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y organism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33초

황아귀, Lophius litulon의 식성 (Food Habits of the Yellow Goosefish, Lophius litulon)

  • 차병열;홍병규;조현수;손호선;박영철;양원석;최옥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5-104
    • /
    • 1997
  • 한국남해에 서식하는 황아귀의 위내용물 조사를 위하여 1995년 1월부터 12월까지 어획된 어획물 518개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황아귀는 어류 44종, 갑각류 12종, 두족류 3종등 총 59종의 먹이생물을 섭이하였으며, 이중에서 어류가 상대중요도지수에서 $98.8\%$를 차지하여 가장 많이 섭이된 먹이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우점하는 먹이생물로는 참조기, 눈강달이, 갈치, 멸치 등이었으며, 그 외 먹이생물은 소량으로 나타났다. 참조기는 거의 연중 출현하는 우점먹이종이며, 나머지 먹이생물들은 계절의 진행에 따라 간헐적으로 위내용물에 출현하였다. 황아귀는 성장하면서 섭이하는 먹이어종수 및 먹이개체수는 증가하였으며, 우점먹이종 중 눈강달이와 멸치는 황아귀의 체장이 증가하면서 섭이비율은 감소하나 상대적으로 체장이 큰 갈치는 오히려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 PDF

은편모류 Teleaulax amphioxeia의 윤충류 Brachionus plicatilus 및 이매패류 유생 2종에 대한 먹이 기능성 평가 (Growth Performance of the Rotifer Brachionus plicatilus and the Larvae of Two Bivalves Fed on the Cryptophyte Teleaulax amphioxeia)

  • 박희원;김형섭;조수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351-358
    • /
    • 2016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eleaulax amphioxeia as prey for Brachionus plicatilis and for the larvae of the bivalves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and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to select the best of five T. amphioxeia strains. The five strains of T. amphioxeia were collected from the coasts of Korea, purecultured and then fed to the rotifer and bivalve larvae. The density and fecundity rate of the rotifer fed on strain 01 were the highest. The instantaneous growth rate of the rotifer fed strain 08-2 was the highest. The maximum density and fecundity rate of the rotifer fed strain 08-2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ed Chlorella ellipsoidea, while instantaneous growth rate showed the opposite pattern. Survival rates of the Manila clam larvae fed each strain of Teleaulax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rains. Survival rates of the Pacific oyster fed Teleaulax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ed Chaetoceros sp., but lower than those fed I. galbana. This study indicates that strain 08-2 showed better growth for B. plicatilis and better survival for the bivalve larvae than did the other strains, and that T. amphioxeia can also be used as a prey organism for rotifers or bivalve larvae.

해양 생태계 내에서 혼합영양 섬모류 Myrionecta rubra의 중요성 (Importance of the Mixotrophic Ciliate Myrionecta rubra in Marine Ecosystems)

  • 명금옥;김형섭;장건강;박종우;이원호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2권3호
    • /
    • pp.178-185
    • /
    • 2007
  • Myrionecta rubra Jankowski 1976(=Mesodinium rubrum Lohmann 1908)는 다양한 해양 환경에서 적조를 일으키는 매우 일반적인 원생생물인 혼합영양 섬모류이다. M. rubra의 실험실 종주가 처음 보고된 2000년 이후, M. rubra의 생태적 역할 및 진화적 중요성에 관한 새로운 논문들이 발표되고 있다. 본고는 M. rubra의 생태학적 중요성에 관한 새로운 연구 결과들을 중심으로, 이 혼합영양성 종에 대한 정확한 인식에 도움이 되는 종설로서 작성되었다. M. rubra는 Teleaulax sp.와 Geminigera sp. 등의 은편모류를 섭식한 후 이들의 색소체를 잔류시켜 광합성을 하는 "kleptoplastidic ciliate"이다. 최근에는 M. rubra의 박테리아 섭식이 확인되어, 지금까지 보고된 M. rubra의 영양유형은 광합성, 박테리아 섭식, 편모조류섭식 등으로 다양하다. M. rubra는 요각류, 곤쟁이류, 유즐동물과 멸치류의 유생, 그리고 이매패류 치패와 같은 metazoan predator의 먹이생물로 알려져 있다. 2006년에는 설사성 패독을 일으키는 원생생물인 와편모류 Dinophysis도 M. rubra를 섭식하는 섭식자 가운데 하나라는 사실이 새로이 발표되었다. 따라서, 해양 혼합영양 섬모류 M. rubra는 표영 생태계 먹이망(pelagic food web)의 핵심적 주요 linking ciliate의 하나로서 에너지 및 유기물 흐름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로티퍼, Brachionus rotundiformis와 코페포다, Tigsiopus japonicus의 혼합 배양조에 있어서 두 종간의 상호 관계 (Interspecific relationship between two food organisms in the combination culture tank of rotifer, Brachionus rotundiformis and copepod, Tigriopus japonicus)

  • 정민민;노섬;김형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66-69
    • /
    • 2000
  • 이 연구에서는 로티퍼 B. rotundiformis의 대량 배양조에서 흔히 혼재가 관찰되는 코페포다 T japonicus가 배양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로티퍼 B. rotundiformis의 증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실험에 사용한 로티퍼와 코페포다는 로티퍼의 대량 배양조에서 순수 분리 후 단일종 배양하던 것이다. 배앙 조건은 현장의 배양환경과 되도록 일치하도록 하였으며, 먹이는 $7{\times}10^5\;cells/ml$의 N. oculata를 급이하였다. B. rotundiformis의 배양조에 혼재된 T. japonicus는 C. rotundiformis를 단독 배양한 경우에 비하여 증식이 크게 억제되었고, 실험 종료일까지도 그 증식은 정체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T. japonicus의 증식은 T. japonirus를 단독 배양한 경우에 비교하여 B. rotundiformis와 혼합 배양하여도 그 증식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또한, B. rotundiformis와 T japonicu의 혼합 배양에서 두 종간의 피포식 관계나 먹이 경쟁 관계와 같은 직접적인 상호 작용은 관찰할 수 없었다. 이 연구의 결과, 로티퍼 B. rotundiformis의 대량 배양조에서 혼재 생물로서 자주 관찰되는 코페포다 T. japonicus는 B. rotundiformis의 증식 저해요인으로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통영-사량도 굴 양식장 주변 해역에서 일차 생산자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Variation of Primary Producer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Vicinity of the Oyster Farming Area between Tongyeong-Saryang Island)

  • 임영균;백승호
    • 환경생물
    • /
    • 제35권4호
    • /
    • pp.492-500
    • /
    • 2017
  • 남해안 통영-사량도 동북부의 굴 양식장 주변 해역에서 2016년 6월부터 2017년 5월까지 식물플랑크톤군집의 계절변동 및 환경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굴의 먹이생물인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이 계절적으로 어떻게 분포하고, 그들의 현존량을 조절하는 환경인자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수온은 2월 $7.54^{\circ}C$에서 8월 $29.5^{\circ}C$로 변화하였고, 하계에 고수온현상이 지속되었다. 염분은 하계 집중강우와 태풍의 영향으로 31 psu 전후로 낮게 관찰되었고, 최저치는 9월에 30.68 psu로, 최고치는 5월 34.24 psu로 관찰되었다. pH는 표층에서 7.95~8.50로, 저층의 7.91~8.3보다 조금 높게 관찰되었으며, 용존산소는 pH와 유사하게 표층에서 $6.0{\sim}9.45mg\;L^{-1}$로 높게 나타났고, 저층에서는 하계에 $5.25mg\;L^{-1}$의 전후로 낮게 관찰되었다. 질산염+아질산염은 $0.14{\mu}M$에서 $7.66{\mu}M$로, 인산염은 $0.01{\mu}M$에서 $4.16{\mu}M$로, 규산염은 $0.27{\mu}M$에서 $20.33{\mu}M$로 각각 변화하였다. 표층 Chl. a 농도는 $0.37{\mu}g\;L^{-1}$에서 $2.44{\mu}g\;L^{-1}$로 변화하였고, 연평균 $1.26{\mu}g\;L^{-1}$로 관찰되었다.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연평균 규조류가 69%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와편모조류가 17%, 은편모조류 10% 순으로 나타났다. 6월에는 와편모조류 P. donghaiense가 90%로 극우점하였고, 7월은 규조류 Chaetoceros decipiens가 우점하였다. 하계에는 Rhizosolenia setigera와 Pseudo-nitzchia delicatissima가 높게 나타났고, 추계에는 Chaetoceros spp.와 함께 은편모그룹이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 동계에는 Skeletonema spp.와 Eucampia zodiacus가 높은 밀도로 출현하였다. 결과적으로 굴 양식장 주변 해역에서 계절에 관계없이 Chl. a 농도가 $2.5{\mu}g\;L^{-1}$ 이하로 나타났고, 연평균이 $1.26{\mu}g\;L^{-1}$로 일정하게 낮게 나타난 것은 지속적으로 여과섭식하는 굴의 성장특성 때문에 일정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이 제어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할 수 있었다.

잘피밭 해역에 방류된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 치어의 식성 및 어체성분 변화 (Changes in Feeding Habit and Body Composition of Black Sea Bream Acanthopagrus schlegeli Released in Eelgrass Zostera marina Bed)

  • 지승철;이시우;김양수;정관식;유진형;최낙중;명정구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78-284
    • /
    • 2008
  • 인공종묘 생산된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 치어를 잘 피밭에 방류하여 방류초기의 먹이섭취와 체성분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방류어의 먹이섭취율(predation rate)은 1일째와 3일째 79%로 낮았으며, 7일과 10일째 100%로 증가하였으나 20일째와 30일에는 75%로 낮아졌다. 방류된 감성돔 치어는 단각류와 복족류(Gastropoda)를 주로 섭식하였다. 단각류(Amphipoda)의 섭취는 방류 초기와 30일째에 낮고, 15일째에 82.9%로 가장 높았다. 한편 복족류는 1일째 84.6%로 가장 높았으며, 20일째는 3.1%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갑각류와 해조류는 채집 기간동안 20% 내외를 나타내었다. 소화기관 중량비는 방류 후 20일과 30일째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다. 전어체 성분에서는 방류 후 시간 경과에 따라 조단백질과 조지방 성분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지방산 중 DHA 조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잘피밭은 자연 먹이의 공급장으로서 방류된 감성돔의 빠른 초기 먹이섭취 및 환경적응에 많은 도움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기수산 요각류 Paracyclopina nana의 대량배양 (Mass culture of the brackish water cyclopoid copepod Paracyclopina nana Smirnov)

  • 이균우;최영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262-266
    • /
    • 2016
  • 해산 copepod는 어류 양식을 위한 초기먹이생물로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 이들의 대량배양에 관한 연구가 많이 시도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수산 copepod인 Paracyclopina nana의 대량생산을 위해, 실용화 가능한 배양방법개발의 일환으로 rotifer 대체를 위한 P. nana의 nauplius 생산법과 Artemia 대체를 위한 P. nana의 C4-성체 생산법으로 나누어 대량배양을 시도하였다. P. nana의 nauplius 생산 시, 수확된 nauplius는 약 95% 이상이 N1-N2였다. 15일 동안 수확된 nauplius의 일일 평균 생산량은 1, 2차 각각 $6.9{\times}10^6$, $7.2{\times}10^6$였으며, 배양수 내의 암컷과 포란한 암컷의 수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15일 동안 비교적 일정한 개체수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4-성체의 생산시, 수확된 copepod의 비율은 C4-수컷, 암컷 및 포란한 암컷이 각각 약 49%, 28% 및 18%였으며 일일 평균 생산량은 1, 2차 각각 $8.2{\times}10^5$, $9.0{\times}10^5$ 개체였다. 결과적으로, P. nana 대량배양 방법에서 nauplius와 C4-성체의 일정한 생산이 가능하였으며 어류의 입 크기에 따라 배양 방법의 선택에 의해 연속적인 먹이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수온, 염분 및 먹이에 따른 열대 유종류, Metacylis tropica의 성장 (Population growth of a tropical tintinnid, Metacylis tropica on different temperature, salinity and diet)

  • 이균우;최영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322-328
    • /
    • 2016
  • 본 연구는 열대 유종류인 Metacylis tropica의 최적배양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5일 동안 수온, 염분 및 먹이원인 미세조류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M. tropica는 작고 투명한 난형의 피갑을 가지며, 피갑의 구강부 지름, 갑장 및 갑폭의 크기는 각각 $36.7{\mu}m$, $49.5{\mu}m$$44.5{\mu}m$였다. 수온별 실험에서, M. tropica의 최고밀도와 성장률은 수온 $30^{\circ}C$에서 각각 340.7 cells/mL와 1.1/day로 나타났다. 낮은 염분은 M. tropica의 성장에 악영향을 미쳤으며 염분 33 ppt에서 최고밀도가 840 cells/mL로 나타났다. 먹이실험에서, 먹이로 Isochrysis galbana를 공급하였을 때, 가장 높은 성장을 보였다(배양밀도, 413 cells/mL; 성장률, 1.2/day). 본 실험을 종합하여보면, M. tropica는 rotifer에 비해 작은 크기를 가지기 때문에 자어기에 입이 작은 어류의 초기먹이생물로 적합하며, 수온 $30^{\circ}C$, 염분 33 ppt에서 I. galbana를 먹이로 공급하는 것이 M. tropica의 대량배양을 위한 최적배양조건인 것으로 판단된다.

굴, 김 및 조피볼락에서 다환성방향족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의 잔류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Factors Affecting Concentrat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Oyster, Laver and Rockfish)

  • 김강전;최상훈;박관하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53-260
    • /
    • 2008
  • 각각 20 시료씩 최대한 다양한 산지에서 생산된 것으로 추정되는 참굴, 김 및 조피볼락을 시중에서 수집하여 이들 수산 식품에 존재하는 15 종의 다환성 방향족 탄화수소류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의 잔류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1종의 PAHs라도 발견되는 시료의 비율은 참굴 전육질부(75%), 조피볼락 간췌장(35%), 조피볼락 근육(0%), 건조 김(0%) 순이었다. 이런 차이가 나타나도록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실험실에서 대표적 PAHs의 하나인 phenanthrene을 이 세 종의 생물에 0.01 및 $0.1{\mu}g/mL$의 농도로 2주간 노출시켰다. 참굴의 소화선, 김, 조피볼락의 간췌장에서 높은 축적성이 관찰되었지만 굴의 전 육질부(소화선 포함)나 조피볼락의 근육에서는 낮은 축적성이 관찰되었다. 생물 종간의 실험실 노출에서의 축적성 차이와 시중 시료에서 발견된 잔류성 차이는 관련성이 거의 없었다. PAHs는 소수성이 강한 물질이기 때문에 생물 종간 지방 함량을 분석하여 지방함량이 PAHs 축적성에 관련되는 지를 평가하였다. 조피볼락의 간췌장이 근육에 비해 지질 함량이 높았고 phenanthrene 축적성도 높은 것으로 조사되어 조피볼락에서 지질 함량이 간췌장으로의 PAHs의 축적에 어느 정도 기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지만 다른 생물에서는 지질 함량에 따른 phenanthrene 축적성 차이가 없었다. 또한 PAHs 대사를 통한 배설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cytochrome $P_{450}$ 효소의 하나인 7-ethyoxyresorufin-O-deethylase(EROD)의 활성을 분석한 결과, 조피볼락에서는 참굴 보다 EROD 활성이 훨씬 높게 나타나 조피볼락에서 참굴보다 PAHs의 제거가 더 활발하였음을 추정할 수 있었고 그 결과로 인해 조피볼락에서 상대적으로 PAHs 검출 빈도를 낮게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분석되지 않은 인자들 예를 들면, 생물간 노출 조건의 차이, 도피 능력, 섭이를 통한 축적 및 가공 과정에서의 소실 등에 대한 평가는 더 조사해야 할 부분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