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mary dental care system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1초

아동·청소년 치과 주치의 사업의 시행현황과 발전방안 (Study of the implementation and development of a child·adolescent dental care service)

  • 이새롬;류재인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43-350
    • /
    • 2019
  • This study focused on the status of dental care developmen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n contrast to the chronic disease management project, this research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xpansion of the system. We summarized the status of the system's expansion since 2012. It analyzed research reports, papers, related literature and books on the system of children and adolescent dental care service. The literature analysis classifies year, publication, title and published location. The current state of the system is listed as location, target, support funds, etc. Implementation of the project was first discussed in 2007. Initial planning focused on the Oral Health Policy Research Society of the Gunchi. Effective measures were formulated in 2008 under the center of the Gunchi. It is time to discuss the dental care system's direction and development, as well as future aims based on a beneficial program of preventive care. A system of dentistry should be introduced to benefit the entire population.

치료의료계의 현안과 정책과제; 의료전달체계 확립과 전문의 진료 영역 명확화를 위한 의료법 개정 추진 방향 (Standing Issues and Policy Tasks of the Korean Dental Community; The improvement of the dental specialist program)

  • 이수구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8권2호
    • /
    • pp.91-94
    • /
    • 2010
  • Regarding the improvement of the dental specialist program, two related issues were reviewed extensively: (a) bill amending portions of the Medical Service Act as proposed by national assemblywomen Choi Yeong-hui (Democratic Party) and Chung Mi-gyeong (Grand National Party), and; (b) Plans to supplement the submitted bill. Although the existing bill's prospects in the assembly are unclear at this point, both the existing and planned supplementary bills zero in on two points: (a) specialists must focus on providing care only in their respective expertise, and; (b) a distinction between the roles played by the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medical institutions must be made to help establish clearly the country's overall health care system. In addition, proposals were made for medical license renewal among specialists so that professionals can offer better health care to customers.

Clinical Dental Hygienists' Experience of the Prevention Based Incremental Oral Health Care: Applying Focus Group Interviews

  • Bae, Soo-Myoung;Lee, Hyo-Jin;Shin, Bo-Mi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07-117
    • /
    • 2020
  • Background: In this study, we tried to comprehensively explore clinical dental hygienist's experience of a prevention-based incremental oral health care program, which was pilot-operated by dental clinics, define prevention-based incremental oral health care as experienced in the field, and identify factors to be considered.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five dental hygienists who participated in an ongoing oral management pilot project in 2016. The interview was conducted by a researcher, and the co-research team attended as progress assistants and recorded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main dictations, and non-verbal characteristics.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underwent thematic analysis to examine the questions of the study as the main axi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65 meaningful statements were extracted by code, integrated into 24 sub-categories, and structured into 11 categories. Finally, four keywords were drawn: characteristics, facilitating factors, conflicting factors,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prevention-based incremental oral health care. Regarding prevention-based incremental oral health care in dental clinics, dental hygienists were highly aware of the physical and mental burdens of personalized treatment and education for each individual. They were responsible for the patient and for facilitating changes in the behavior of the client, leading to professional satisfaction. The dental team's cooperation and supportive attitude were found essential to continue oral health care in the dental clinic. Conclusion: Through dental team-based treatment philosophy sharing and collabor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prevention-based incremental oral health care in dental clinics. In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 for establishing a sustainable preventative management system for public health promotion.

일부 초등학생의 치아우식활성검사를 이용한 계속구강건강관리 효과 (The Result of Oral Health Care on Primary School Children Using Dental Caries Activity Test)

  • 손은영;최문실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3-102
    • /
    • 2012
  • 보건의료분야의 제반환경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의 구강건강상태는 아직도 OECD국가 중에서 매우 열악한 상태이다. 국민들의 구강건강을 효율적으로 증진유지하기 위해서는 중대구강병인 치아우식증을 예방하고 조기에 치료할 수 있는 구강보건진료가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평생구강건강유지에 중요한 연령층인 초등학교학생들을 대상으로 정기적인 계속구강건강관리제도가 시급히 필요하나 초등학생 대상 계속구강건강관리방식의 치아우식예방관리법의 효과에 관한 사례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광주광역시 소재의 S 치과에 2005년 12월부터 2006년 2월에 내원한 만6세에서 13세 환자 중 환자보호자의 동의를 받은 총 39명을 대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분류하여 치아우식활성도와 치아우식경험도를 조사하여 지역사회 치과의원에서 기초자료로 활용할 목적으로 시행한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계속구강건강관리군의 기간별 Alban's test 및 Lactobacillius test 점수는 6개월경과 후 초진시의 1.4배에서 1.5배 감소되었고, 12개월경과 후 초진시의 1.5배에서 1.6배 감소되었다(p<0.001). 2. 계속구강건강관리군의 기간별 간이구강위생지수는 6개월과 12개월경과 후 초진시의 1.6배 감소되었다(p<0.05). 3. 12개월경과 후 우식경험영구치지수는 계속관리군(1.88개)에서 대조군(2.72개)보다 1.4배 감소되었으며, 우식영구치지수는 계속관리군(0.07개)에서 대조군(0.85개)보다 12배 감소되었다(p<0.05). 4. 12개월경과 후 제1대구치건강도는 계속관리군(98.04%)에서 대조군(95.97%)보다 1.02배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과 같은 결과에 의하여 지역사회 치과의원에서 지속적인 계속구강건강관리제도를 시행하여 아동의 평생구강건강상태를 유지시켜야 한다고 사료되었다.

A Systematic Review on Oral Health Care Programs for the Elderly in Korea (2009~2020)

  • Choi, Eun-Seo;Jung, Im-Hee;Kim, Do-Ah;Lee, Eun-Som;Lim, Hee-Jung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99-212
    • /
    • 2021
  • Background: Various oral health management programs in Korea affect the oral health improvement in the elderly Sever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date; however, those studies have not shown uniform results due to the differences in research methods or designs. Hence, this study aimed to review the overall research trends of the reported oral health care programs for the elderly in Korea, verify their effects, and clarify them based on the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Methods: The literature search selected intervention studies that applied the oral health care program for the elderly in Korea from 2001 to 2020. Following the COre, Standard, and Ideal (COSI) models presented by the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we selected databases including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ScienceOn,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DBpia, PubMed, and Google Scholar. Of the 1,335 studies searched using keywords, titles, and abstracts, 21 were finally selected based on primary and secondary exclusion criteria. Results: The most frequent intervention period was 4 weeks, and the number of interventions varied between 2 and 90 times. As for the type of intervention, 14 studies that conducted both theory and practice were the most frequen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linical indicators, such as calculus, halitosis, salivation rate, swallowing function, and dry mouth, were found in most oral health care program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ntervention program needs further verification using multiple indicators in future studies. In addition, a study extending the intervention period and the number of samples is considered necessary for verifying continuous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program.

학교구강보건사업의 보건지리학적 분석을 위한 지리정보체계의 활용 (A GIS-Based Public Health-Geographical Analysis of Oral Health Programs for Primary School Students)

  • 양진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74-181
    • /
    • 2013
  • 본 연구는 학교구강보건사업을 통해 구강보건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초등학생들이 전국의 각 시 군 구별로 어떻게 서로 다르게 분포되어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GIS기법 중에서도 단계구분도를 이용하여 5단계로 나누어 지도를 제작하였다. 서울에서는 학교구강보건사업을 실시하는 초등학교가 전혀 없어서 본 연구에서는 제외되었고 205개 시 군 구를 대상으로 하여, 구강보건서비스에 대한 공간적 지리적 접근성을 비교의 기준으로 삼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통계적 인접성에 의해 5단계 중에서 기본구간은 0.1~20.0%로 설정하였다. 1. 전국 각 시 군 구 초등학교 학생 수 대비 학교구강 보건실을 운영하는 초등학교 학생 수 비율이 기본 구간에 해당하는 지역은 전국적으로 113개 시 군 구에 해당하며 33개 시 군 구는 0%에 해당한다. 2. 전국 각 시 군 구 초등학교 학생 수 대비 학교구강 보건실을 운영하는 초등학교에서 구강보건교육과 바른양치교육을 수행했던 학생 수의 비율이 기본 구간에 해당하는 지역은 전국적으로 101개와 102개 시 군 구에 각각 해당한다. 구강보건교육이 전혀 실시되지 않는 시 군 구는 34개, 바른양치교육이 전혀 실시되지 않은 시 군 구는 35개이다. 3. 전국 각 시 군 구 초등학교 학생 수 대비 학교구강 보건실을 운영하는 초등학교에서 예방서비스를 받았던 학생 수의 비율이 기본 구간에 속하는 지역은 전국적으로 80개 시 군 구에 해당한다. 34개 시 군 구의 초등학생들은 어떤 예방서비스도 제공받지 않았다. 4. 전국적으로 학교구강보건실을 통해 치료서비스를 제공 한 초등학교 중에서 기본 구간에 해당하는 시 군 구는 153개이다. 51개 시 군 구의 초등학생들은 치료서비스를 전혀 제공받지 않았다. 이와 같이 학교구강보건사업을 통하여 구강보건서비스를 제공받는 초등학생들은 전국적으로 볼 때 지리적 공간적 편차가 매우 크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초등학생들의 구강보건서비스에 대한 공간적 지리적 접근성은 전국의 각 시 군 구에 따라 격차가 매우 크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논문은 GIS 기법을 활용하여 학교구강보건사업의 전국적 분포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공공 부문에서의 국가구강보건정책을 입안하고 시행하는데 정책적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GIS를 활용하여 보건지리학, 구강보건학, 치과위생학 사이의 학제간 연구를 수행하였다는 데 의의를 갖는다.

치과의원 외래환자 예약관리체계의 계량적 평가 (Quantitative Evaluation of Appointment System for Outpatients in Dental Clinic)

  • 이형주;장혜정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49-69
    • /
    • 2003
  • This study purport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appointment system for outpatients in primary care dental clinic. The data of patients' time flow for 1,245 patients in Y Dental Clinic were collected for one month in 2002 and then analyzed. Specifically, the time periods of treatment and patients' waiting as well as rates of appointment and it's failure are estimated. The accuracy of expected treatment time period was also evaluated. The results showed that 72% of patients visited the clinic with appointments, and only 56% kept their appointments. The patient's waiting time period turned out to be 11 minutes in Y clinic. The expected treatment time period is turned out to be very important because they influence significantly on patient's waiting time period. Practically, the expected treatment time period should be overestimated about 9 minutes in general, and the characteristics of dentist, each patient's diagnosis and age need to be especially considered. Hospitals and clinics also need to make the systematic and detailed critical pathways for a variety of patient cases by analyzing the patients' treatment pattern. With the improved appointment systems, healthcare institutions will approach the goal of effective and efficient management of the institution and also satisfy their customers.

  • PDF

치과용 Lidocaine 28 앰플로 국소마취 하에 1차 봉합한 악안면 심부 관통성 열창 -증례 보고- (Primary Closure of Deep Penetrating Wounds under Local Anesthesia with Dental Lidocaine HCL 28 Ampules in Maxillofacial Regions -Report of two cases -)

  • 김종배;유재하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6-31
    • /
    • 2001
  • The wide deep penetrating wound of maxillofacial region should be early closed under emergency general anesthesia for the prevention of complications of bleeding, infection, shock & residual scars. But, if the emergency general anesthesia wound be impossible because of pneumoconiosis,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hypovolemic shock, early primary closure should be done under local anesthesia by use of much amount of the anesthetic solution. The maximum dose of dental lidocaine (2% lidocaine with 1 : 100,000 epinephrine) is reported to 7 mg/kg under 500 mg (13.8 ampules) in normal adult. But the maximum permissible dose of dental lidocaine can be changed owing to the general health, rapidity of injection, resorption, distribution & excretion of the drug. The blood level of overdose toxicity is above $4.0{\mu}g/ml$ in central nervous & cardiovascular system. The injection of dental lidocaine 1-4 ampules is attained to the blood level of $1{\mu}g/ml$ in normal healthy adult. The duration of anesthetic action in the dental 2% lidocaine hydrochloride with 1 : 100.000 epinephrine is 45 to 75 minutes and the period to elimination is about 2 to 4 hours. Therefore, authors selected the following anesthetic methods that the first injection of 6 ampules is applied into the deeper periosteal layer for anesthetic action during 1 hour, the second injection into the deeper muscle & fascial layer, the third injection into the superficial muscle and fascial layer, the fourth injection into the proximal skin & subcutaneous tissue and the fifth final injection into the distal skin & subcutaneous tissue. The total 26-28 ampules of dental lidocaine were injected into the wound as the regular time interval during 5-6 hours, but there were no systemic complications, such as, agitation, talkativeness, convulsion and specific change of vital signs and consciousness.

  • PDF

우리나라 어린이와 청소년의 구강건강을 위한 공공서비스의 현황과 전망 (PRESENT STATE AND PROSPECT OF PUBLIC DENTAL HEALTH SERVIC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N KOREA)

  • 이광희;김지영;송지현;김윤희;임경욱;정승열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578-588
    • /
    • 2008
  • 소아치과학이 목표로 하는 어린이와 청소년의 구강건강을 달성하기 위하여는 민간 치과의료기관에서 내원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진료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공공서비스(公共service)의 역할이 필요하다. 학교구강보건실이 설치된 초등학교는 전체의 7.2%이었고, 초등학교 중에서 불소용액양치사업을 수행한 비율은 57.5%, 급식 후 집단잇솔질을 한 비율은 46.9%이 었으며, 초등학생 중에서 구강보건교육을 받은 비율은 48.0%, 치아홈메우기를 받은 비율은 12.4%이었다(2006년). $0{\sim}6$세 영유아의 약 42%가 지난 1년간 구강검진, 불소도포, 치면세마, 치아홈메우기 중 하나 이상의 예방적 치과진료를 받았으며, 받은 장소는 교육시설이 약 18%, 보건소가 약 1%이었다(2005년). 불소농도가 조정된 수돗물을 마시는 인구 비율은 전국 평균이 5.7%이었다(2006년). 학교구강보건사업의 발전을 위해서 행정의 일원화, 보건교사에 대한 교육, 구강보건교사제도의 도입, 순회 학교치과의사와 학교치과병원을 통한 포괄적 진료서비스의 제공 등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아동.청소년 주치의제의 도입으로 민간기관을 통해 공공서비스를 강화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 PDF

노인보건정책의 발전과정 및 연구동향에 대한 일고찰 (A Study on Research Trends and Development Process of Health Policy for the Elderly)

  • 선우덕
    • 한국노년학
    • /
    • 제28권4호
    • /
    • pp.773-784
    • /
    • 2008
  • 본 논문은 한국노년학회지의 노인보건정책연구와 관련된 게재논문의 내용을 분석하여 그 유형과 주요 정책제언의 내용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우리나라의 노인보건정책에서 추구하여야 할 정책과제를 도출, 제시하는데 있다. 지난 한국노년학회지가 발간된 이후부터 2007년도까지 노인보건과 관련된 게재논문수는 총 61편이었고, 이 중에서 정신보건분야, 구강보건분야를 제외한 질병, 의료비 등 일반보건의료와 관련한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연구방법론을 보면, 특정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하되 표본조사를 통해서 구축된 자료와 노인복지기관이나 병원 등을 이용한 노인을 분석대상으로 한 논문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제시할 수 있는 향후 정책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건강수준에 적합한 특화된 건강증진프로그램의 개발 및 활성화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지역사회중심의 노인 일차보건의료체계의 구축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급성기 치료 이후의 회복기 치료를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장기요양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노인환자에 대한 의료적 관리체계를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