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sult of Oral Health Care on Primary School Children Using Dental Caries Activity Test

일부 초등학생의 치아우식활성검사를 이용한 계속구강건강관리 효과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oral health care including some of dental caries activity test on dental clinics of regular visiting on primary school children. The dental surveys and initial caries control and some of dental caries activity test (Alban's, Lactobacillius, S'mutans, un-stimulation saliva test)were performed by trained dental hygienists with dentist from on 6 to 13 years old patients of S dental hospital in Gwangju Metropolitan Cities. The sample size of 39 children (18 in oral health care group, 21 in control group ) and accepted to their parents. The results of caries activity test score(Alban's and Lactobacillius test)were reduced 1.4 to 1.6 times in oral health care group(OHCG). Oral Hygiene Simplified Index of OHCG was reduced 1.6 times during six months and 1 year. DMFT index of OHCG was reduced 1.4 times more than Control Group(CG) after 1 year. DT index of OHCG was reduced 12 times more than Control Group(CG) after 1 year. Dental health capacity of the first perment molar of OHCG was reduced 1.02 times more than CG after 1 year. From the above results, long life related incremental oral health care system has reinforced to primary school children in dental clinic with oral health professional teams.

보건의료분야의 제반환경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의 구강건강상태는 아직도 OECD국가 중에서 매우 열악한 상태이다. 국민들의 구강건강을 효율적으로 증진유지하기 위해서는 중대구강병인 치아우식증을 예방하고 조기에 치료할 수 있는 구강보건진료가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평생구강건강유지에 중요한 연령층인 초등학교학생들을 대상으로 정기적인 계속구강건강관리제도가 시급히 필요하나 초등학생 대상 계속구강건강관리방식의 치아우식예방관리법의 효과에 관한 사례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광주광역시 소재의 S 치과에 2005년 12월부터 2006년 2월에 내원한 만6세에서 13세 환자 중 환자보호자의 동의를 받은 총 39명을 대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분류하여 치아우식활성도와 치아우식경험도를 조사하여 지역사회 치과의원에서 기초자료로 활용할 목적으로 시행한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계속구강건강관리군의 기간별 Alban's test 및 Lactobacillius test 점수는 6개월경과 후 초진시의 1.4배에서 1.5배 감소되었고, 12개월경과 후 초진시의 1.5배에서 1.6배 감소되었다(p<0.001). 2. 계속구강건강관리군의 기간별 간이구강위생지수는 6개월과 12개월경과 후 초진시의 1.6배 감소되었다(p<0.05). 3. 12개월경과 후 우식경험영구치지수는 계속관리군(1.88개)에서 대조군(2.72개)보다 1.4배 감소되었으며, 우식영구치지수는 계속관리군(0.07개)에서 대조군(0.85개)보다 12배 감소되었다(p<0.05). 4. 12개월경과 후 제1대구치건강도는 계속관리군(98.04%)에서 대조군(95.97%)보다 1.02배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과 같은 결과에 의하여 지역사회 치과의원에서 지속적인 계속구강건강관리제도를 시행하여 아동의 평생구강건강상태를 유지시켜야 한다고 사료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Katsuhiko Nakao : 임상의를 위한 Follow up system. 초판, 지성출판사, 서울, pp.11, 1999.
  2. 김종배 등 : 임상예방치학 3th. 고문사, 서울, pp.301-393, 2000.
  3. 원준영 등 : 예방위주의 계속관리제도의 운영사례에 대한 분석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7(3): 329-346, 2003.
  4. 심사평가원 : 2006년 3분기 건강보험통계지표DB자료. 서울, 심사평가원, 2006
  5. 보건복지부: 2006년도 국민구강건강실태 요약본. 서울, 보건복지부, 2006.
  6. 김종배 등 : 공중구강보건학 4th. 고문사, 서울, pp.3-323, 2005.
  7. 김동기 등 : 계속구강건강관리의 실제. 초판 고문사, 서울, pp.2-244, 2003.
  8. 백순지, 이광희, 김수남: Alban 우식활성검사의 개량과 표준화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16(2): 285-307, 1992.
  9. 윤창상, 이흥수, 이광희 : 개량Alban 우식활성검사의 우식예측력에 관한 횡단적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16(2): 360-372, 1992.
  10. 장문수, 이광희, 김수남: 혼합치열기 아동에서 산성고자당 액상배지를 사용한 우식활성검사 성적과 우식경험도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16(2): 308-335, 1992.
  11. 서은주, 김동기, 양정승: 광주광역시 일부 초등학교 계속구강건강관리사업에 따른 치아우식예방효과. 대한구강보건학회 29(4): 506-515, 2005.
  12. Keyes P.H.: The infectious and transmissible nature of experimental dental caries: findings and implications. Arch Oral Bio l(1):3 04-320, 1960.
  13. 최정수: 2001년 한국인의 주요 상병 및 건강행태 분석.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3
  14. E. Reich, A.Lussi and E.: Newbrun. caries-risk assessment. Int Dent J (49): 15-26, 1999.
  15. Bo Krasse: Caries Risk. 초판 , Quintessence Publishing Co, Mishawaka, IN, 미국, pp.26, 1985.
  16. M.Larmas: Simple test for caries susceptibility. Int Dent J (35): 109-117, 1985.
  17. Alban A: An improved Snyder test. J Dent Res 49(3): 641, 1970. https://doi.org/10.1177/00220345700490033501
  18. 정순정 등: 치아우식과 연관된 타액의 PH와 완충력. 치위생과학회지 6(3): 159-162, 2006.
  19. Sims W: The interpretation and use of snyder tests and lactobacillus count. J Am Dent Assoc 80(6): 1315-1319, 1970.
  20. 김진범, 나수정, 조영임: 우식활성검사와 불소도포병용이 유치 우식증 예방사업에 미치는 효과.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4(1): 85-103, 2000.
  21. 나수정, 조영임, 김진범: 유아들의 유치우식증실태와 우식활성검사의 상관관계.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2(4): 299-314, 1998.
  22. Burt B.A, Losche W. J.: Stability of selected plaque species and their relationship to caries in a child population over 2 year. Caries Res 19(3): 193-200, 1985. https://doi.org/10.1159/000260843
  23. Twetman S, et al.: Pre-and post-treatment levels of salivary Mutans streptococci and Lactobacilli in pre-school children. Int J Paediatr Dent 9(2): 93-98, 1999.
  24. Miler W.D: A study of certain questions relating to the pathology of teeth. D. cosmos 46: 981-1001, 1904.
  25. 정대인, 장기완: 치아우식활성에 의한 12세 아동의 우식호발임계치측정. 대한구강보건학회지 16(1): 113-128, 1992.
  26. Powell L.V, Mancl L.A, Senft G.D: Exploration of prediction models for caries risk assessment of the geriatric population. comm. Dent Oral Epid. 19(5): 291, 1991. https://doi.org/10.1111/j.1600-0528.1991.tb00170.x
  27. 이혜진 등: 초등학교학생의 구강보건교육효과 평가에 관한 사례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8(4): 449-463, 2004.
  28. Berman DS, Slack GL: Susceptibility of tooth surface to carious attack. Br Dent J 134(4): 135-139, 1973. https://doi.org/10.1038/sj.bdj.4802968
  29. 이영희, 권호근, 김백일: 2000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자료에 근거한 한국인의 치아별 치면별 우식발생양상.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8(3): 315-323, 2004.
  30. 김응권, 임순환: H시 초등학교 학동의 제1대구치 치아우식 실태조사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2(2): 89-94, 2002.
  31. 최승희 등: 한국인의 제1대구치 건강도의 조사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9(4): 430-440,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