 제24권1호
    • /
    • pp.18-34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background of the controversial attempt to establish a new public medical school linked to compulsory service as a means of strengthening public healthcare in Korea, and to raise anticipated problems with possible solutions. In Korea, healthcare is predominantly provided by the private sector focused on medical care, rather than public healthcare, even under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The government has been mainly in charge of public health and unmet medical services from a residual perspective, but health inequalities still exist. To resolve this issue, the government created the concept of public health and medical service (PHMS) from a universal perspective and tried to strengthen the infrastructure of public healthcare and to foster core PHMS doctors by establishing a new public medical school linked to compulsory service in medically vulnerable area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ality and concept of the new public medical school planned by the government, and identified problems such as the possibility of obtaining accreditation and evaluation before its establishment, the side effects of dividing doctors' roles, the waste of huge amounts of resources, and insensitive policies. In conclusion, in order to resolve health inequalities in Korea, we need to train doctors through medical school education that strengthens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doctors along with strengthening public healthcare infrastructure, and to provide a better environment for doctors working in medically vulnerable areas through sophisticated policies.

해양 정보 빅데이터의 대국민 서비스 제공 방안: 정부기관 서비스의 사용자 요구 사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ublic Service of Big Data in Ocean Information -Focusing on user requirements of government services-)

  • 김승민;박병용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41-255
    • /
    • 2020
  • 우리나라는 3면이 바다로 해양을 활용하고 지키는 것이 국력의 근간이 된다고 볼 수 있다. 최근 IOT와 5G망에 보급되며, 통신 인프라를 바탕으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려고 하는 시도가 민,관에서 계속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부 기관 'K' 에서 제공하는 해양 정보 서비스(KOXX 웹서비스, KBH 웹서비스 AJH 앱서비스)의 서비스 개선을 목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국민들의 해양정보 필요성에 대한 조사와 정보 수집에 주로 사용하는 사이트를 조사하였다. 아울러 정부기관 'K'에서 제공하는 KOXX 웹서비스, KBH 웹서비스 , AJH 앱서비스의 사이트의 UX, UI 문제점과 개선점에 대한 설문조사를 이어서 진행 하였다. 정부기관 'K' 의 해양정보 서비스에 대한 인지도와 사용 경험을 확인하였다. 이후, FGI의 전 단계로 다양한 사용자들에게 실제 서비스를 이용하게 한 후의 사용성도 조사하였다. 여기서, 단순히 제공 서비스 홈페이지 및 어플리케이션의 디자인만을 보고 평가하는 것이 아닌 실제 사용자의 해양정보 수집에 대한 경험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사용자들은 접근성과, 정보의 신뢰도, 제공매체, 제공 정보의 중요도 등 해양 정보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양한 연령대와 직업군을 가진 사용자들이 요구하는 해양 관련 데이터와 정보제공의 방안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LX의 정보지도 서비스를 위한 주제선정 및 시범제작 (A Study on the Theme Selection and Prototype Production for the LX Information Map Service)

  • 정동훈;배상근;이성규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5권1호
    • /
    • pp.123-135
    • /
    • 2015
  • 공간정보에 대한 수요자의 높은 기대수준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수요자가 원하는 다양한 주제에 따라 분석한 정보를 지도의 형태로 제공하여야 한다. LX 는 정부와 민간의 중간자로서 정부정책을 지원하고 공간정보산업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정보인프라를 구축하는 역할을 담당하여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LX 내외의 공공정보를 기반으로 다양한 시계열 자료를 융복합하고 빠르게 변화되는 국토공간 현황을 시공간적으로 분석하여 수요자 맞춤형 정보로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주제도 제작관련 선행 연구와 국내외 주제도 제공 현황을 살펴보고 정보지도를 왜 LX가 제작해야 하는 이유를 제시하였다. 또한 3개 분야의 주제를 선정하고 주제별로 데이터 가공수준과 분석정도에 따라 주제를 세분하고 그 제작방법과 표현방법을 제시하였다.

국가표준식품성분표 제9개정판의 구축 과정 및 주요 특징 (Development of 9th Revision Korean Food Composition Table and Its Major Changes)

  • 박수희;김세나;이상훈;최정숙;최용민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52-365
    • /
    • 2018
  • Objectives: The Korean Food Composition Table (KFCT) was first published in 1970, and has since been updated every five years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troduce the development strategies, features, and challenges of the $9^{th}$ revision of the KFCT. Methods: Due to the increasing demands of nutrient database users and generators, the RDA started a new research project in 2013 to improve the quantity and quality of data for the $9^{th}$ revision of the KFCT. Over 1,000 food items frequently consumed in Korea were selected as key foods using the results of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bout 200 raw materials and processed food item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every year. Target nutrients that were analyzed by collaborative labs, such as, sugars, selenium, iodine, and biotin, were increased from 22 to 43. Analytical sample handling procedures and data quality evaluation systems were also established in collaboration with 10 contracted labs. Data were evaluated for data quality according to the FAO/INFOODS, CODEX, and AOAC guidelines. Results: The $9^{th}$ revision contains data on 3,000 food items and up to 43 and 140 food nutrients for the printed table and the excel database file, respectively. Overall, 1,485 data items were newly added, 973 of which were provided by the RDA and 512 were cited from foreign nutrient databases. The remaining 1,515 food items were maintained as in the $8^{th}$ revision. Conclusions: The KFCT provides the basic infrastructure for food and nutrition policy, research, and dietary practice in South Korea. The use of the KFCT has increased exponentially in the past few years in both public and private sectors; accordingly, increased efforts should be paid to the preparation, improvement, and maintenance of KFCT.

우리나라 신체활동 및 운동사업에서의 인구집단 전략 (Population Strategy for Physical Activity in Korea)

  • 이무식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0권2호
    • /
    • pp.227-240
    • /
    • 2005
  • 현재 건강증진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진행 중으로 학자마다 정의가 다르고 동일한 학자도 문맥에 따라 다르게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건강증진 내용의 스펙트럼이 행태변화만을 포함하는 가장 좁은 의미수준부터 지원체계, 질병예방, 건강보호 등을 포괄하는 가장 넓은 의미까지 다양하다. 건강증진의 개념을 어떤 것으로 받아들이든 정책, 개인 기술, 환경변화 등의 측면에서 지역사회(community)가 인간 집단을 포괄하고 있다는 점에서 건강증진의 가장 중요한 장이라는 것은 별로 이론이 없는 것 같다. 건강증진의 개념과 정의가 형성되어가는 시점에서 몇가지 주요한 논란점들이 있는데 그중에서도 건강증진의 접근전략에서 인구집단 전략과 고위험군 접근전략 간의 대립점이 가장 첨예한 논란중의 하나이다. 정부의 정책, 조직의 우선순위, 전문인의 행태 등이 각 개인의 노력과 같이 중요하거나 혹은 더 중요하다는 것이 이러한 입장이며, 건강과 행태에 영호t을 미칠 수 있는 사회체계와 환경에 대해 보다 큰 의사결정권을 가지는 것이 건강증진을 위해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이유로 건강증진을 논함에 있어 지역사회 전체를 통한 접근이 점점 더 강조하고 있다. 지역사회 건강증진 프로그램은 지역사회자원을 효율적 활용을 통한 보다 강화되고, 통합된, 포괄적, 협력적으로 수행되어져야한다. 이러한 방향은 1986년 오타와 헌장에의 건강증진의 정의에서 살펴볼 수 있으며, 광범위한 건강의 결정요인에 대한 접근이 필수적임을 알 수 있다. 신체활동은 건강의 주요한 결정요인이다. 인구집단 전략은 개인에 대한 신체활동 교육하는 것이 충분하지 않음을 제안한다. 개인 수준의 행태변화도 중요한 것이지만 이에 대한 집단적 변화를 불러줄 환경적 변화를 위한 전략과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건강증진을 위한 신체활동 인구집단 전략은 사회적, 물리적 지지환경을 강화하고, 국가, 광역 및 기초자치 단체 수준에서 다양한 지역사회자원을 연계, 통합하여야 한다. 지속적인 공공교육 및 사회마케팅이 지역사회 신체활동 조직 및 기관, 산업장, 학교 등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모든 주민들이 신체활동에 대한 관심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협동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정부와 기관 및 시민들은 지역사회차원의 운동개념으로 주최하고 참여하여 사회적 규범화 작업에 동참하여야한다. 기본적으로 적절하고 충분한 재원의 지원, 인적자원의 개발, 정책 및 입법이 제공되어야한다. 또한 국내외적으로 연구개발과 지식의 공유 및 교환이 요구된다. 한국에서는 전략적 우선순위가 높은 신체활동 프로그램의 범주를 지역 보건소를 기반으로 한 환경적 지원, 생애주기별 접근, 고위험군 및 질환군 접근 등으로 구분하였다. 지역사회에 기반한 신체활동 핵심 프로그램으로 하부구조 구축, 지원적 환경 제공, 지역사회 캠페인, 건강증진 교육 및 홍보, 노인 및 비만인을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 그리고 운동처방 프로그램 등을 포함하였다. 신체활동증진 및 운동사업은 사회적, 물리적 지원환경 조성 등을 중심으로 전개하며, 보건소를 중심으로 한 운동사업은 지역 공공기관 및 민간기관 등과 연계하여 프로그램을 연동하며, 홍보 및 교육은 지역의 운동단체 및 기관, 각급 학교 등과 협력하여 운동에 대한 관심을 고취하고 신체활동 및 운동을 생활화하는 프로그램을 시행토록 한 전략을 지속, 강화토록 하여야 할 것이다.

  • PDF

영국의 포용적 도시재생을 위한 공원녹지 정책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UK Park and Green Space Policies for Inclusive Urban Regeneration)

  • 김정화;김용국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78-9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포용적 도시계획과 재생을 위한 공원녹지 정책의 개발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국내 도시공원의 조성 현황 예산 법률 제도를 검토하고, 도시공원의 포용성 수준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점과 한계를 드러냈다. 첫째, 1인당 공원 면적과 녹지율과 같은 공급자 중심의 지표를 지니는 도시공원 제도는 양적 확충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둘째, 도시공원의 분포는 불균등하고, 공원녹지의 질적 수준은 취약계층 거주지일수록 낮다. 다음으로 영국 중앙정부와 런던, 에든버러, 카디프, 벨파스트, 리버풀 등 다섯 개 지방정부를 중심으로 사회경제적 불평등 완화와 포용성 확대를 위한 공원녹지 정책의 수립 배경과 내용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을 밝혔다. 사회경제적 불평등 해소와 포용적 사회 건설의 필요성에 대한 정부의 인식, 물리적 재개발에서 사회경제적 재생으로 도시재생정책 방향의 변화, 공원녹지와 불평등 건강 웰빙의 상호관계에 대한 조사와 연구가 정책 수립의 배경으로 작용하였다. 그 결과, 영국 국토계획의 목표에 포용적 사회 만들기가 반영되었으며, 여러 지방정부의 공원녹지 정책에 박탈 지역과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한 공원녹지 공급과 질적 개선 전략이 포함되었다. 또한 공원 결핍 분석 도구와 공원의 질적 평가 방법이 개발되었다. 이와 함께 각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별도의 기금 마련과 매칭 펀드 활용과 같은 다양한 재원 프로그램, 그리고 정부 조직 간 협업 기구 설립과 민간 조직의 적극적인 참여와 활성화와 같은 파트너십 구축 방안이 마련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공원녹지의 불평등과 포용성에 대한 조사와 연구 수행, 공원서비스의 질적 수준 향상전략 개발, 정책 필요 지역 분석도구 개발, 도시재생을 위한 공원사업 유형 개발, 다양한 파트너십 구축과 지원제도 마련 등, 다섯 가지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