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y species

검색결과 218건 처리시간 0.024초

유자에서 귤응애의 천적종류와 주요종의 발생소장 (Natural Enemies of Citrus Red Mite, Panonychus citri McGREGOR, and Seasonal Occurrence of Major Predators on Yuzu tree (Citrus Junos))

  • 김규진;최덕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3-19
    • /
    • 2000
  • 유자과원에 발생하는 주요해충인 귤응애의 생물적 방제를 위해 천적의 종류 및 주요 포식성 천적의 시기별 발생량을 '96년부터 '98년까지 3년동안 전남 고흥지역에서 조사하였다. 귤응애의 천적으로는 Oligota kashimirica benifica, 깨알반날개(O. yasumatsui), 꼬마무당벌래(Stethorus punctillum), 칠성풀잠자리붙이 (Chrysopa pallens), 꼬마남생이무당벌레(Propylea japonica), 애꽃노린재(Orius sauteri), 응애총채벌레(Scolothrips takahashii), 긴털이리응애(Amblyseius womersleyi) 그리고 관총채벌레류 1종으로 총 5목 7과 9종이 조사되었으며, 이 중 우점천적은 깨알반날개류와 꼬마 무당벌레였다. 유자과원에서 깨알반날개류는 5월 중순부터 11월 중순까지 발생하며 년 4~5세대를 경과하였고, 4세대인 9월 상순에 연중 최대발생량을 보였다. 꼬마무당별레는 5월 하순부터 10월 하순까지 발생하며 년 3세대 경과하였고 6월 하순~7월 중순에 발생최성기를 보였다. 먹이인 귤응애와 포식자인 천적의 시기별 밀도변동을 볼 때 9월까지는 귤응애의 발생상황에 따라서 포식자의 발생밀도도 증감하는 시기적 일치 경향을 보였으나, 10월 이후 귤응애의 밀도가 증가하는 반면에 포식자의 밀도는 급격히 감소하여 불일치 현상이 나타났다.

  • PDF

Food Source Analysis of Rattus norvegicus, a Coinhabitant of Marine Birds in South Korea

  • Kang, Jihyun;Cha, Hyoun-Gi;Shin, Hyun Chul;Lee, Yunkyong;No, Doory;Kim, Wooyoung;Eum, Soon Jae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3권3호
    • /
    • pp.165-171
    • /
    • 2022
  • The Chinese crested tern (Thalasseus bersteini) is one of the most globally endangered species, listed as "Critically Endangered (CE)" on the IUCN Red List, with only approximately 30-49 individuals surviving in the wild. Chinese crested terns were discovered to breed in South Korea for the first time in 2016 while conducting a census on uninhabited island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as declared the breeding habitat of the Chinese crested terns as "Specified Island" to protect this CE species. However, brown rats (Rattus norvegicus) inhabiting the breeding grounds of the Chinese crested terns and Black-tailed gulls may potentially pose a threat to the breeding of these avian species. Therefore, we conducted a study on the feeding behavior of brown rats involving stable isotope analysis to determine their food sources. Fecal analysis showed that brown rats mainly fed on plants, whereas they scarcely fed on animals, such as insects. In addition, the stable isotope analysis showed that the δ13C values of brown rats, insects, and Indian goosegrasses were approximately -16 to -11‰, whereas the δ13C value of Chinese crested terns that obtained their food from the marine ecosystem was approximately -22 to -18‰. Hence, we conclude that the source of carbon for brown rats on this island is the terrestrial ecosystem. We ruled out the possibility of any direct prey-predator interaction between the brown rat and the Chinese crested tern or Black-tailed gull.

배스가 국내 호소에 서식하는 붕어 개체군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Large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on the Population of Korean Native Fish, Crucian Carp (Carassius auratus))

  • 이진웅;김정희;박상현;최기룡;이혜진;윤주덕;장민호
    • 환경생물
    • /
    • 제31권4호
    • /
    • pp.370-375
    • /
    • 2013
  • 수생태계에서 외래종의 문제는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배스의 경우 높은 포식압으로 수생태계 내에서 상당한 교란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환경부에서 위해종으로 선정되어 관리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해종인 배스가 국내토착종인 붕어의 개체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조사는 총 7지역의 저수지에서 시행하였으며, 배스의 유무에 따라 붕어의 길이분포와 길이무게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배스가 서식하는 지역의 붕어 개체군은 1년생 이하 치어의 비율이 전반적으로 높지 않았고 오히려 2년생 이상의 큰 개체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배스가 서식하지 않는 호소의 붕어 개체군은 1년생 이하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 일반적인 성장 패턴을 보였다. 또한 배스의 직접적인 먹이가 되는 1년생 이하의(160 mm 이하) 붕어개체를 대상으로 길이-무게 상관관계 분석 결과 배스가 서식하지 않는 호소에서 매개변수 b값이 2.909, 배스가 서식하는 호소에서는 매개변수 b값이 3.100로 나타나 배스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붕어의 무게가 상대적으로 더 빠르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배스의 포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호소내 개체군이 생존을 위해 상대적으로 빠른 성장 전략을 사용한 것으로 사료되었으며, 이와 같은 현상은 붕어뿐만 아니라 국내 토착하는 다른종에서도 유사하게 확인될 것으로 판단된다.

제주도 남부해역의 부유성 섬모충류의 종 조성과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s and Species Composition of Planktonic Ciliates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Korea)

  • 김요혜;이준백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8권2호
    • /
    • pp.59-69
    • /
    • 2003
  • 제주도 남부해역의 미세생물 먹이망 구조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써 부유성 유종섬모충(tintinnids)과 빈섬모충(aloricate oligotrichs)의 종 조성과 생물량의 계절 변화 특성에 대하여 중문주변해역의 6개 정점에서 1998년 7월부터 2000년 6월까지 매월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유종섬모충은 총 39종으로 세포수 범위는 100~5,400 cells. 1$^{-1}$(평균 314 cells . 1$^{-1}$) 이었고 가을철과 겨울철에는 외양성 종류가 주로 우점하였으며 봄철과 여름철은 외양성 보다 연안성 종류가 우세하였다. 빈섬모충은 총 15종이 동정되었고 세포수 범위는 140~21,000 cells.1$^{-1}$(평균 2,356 cells.1$^{-1}$)로써 Strombidium속의 종들이 전 계절에 걸쳐 우점하였다. 계절에 따른 종 다양성과 생물량 변화는 유종섬모충의 경우 차이가 컸지만 빈섬모충은 큰 차이가 없었다. 유종섬모충의 계절별 수괴지표 특성은 연구 해역의 해양환경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고 있었으나 빈섬모충은 특이한 수괴지표 특성을 보이지 않았다. 해역별로 보면 외해역 보다는 해안역에서 세포수가 높았고 종 다양성도 높았다 섬모충의 총 탄소량의 범위는 0.01~136.06 $\mu\textrm{g}$C.1$^{-1}$(평균 5.01 $\mu\textrm{g}$C.1$^{-1}$)로 탄소량과 세포수의 월별 변동이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았다. 유종섬모충과 빈섬모충의 수심별세포수 분포는 모두 20 m층에서 가장 높았고 수직분포의 경향도 비슷하였으며, 엽록소 a 량의 수직분포와도 일치하고 있어 식물플랑크톤과 섬모충은 피식과 포식의 상관성을 보이고 있었다.

식충식물 긴잎끈끈이주걱 (Drosera anglica Huds.) 분비모의 구조적 특성 (Structural Features of the Glandular Trichomes in Leaves of Carnivorous Drosera anglica Huds.)

  • 백경연;김인선
    • Applied Microscopy
    • /
    • 제38권1호
    • /
    • pp.21-28
    • /
    • 2008
  • 식충식물의 잎은 결핍된 양분을 보충하기 위해 곤충을 유인하여 포획할 수 있는 포충엽으로 변형된다. 식충식물 표피조직에 발달하는 분비모는 특수한 모용으로 곤충포칙에 필요한 성분을 분비하여 먹이를 소화하고 흡수할 수 있도록 발달한다. 본 연구에서는 긴잎끈끈이주걱 (Drosera anglica Huds.) 엽신에 발달하는 여러 유형의 분비모 발달양상을 주사 및 투과전자현미경적인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포충엽 발달초기 엽원기 단계에서는 엽신이 접혀진 상태로 분화하여 상피조직은 노출되지 않으며, 하피조직에는 비분비모 및 모용원기들이 발달한다. 또한, 엽연이 접힌 상태로 어린 잎의 단계를 거치나 엽연에 발달하는 분비모는 기저부위만 노출되고 이들의 두정부위 및 다른 유형의 분비모들은 접힌 내부에 발달하여 보호된다. 병세포가 매우 길게 신장하는 엽연의 분비모에는 곤충 포획 시 가장 신속하게 식충의 기작을 수행하기 위한 세포수준에서의 구조분화도 수반된다. 엽연에는 긴 병세포를 지닌 약 $2.2{\sim}5.1\;mm$의 globose 분비모 (Type I)가 발달한 반면, 엽신의 내부로 갈수록 병세포는 점진적으로 짧아져 중앙 부위에서는 약 $200{\sim}300\;{\mu}m$의 짧은 병세포를 형성한다. 두정부위(head)는 2층의 분비세포, 중간의 장방형의 유세포층, 중앙의 가도관으로 구성된다. 엽연 분비모에 곤충이 접촉되면 이들 분비모는 매우 빠르게 움직이며 엽정 부위를 향축면으로 움직여 엽신이 곤충을 포위하게 하여 두정부위에서 분비된 점액성 물질로 곤충을 소화 흡수시키는 능동적인 식충의 기작을 수행한다. 또한, 엽신의 내부에는 분비물질을 분비하는 압핀형 두정부위와 짤은 병세포(ca. $15{\sim}30\;{\mu}m$)로 이루어진 분비모(Type II가 발달한다. 또 다른 유형은 병세포가 형성되지 않는 약 $25{\sim}40\;{\mu}m$의 6세포성분비모(Type III)로 상피 및 하피, 엽병, Type I 및 Type II 병세포 표면에 이르기까지 분포하며 위 두 유형의 분비모와 함께 활발한 분비활동을 수행한다. Type III 분비모의 경우, 분비물질은 정단의 두 세포에서만 방출되었다. Type I, II, III 두정부위 분비세포 세포벽에는 큐티클 층이 얇게 발달하며, 세포질 내에는 골지체, 소포체, 분비소낭 등의 막성계 세포내소기관 및 전자밀도가 높은 입자 등이 잘 발달하였다.

영종도 조수웅덩이에 서식하는 미끈망둑, Luciogobius guttatus(Gobiidae)의 식성 (Feeding Ecology of Luciogobius guttatus (Pisces; Gobiidae) in the Youngjong Tide Pool, Incheon, Korea)

  • 김병기;김지혜;정수환;한경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02-211
    • /
    • 2014
  • 인천 영종도에서 미끈망둑의 섭식생태를 조사하였다. 총 257개체를 분석하였으며, 체장 (SL) 범위는 13.4~57.5 mm였다. 연구는 조수웅덩이에서 2010년 1월부터 12월까지 매달 실시되었다. 미끈망둑의 위 내용물에서 주로 발견된 먹이생물은 요각류(Copepods)와 게류(Brachyurans)였다. 단각류 (Amphipods), 집게류 (Anomurans), 쿠마류 (Cumaceans), 새우류(Macrurans), 곤충류(Insects), 작은 암석(small stones)이 추가로 관찰되었다. 저서성 갑각류(benthic crustaceans)가 중요한 먹이생물이었으며, Harpacticoid와 풀게속(Hemigrapsus spp.)은 모든 크기군과 계절에서 주요 먹이생물이었다.

자율관리 마을어업의 생태계 기반 자원관리시스템 연구 (A study on the ecosystem-based resource management system of self-regulatory community fisheries)

  • 박희원;장창익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4권4호
    • /
    • pp.345-352
    • /
    • 2008
  • A self-regulatory community fisheries management program in Korea is designed to enhance fisheries resources, to protect fishing grounds of self-regulatory communities, and to manage their fisheries resources by their own regulations and knowledge. This study explored an applicable ecosystem-based management plan based on the scientific investigation and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objectives, indicators and reference points of the ecosystem-based resource management system which are applicable to selfregulatory community fisheries. The objectives of the management system are to maintain sustainable fisheries production, to maintain optimum fishing intensity, to reduce by-catch, to conserve spawning ground and habitat, to maintain optimum habitat environment, to increase/maintain abundance of prey species, to increase/maintain stock biomass, and to conduct stock enhancement on the basis of scientific assessment. The improved methods for the assessment and management are introduced by demonstrating a self-regulatory fishery which targets on hen clam in Dong-li fishing village in Busan.

천안지역 배 과원에 서식하는 포식성 이리응애류 (응애아강: 이리응애과) (Phytoseiid Mites (Acari: Phytoseiidae) of Pear Orchards Cheonan Area in Korea)

  • 정철의;이준호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9권1_2호
    • /
    • pp.24-28
    • /
    • 2004
  • 이리응애류는 잎응애류 뿐 아니라 녹응애류, 총채벌레등 많은 해충들의 중요한 포식자이다. 천안지역 배 과원에 봄과 가을 사이에 서식하는 이리응애류를 조사한 결과, 순 이리응애속 6종이 조사되었다. 긴털이리응애(Amblyseius womersleyi). 긴꼬리이리응애 (A. eharai)와 꽃병이리응애 (A. kokufuensi)는 주로 과수 잎에서, 알락이리응애 (A. makuwa)는 지면 잡초와 과수 주간에, 북방이리응애( A. finlandicus)는 과원 주변에서 발견되었다. 각 종의 분류학적 특징과 생태적 특성을 정리하여, 향후 배과원 응애류 종합관리 측면에서 생물적 방제 전략 수립 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 PDF

산림 내에서 곤충의 현존도와 식충목 4 종의 풍부도간의 상관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Invertebrate Availability and the Abundance of Three Species of Shrews and the Shrew-mole in Managed Forests)

  • Lee, Sang Do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8권4호
    • /
    • pp.441-449
    • /
    • 1995
  • The abundance of coarse woody debris (CWD) has been hypothesized to increase niche for forest dwelling insectivores, concentration of nutrients, and the diversity of invertebrates. However, no abjective assessment based on replication in the field has yet been don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test the relationships between invertebrate availability and the abundance of four insectivores (Sorex trowbridgii, S. vagrans, S. monticolus and Neurotrichus gibbsii) in western Washington, USA. Pitfall traps were used to determine abundance and diversity of invertebrates. Abundance of insectivores was not different between habitats except for S. vagrans which was more abundant in habitats with low amounts of CWD than in habitats with high amounts of CWD. Simpson’s diversity index computed for invertebrates did not differ between habitats.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 diversity indices of invertebrates and the abundance of shrews. Shrew abundance and the Coleoperan beetles also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The results suggested insectivores might select a wide range of prey items in addition to surface-active invertebrates.

  • PDF

Cryptoperidiniopsis brodyi (Dinophyceae)의 생활사 (Life Cycle of Heterotrophic Dinoflagellate Cryptoperidiniopsis brodyi (Dinophyceae))

  • 박태규;박영태;배헌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9-14
    • /
    • 2009
  • Pfiesteriaand Pfiesteria-like organisms were reported to be linked to major fish kills(involving well over a billion fish) in North Carolina and Maryland estuaries on the U.S. east coast during the 1990s. Occurrences of these species have been recently reported from Korean waters including Chinhae Bay and the coast of Yeosu. In this study, the life cycle of Cryptoperidiniopsis brodyi and Pfiesteria piscicida were examined using DAPI staining. Their excystment and growth were stimulated directly by the addition of prey cells such as Rhodiminas salina. Amoeboid stages in C. brodyi and P. piscicida were never observed in culture, even after addition of filter-sterile fish mucus and tissue. The dominant life cycle stages consisted of motile flagellated zoospores and cysts. A typical dinoflagellate life cycle was demonstrated by direct observation and DAPI stai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