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mary molars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028초

계승치 결손을 동반한 다발성 저위교합 유착 유구치의 관리 (MANAGEMENT OF MULTIPLE INFRAOCCLUDED PRIMARY MOLARS WITHOUT PERMANENT SUCCESSORS: A CASE REPORT)

  • 박지현;송제선;김성오;손흥규;이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91-398
    • /
    • 2011
  • 저위교합(infraocclusion)은 혼합치열기에 유구치에서 호발하며, 이것은 대부분 이환된 치아의 유착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유착된 저위교합 유구치의 치료 방법은 크게 치아의 보존 및 관찰, 수복, 발거로 나눌 수 있다. 계승치가 존재하고 경도의 저위교합을 가진 유구치의 경우 자연탈락을 기대할 수 있으나, 계승치가 결손되어 있고 저위교합도 점차 진행될 경우 이환된 치아의 발거가 필요할 수 있다. 특히 유착으로 인한 수직적인 치조골 소실이 염려될 경우, 추후 보철치료를 위해 환아의 최대성장기 이전에 유착치의 발거를 시행하여야 한다. 본 증례에서는 만 6세의 다발성 유착 유구치 및 저위교합과 계승치 결손을 보이는 환자에서 인접부의 성장에 따른 치조골의 수직적 결손이 심화되는 것을 막고 정상적인 치조골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최대성장기 이전에 유착치를 발거 후, 장기간에 걸쳐 추적 관찰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탄성의치를 이용한 유구치 조기 상실의 치료 (Management of Premature Loss of Primary Molars with Flexible Denture)

  • 송기언;남옥형;김미선;이효설;최성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87-191
    • /
    • 2016
  • 제2유구치의 조기상실은 제1대구치의 근심이동이나 근심경사를 야기할 수 있다. 5세 여아에서 다수의 하악 유구치 조기상실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환아는 계승 영구치의 소포염으로 인해 하악 좌측 제1유구치와 제2유구치의 발거가 필요하였다. 탄성의치를 이용하여 저작 기능을 회복하는 동시에 제1대구치의 맹출을 유도하였다.

치성상악동염의 치유과정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HEALING PROCESS IN THE ODONTOGENIC MAXILLARY SINUSITIS)

  • 김수경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19권11호통권150호
    • /
    • pp.937-941
    • /
    • 1981
  • A case of Aged 37, Female involving Odontogenic Maxillary Sinusitis I left maxillae Caine, premolars and molars region. patients complained Dull pain of Caine, premolars and molars upper left side of Face. Clinical finding was swelling, Dull pain sensitivity of Caine, premolars and molars, pus discharge in nasal cavity Involved in Caine, premolars and molars to Antrum. Roentgenographic examination was Caine, premlars and molars involved in maxillary sinus in left side and Radiopaque in same Antrm. This underwent caldwell-Lue approach the Extracted Caine, premolars and molars and Curettage maxillary sinus walls and Closed primary sutured under Diagnosis of Odontogenic maxillary Sinusitis and Therapeutic principles. Patients had healed Completely one year after operation and no complaints and no Oro-Antral fistula.

  • PDF

Topical anesthesia for stainless steel crown tooth preparation in primary molars: a pilot study

  • Padminee, Krishnan;Hemalatha, R;Shankar, P;Senthil, D;Trophimus, Gnanabagyan J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0권4호
    • /
    • pp.241-250
    • /
    • 2020
  • Background: Placement of full-coverage restorations such as stainless steel crowns (SSCs) for pulpectomy treated primary molars is essential for successful outcomes. The tooth preparation process for SSCs can cause discomfort to gingival tissues since the crown should be seated 1 mm subgingivally. The purpose of this prospective trial was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subgingival and transmucosal application of topical anesthetics on dental pain during SSC tooth preparation among 6- to 8-year-old children. Methods: A consecutive sample of 27 children, aged 6-8 years, who required an SSC after pulp therapy in primary molar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A received infiltration anesthesia before tooth preparation for SSC placement, whereas in Group B and C, only topical anesthesia was applied subgingivally and transmucosally. Wong-Bakers Faces pain rating scale (WBFPS) scores were recorded after tooth preparation. Faces, Legs, Activity, Cry and Consolability (FLACC) scores were evaluated by two blinded and calibrated investigators through video recordings of the patient during tooth preparation. Data were tabulated, and inter-group comparisons were performed using the Kruskal-Wallis and analysis of variance tests. Results: Out of the 27 participants, 48% were boys and 52% were girls, with an overall mean age of 6.83 years. Group A showed the least pain scores according to both the scales, followed by Group B and Group C. The pain intens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both the pain scales with P = 0.003 for FLACC and P < 0.001 for WBFPS. Conclusion: Subgingival application of topical anesthesia reduced pain to a certain extent but not as effectively as infiltration anesthesia during SSC tooth preparation in primary molars. Transmucosal application of topical anesthesia did not reduce discomfort when compared to the other two interventions.

괴사유치(壞死乳齒)의 보존적 처치에 관한 연구 (A CLINICAL AND RADIOGRAPHIC STUDY OF THE CONSERVATIVE TREATMENT OF THE NECROTIC AND INFECTED PRIMARY MOLARS)

  • 허노정;양정강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67-75
    • /
    • 1975
  • The conserative treatment of the necrotic and infected primary molars is often necessary in order to avoid extractions which may lead to inability to masticate or loss of space and subsequent problems concerning the development of the occlusion in the permanent dent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conservative treatment of the infected primary molars with necrotic pulps employing the formocresol pulpotomy technique same as in vital teeth and surgical intervention in the cases with a parulis, fistula or cellulitis. The materials consisted of 25 primary molars of 9 boys and 4 girls ranging in age from 4 to 7 years. This study included clinical and radiographic observation at 3-month intervals postoperativel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Clinically, 20 cases of 25 were successful, exhibiting no clinical problems such as fistula, mobility, toothache and tenderness to percussion, etc. 5 cases were regarded as failures. 2. Radiographiclly, 14 cases revealed normal features, in 6 cases slight rarefaction was observed in the periapical and interradicular region, and marked periapical and interradicular rarefaction was observed in 5 cases. 3. Marked bony deposition was observed in the periapical and interradicular regions in all the remainder except for 5 failurese. 4. Pathologic root resorption was observed in 2 cases. 5. No alveolodental ankylosis was observed. 6. Regeneration of the dental sac of the permanent tooth was observed in 1 case of 2 cases which had revealed loss of the dental sac.

  • PDF

유구치 조기상실로 인한 기능성 전치부 반대교합의 치료 증례 (TREATMENT OF FUNCTIONAL ANTERIOR CROSSBITE DUE TO PREMATURE LOSS OF PRIMARY MOLARS: A CASE REPORT)

  • 박충제;김현정;남순현;김영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540-546
    • /
    • 1994
  • The authors treated three patients who chiefly complained functional anterior crossbite due to premature loss of primary molars by using removable space maintainer and functional appliances. In orthodontic practice, the mandibular rest position and the possibility of taking construction bite have been as the criteria for evaluation of functional factors involved in anterior crossbite. Functional anterior crossbites, if left untreated, may have deleterious effects on the development and function of craniofacial complex and TMJ. Objectives of the treatment were as follows: 1) to recover vertical dimension 2) to eliminate functional disharmony 3) to correct anterior reversed occlusion 4) to attain good facial esthetics 5) to prevent unfavorable growth of jaw & dentition Characterized craniofacial morphology resulting from the premature loss of deciduous molars could be recovered following the correction of crossbite.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in orthodontic diagnosis of functional anterior crossbite due to premature loss of deciduous molars, the craniofacial abnormality affected by that should be considered.

  • PDF

유착 유구치의 처치에 관한 증례보고 (MANAGEMENT OF ANKYLOSED PRIMARY MOLARS ; CASE REPORT)

  • 장미라;최병재;이종갑;이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590-596
    • /
    • 1997
  • Ankylosis is defined as a fusion of alveolar bone with dentin and/or cementum and may occur at any time during or following active eruption. Ankylosed teeth maintain existing occlusal levels while adjacent teeth continue to erupt via deposition of alveolar bone. This may result in the clinical appearance of depression or submergence of ankylosed teeth below the occlusal plane. It is found more frequently in children of late mixed dentition and in mandibular primary molars. The problems arising from ankylosed teeth, due to their submerged positions, are elongation of the antagonist, tipping of the adjacent teeth, loss of arch length, food impaction and subsequent destruction of periodontal tissue, disturbance of succedaneous tooth eruption. The author observed several cases of ankylosed primary molars and properly managed.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Severe infraoccluded ankylosis results in loss of arch length and undesirable effect on eruption path of succedaneous tooth, therefore early diagnosis and management are important. 2. The teeth without problems may be examined periodically and restored in order to maintain the normal occlusal function.

  • PDF

유동성 복합레진을 이용한 유구치 II급 수복의 생존율 (Survival Rates of Class II Restoration in Primary Molar with Flowable Resin Composite)

  • 서혜준;박소영;이은경;정태성;신종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2-20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소아 환자의 유구치 인접면 우식증 치료에 유동성 복합레진을 이용한 II급 와동 수복물의 생존율을 기성금속관과 비교하여 후향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2015년 6월부터 2019년 8월까지 인접면 우식증으로 진단되어 유동성 복합레진과 기성금속관 수복 치료를 시행한 590명의 1,504개의 유구치에 대한 전자의무기록과 방사선사진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Kaplan-Meier method를 이용해 생존 분석을 하였다. 유동성 복합레진 수복된 치아의 1년 생존율은 98.5%, 3년 생존율은 87.7%, 평균 생존기간은 39개월이었으며, 기성금속관과 비교할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 0.896). 현 연구의 한계 내에서 유동성 복합레진을 이용한 II급 수복은 유구치 인접면 우식증 치료의 예지력 있는 선택지가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유치열기 골격성과 비골격성 3급 부정교합 환아의 제1대구치 성숙도 비교 (Maturation of the First Molars in Primary Dentition with Class III Malocclusion)

  • 정보람;김신;정태성;김지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44-150
    • /
    • 2015
  • 유치열기의 3급 부정교합은 조기 치료가 추천되지만 정확한 진단이 쉽지 않다. 3급 부정교합의 골격성 특성과 치아 발육상태 사이에 연관성이 있다면 골격성 3급 부정교합의 감별 진단을 위한 평가 항목으로 치아성숙도가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유치열기의 골격성 혹은 비골격성 3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받은 환아를 대상으로 치아 석회화도 및 제 1대구치의 맹출률을 비교, 분석하여 상하악의 치아성숙도 차이가 유치열기 3급 부정교합의 감별 진단시 평가 항목으로 사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전치부 반대교합을 주소로 부산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유치열기 아동 중 비골격성 3급 부정교합군 18명과 골격성 3급 부정교합군 3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파노라마 방사선사진상에서 치령 및 제1대구치 맹출률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골격 및 성별에 따른 역령과 치령의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으며, 두 군 모두 역령에 비해 치령이 높게 나타났다(p < 0.05). 비골격성군과 골격성군의 상하악 맹출률의 차이는 각각 16.53%, 18.91%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p < 0.05), 3급 부정교합의 감별 진단을 위한 평가 항목으로서 제1대구치 치아성숙도의 활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매복된 제 2유구치와 제 2소구치 치배의 전위에 관한 증례 보고 (TRANSPOSITION OF THE IMPACTED PRIMARY SECOND MOLAR AND THE TOOTH GERM OF SECOND PREMOLAR)

  • 김송이;최성철;김광철;이긍호;최영철;박재홍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722-727
    • /
    • 2006
  • 치아가 정상적으로 맹출해야 하는 시기를 지나서도 골조직 내에서 맹출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치아를 매복치라 한다. 유치의 매복은 드물게 나타나며, 더구나 과거의 문헌 고찰에 의하면 현재까지 보고된 계승 영구치 하방에 매복된 유치는 극히 드물다. 대부분의 경우 매복된 유치는 제 2 유구치이다. 유치의 매복에 대한 병인은 유치 치배의 비정상적인 발달로 인해 조기에 유착이 일어나는 것으로 추측되어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정확하게 밝혀진 바는 없다. 전위는 동일한 사분악 내의 인접한 두 개 치아의 위치가 서로 바뀐 것을 말하며, 영구 상악 견치와 제 1소구치 사이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그 빈도는 1% 내외로 낮으며, 특히 유치열의 전위는 거의 발표된 바가 없다. 본 증례는 양악 양측 제 2유구치의 매복을 주소로 본과에 의뢰된 환자의 구강 및 방사선 검사 결과 매복된 제 2유구치와 후속 제 2소구치 사이의 수직 전위가 관찰되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