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ncipal leadership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4초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역량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hip competency and job satisfaction of the childcare center principal: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 김희정;임유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202-210
    • /
    • 2021
  • 본 연구는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역랑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가 매개효과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G시 소재의 어린이집 원장 2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역량은 조금 높게, 직무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는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역량과 직무만족도는 정적상관관계를, 원장의 직무스트레스는 리더십역량 및 직무만족도와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역량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며, 직무스트레스는 리더십역량과 직무만족도 사이에서 부분매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공적인 어린이집 운영을 위해서는 원장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직무만족도를 높여 긍정적인 리더십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정책적, 제도적으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Factors Affecting Work Performanc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 Empirical Study from Indonesia

  • SUPANTO, Fajar;LEGOWO, Ignatius Bendu Risa Putra;FIRDAUS, Muhammad Rizki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7호
    • /
    • pp.145-152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impact of the principal's democratic leadership style, teacher competency, work discipline, and work environment on teacher performance during the pandemic. Using the proportional random sampling strategy, a sample of 468 respondents consisted of kindergarten teachers, elementary school teachers, junior high school teachers, junior high school teachers, and high school/vocational school teachers. The study revealed that the principal's democratic leadership style, teacher competence, work discipline, and work environment substantially impact teacher performance. However, the principal's democratic leadership style does not affect teacher performance, whereas teacher competence, work discipline, and work environment have a minor impact on teacher performance. Furthermor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work discipline is the most critical variable influencing teacher performa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principal's democratic leadership style, teacher competence, work discipline, and work environment have a positive impact on teacher performance during the pandemic. During the COVID-19 pandemic, work discipline i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fluencing teacher performance. Considering that democratic leadership has no effect on teacher performance and that this leadership style is widely used by school principals in the world of education, it is assumed that there is no effect on teacher performance.

유아교육기관 시설장의 변혁적리더쉽과 거래적리더쉽, 교사의 주관적 삶의 질 및 조직헌신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Principal's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Teache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eacher in Kindergarten and Day Care Center)

  • 권기남;민하영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857-867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principal's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teache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eacher in kindergarten and day care center based on the survey data from 203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 and day care center in Kyoungbuk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imple Regression, Multiple Regression in SPSS Win program(15.0 vers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incipal's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each exerted positive effects on teacher's subjective quality of lif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teacher's subjective quality of lif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inally, each effect of principal's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on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mediated by teacher's subjective quality of life.

Charter School Principals' Perception 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ractices

  • Lee, In-Hoi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7권4호
    • /
    • pp.70-76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rter school principals' perception o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ractices in New York State. The data generating sample consisted of 44 charter school principals.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ractices of charter school principals were in the moderate to high categories, and the greatest gap was on Inspiring a shared vision leadership practice. Seco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 leadership practices and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gender, age, ethnicity, and level of education of principals. However, a positiv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both the Modeling the way and Encouraging the heart leadership practices and the educational level of charter school principals.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Inspiring a shared vision leadership practice of charter school principals and prior experience as a school principal.

뉴 노멀(New Normal) 시대 초등학교 교장의 역할 연구 (A study on the role of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in the New Normal era)

  • 양지혜;박정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185-194
    • /
    • 2021
  • 이 연구는 COVID-19로 인한 학교 교육의 혼란스러운 상태를 파악하고, 국가적 위기에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한 학교장의 역할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부산·대구·대전·제주지역 초등학교 교장 34명을 대상으로 COVID-19에 대처하기 위해 학교장에게 어떤 리더십이 필요한지를 1차 SNS를 통해 개방형 문항으로 설문을 하고, 2차는 전화를 통해 심층 면접을 진행했다. 뉴노멀 시대에 교장의 리더십은 위기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능력과 신속한 예산 확보 및 투입, 교원 간 소통 촉진으로 발생할 수 있는 교육활동 지원, 수업 지원, 문제 예방 등에 대한 통찰력 있고, 책임 있는 리더십이 필요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COVID-19과 같은 위기 상황에서 학교가 안정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학교장 역할을 정립하고 안전한 환경에서 학생의 배움이 일어나는 교육 환경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국가적, 교육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초등교사의 지각된 교사효능감, 학교장 지도성, 동료교사 태도 인식의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교직만족도 차이 (The Relations of Teacher-Efficacy and Perception of Principals' Leadership and Peer Collaboration across Job Stress and Satisfaction)

  • 연은모;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482-49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교사효능감, 학교장의 지도성, 동료교사에 대한 인식에 따른 잠재계층을 분류하고, 분류된 잠재계층에 따라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교직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8차년도(2015년도)자료 교사대상 설문지의 1.031명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초등교사의 교사효능감, 학교장의 지도성, 동료교사에 대한 인식에 따른 잠재계층을 확인하기 위해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사용하였으며, 확인된 잠재계층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교직만족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다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교사의 교사효능감, 학교장의 지도성, 동료교사에 대한 인식에 따른 잠재계층은 '낮은 수준의 개인 환경 적응집단', '중간 수준의 개인 환경 적응집단', '높은 수준의 개인 환경 적응집단'의 세 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세 개 유형에 따라 교사효능감, 학교장의 지도성, 동료교사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높은 수준의 개인 환경 적응집단이 중간과 낮은 수준의 개인 환경 적응집단보다, 그리고 중간 수준이 낮은 수준의 개인 환경 적응집단보다 교사효능감, 학교장의 인화적 지도성과 과업적 지도성, 동료교사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확인된 잠재계층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와 교직만족도에 차별적인 특징이 나타나는지 확인한 결과, 높은 수준의 개인 환경 적응집단이 중간과 낮은 수준의 개인 환경 적응집단보다, 그리고 중간 수준이 낮은 수준의 개인 환경 적응집단보다 직무스트레스는 낮고, 교직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교직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효능감, 학교장의 인화적 지도성과 과업적 지도성, 동료교사에 대한 인식의 개별특성을 확인하기 보다는 교사 개인의 프로파일을 이해하고 프로파일에 기초한 맞춤형 도움을 주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보육교사 직무만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Analysis of The Main Causes of The Effect of The Job Satisfaction to The System Absorption of The Childcare Teachers)

  • 김윤재;남궁선;강영숙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4호
    • /
    • pp.135-144
    • /
    • 2014
  •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서의 보육교사 역할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확산 및 시설이 확대되는 시점에서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조직몰입에 대해 스스로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서울지역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직무만족 자기인식 요인과 원장의 리더십 자기인식 요인, 인구통계학적 특성, 직장관련 특성 요인들이 조직몰입(정서적 몰입, 규범적 몰입, 지속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직무만족, 개별적 고려, 지적 자극, 동기부여, 연령, 학력, 시설유형, 시설규모, 직급 등이 조직몰입에 대한 자기평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육교사는 원장의 지적 자극을 올리는 리더십, 동기부여를 제공하는 원장의 리더십, 교사 개인별로 배려를 해주는 원장의 리더십을 접할수록, 그리고 보육교사 개인이 인지하는 직무만족 자기평가가 높을수록 조직몰입에 반응정도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어린이집 원장은 보다 적극적 및 교사 배려적 운영을 위한 리더십을 펼치는 한편, 보육교사들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한 다양한 경영서비스 제공 및 개발이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 PDF

치과위생사의 서번트 리더십 지각수준이 직무만족, 조직 몰입 및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Servant Leadership Perception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Dental Hygienists)

  • 김은숙;유승흠;손태용;박은철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16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mpacts of servant leadership perception of dental hygienis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s strong predictors of turnover rate. Thes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 from April 1 through April 30, 2011, to 383 people among those in the field of dental hygiene affairs, working for nine dental hospitals or twenty-four dental clinic under two dental university hospital in capital area. The principal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below; First, servant leadership perception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lso servant leadership perception of dental hygienists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Secon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dental hygienists has a negative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Third, servant leadership perception of dental hygienists were revealed as a meaningful effects one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they didn't have meaningful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However, we can understand that servant leadership perception have in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via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managers of dental hospital and clinic should perceive that the consistent management effort to improve servant leadership can increase job satisfaction, and finally will increas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t means the loyalty to organization. In short, hospital operators and managers should examine each manager's qualification, type and style of leadership in the hospital organization, and they must develop lasting programs for effective education and training for developing characteristics of leadership are in needed to have managers with appropriate managerial mind to respective post and status.

  • PDF

리더십유형이 병원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Type of Leadership on Hospital Organizational Member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s)

  • 정용갑;하호욱;손태용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4-48
    • /
    • 2003
  • It is important how the leader leads the organizational members with leadership appropriate to environment changes as the leader has great influence on the management of hospital organization. Thes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questionnaire surveyed, from February 14 through February 28, 2003, to 218 people among those in the field of doctorship, management administration, nursing, technology, medical engineering, management engineering, and general affairs, working for three hospitals under S medical foundation in Pusan. The principal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below : 1. Type of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had positive correlation in terms of both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with former having more relation than the latter. 2. Type of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positive correlation in terms of intellectual stimulus and situational rewards, having little relation statistically. 3. Type of leadership and turnover intentions had negative correlation only in individual consideration, situational rewards, and exceptional management, showing that transactional leadership had more relation tha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4. In terms of leadership and its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more correlation than transactional leadership. But transactional leadership also turned out to have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Wh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used, turnover intentions were lower than when transactional leadership used. However, both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had negative correlation to turnover intentions. 5. Effect that type of leadership according to job classification, status, age, and academic career ha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s was differed by those factors; especially, in the occupation of doctor, both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had positive correlation to turnover intentions. 6. Regression analysis on the factors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s showed that higher age had positive correlation to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terms of socio-demographical features and that the more leadership was used for charismatic and situational rewards and the less leadership was used for intellectual stimuli, the higher organizational performance was likely. In short, hospital operators and managers should examine each manager's qualification, type, and style of leadership in the hospital organization, and they must develop lasting programs for effective education and training for developing characteristics of leadership are in needed to have managers with appropriate managerial mind to respective post and status. It should be kept in mind that manager's leadership especially has great effect on members' goal-setting, goal-achievement,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s as it is a decisive factor of organizational members' attitude and motivation.

  • PDF

중학교 교사의 분산적 리더십이 교사효능감과 교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s of Distributed leadership on Teacher efficacy and Teaching commitment in middle school teacher)

  • 박진희;유평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7호
    • /
    • pp.467-47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교사의 분산적 리더십이 교사효능감과 교직헌신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전체적인 영향력의 크기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J지역 중학교 교사 460명을 대상으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t/F 검증을 하고, 일원변량분석과 Duncan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상관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분산적 리더십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인식 수준은 여교사, 평교사, 21년 이상 교사, 사립학교 교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분산적 리더십과 교사효능감 및 교직헌신도 간에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교사효능감이 교직헌신도보다 높은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셋째, 분산적 리더십이 교사효능감 및 교직헌신도 전체의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41%). 결론은 분산적 리더십의 하위요소가 교사효능감과 교직헌신도와의 하위요소에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다. 분산적 리더십의 하위요소가 교사효능감의 자기조절효능감과 자신감 요소, 교직헌신도의 교육애 요소를 긍정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분산적 리더십의 하위요소가 교사효능감과 교직헌신도에 미치는 설명력은 학교상황이 27%, 학교장의 리더십이 28%, 교사의 리더십이 28%, 교사의 상호작용이 28%로 나타났다. 추후 교사들의 능력을 학교에서 다양하게 수행할 수 있는 교육환경개선을 위한 교육정책수립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