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vention program

검색결과 2,651건 처리시간 0.031초

청소년 알레르기성 질환의 복합성과 중증도가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llergy Related Disease on Suicide Ideation among Adolescents in Korea)

  • 왕진우;김은영;박수진;이준협;임국환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1-25
    • /
    • 2016
  • Background & Objectives: There were increasing evidence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allergy related disease such as asthma, atopic dermatitis and allergic rhinitis and suicide ideation. However little was known about the concrete relatedness between severity and comorbidity of allergy related disease with suicide ide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ses of the prevalence of suicide ideation among adolescents with allergy related disease such as asthma, atopic dermatitis and allergic rhinitis, and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allergy related disease and suicidal ideation among adolescents in South Korea. Methods: Data was based on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2014) which was a cross-sectional study containing 34,874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diagnosed with allergy related disease. We used the weights, strata and primary sampling unit information provided by the public use dataset to compute descriptive statistics and logistic regressions. Computations were done with SPSS version 20.0. Results: 19.9%, 15.6%, 13.8% of adolescents who suffered from one, two and three of allergy related diseases respectively reported having been thought of suicide ideation. Socio-demographic factors were adjusted as control variables. Students with greater severity of disease were more likely to have suicide ideation. Odds ratio for students who were absent one to three days from school because of allergies was 1.96(95% CI 1.51-2.46), and odds ratio for those who were absent more than four days from school was 3.60(95% CI 2.46-5.28). Conclusions: Given that adolescents' severity and comorbidity of allergy related disease were clearly associated with suicide ideation, suicide preven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with allergy related disease should be improved by strategic approaches towards the severity and comorbidity of disease.

대학급식시설의 위생관리개선을 위한 HACCP 적용에 관한 연구 - 생.숙채류를 중심으로 - (Application of HACCP for Hygiene Control in University Foodservice Facility - Focused on Vegetable Dishes (Sengchae and Namul) -)

  • 허영수;이복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93-304
    • /
    • 1999
  • 이 연구는 대학급식소를 대상으로 HACCP 개념을 적용하여 급식되는 생.숙채류(8종류)의 매생물적 품질을 평가하고 음식의 위생적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주방의 위생 상태 평가에서 주방 바닥의 물기제거와 조리기구의 소독방법에 대한 기준 설정이 필요하였고, 조리종사자가 위생장갑과 위생적 기구사용에 대한 교육이 요구되었다. 주방의 배치에서 가열조리대와 선반의 거리가 가까워 가열 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선반에 보관된 음식의 미생물 증식 가능온도($5~60^{\circ}C$)에서 다뤄지고 있었으며 육안으로는 신선한 것으로 보였던 원재로의 미생물 수치는 총균수 $10^{5}~10^{7}$, 대장균균 수 $10^{3}~10^{6}$으로 Solberg등이 제시한 총균수 $10^{6}$, 대장균군 수 $10^{3}$을 초과하여 보다 철저한 검수와 적절한 공급자 선정이 필요하였다. 생채의 경우 씻는 과정에서 미생물 수치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계속 증가하여 배식 단계에서는 모두 기준치를 초과하였다. 숙채는 데치기 혹은 볶는 과정에서 미생물이 거의 사멸되었으나 생채와 같이 시간이 경과함으로써 미생물의 재오염이 발생하였다. 사용도구에 대한 미생물 검사 결과 행주를 제외한 배식용기, 조리원의 손, 칼, 야채절단기는 모두 Harrigan과 McCanece가 제시한 총 균수 $100\;\textrm{cm}^2$당 500미만, 대장균군 수 100 $100\;\textrm{cm}^2$당 10 이하의 안전기준치를 초과하여 개선이 요구되었다. 결론적으로 급식되는 음식의 안전을 위해 최상의 원료구입과 음식생산단계에서의 시간단축, 적절한 온도에서는 보고나, 위생적 기구 사용등을 통해 미생물의 증식방지 및 위생 관리에 노력해야 하겠다.

  • PDF

자녀에 대한 부모의 통제와 청소년 음주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ontrol and Adolescents' Drinking)

  • 김용석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9권
    • /
    • pp.103-127
    • /
    • 1999
  • 이 논문은 청소년의 음주수준과 부모의 통제 간의 관계와 학년에 따른 두 변수간의 관계를 밝히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청소년의 음주수준은 음주빈도에 따라 금주, 호기심 수준, 실험적 수준, 습관적 수준으로 구분하였으며, 부모의 통제에는 부모의 감독, 자녀의 행동에 대한부모의 규칙 유무, 청소년의 음주에 대한부모의 태도로 측정되었다. 연구결과, 학년 변수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았을 때 고등학생의 음주 수준과 부모의 통제와의 관계는 대부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밝혀졌는데, 부모의 감독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청소년 자녀의 음주를 허용하지 않는 태도를 가지고 있는 부모를 둔 학생일수록 금주하는 비율이 높았다. 학년 변수의 영향을 고려했을 때 고등학생의 음주수준과 부모의 감독수준 간의 관계는 학년이 높아질수록 점차 약화되고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여 선행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의 행동에 대한 부모의 규칙과 음주수준 간의 관계는 2학년에서 그리고 고등학생 자녀의 음주에 대한 부모의 허용여부와 음주수준 간의 관계는 2학년과 3학년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연구조사에 참여한 학생들은 저학년에서 고학년으로 올라가면서 부모의 감독수준은 낮아지고, 자신의 행동에 대해 부모가 규칙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응답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부모가 자신의 음주를 허용하거나 부모의 태도가 불분명한 정도가 높아진다고 응답하였다. 이 논문의 장점 중의 하나는 예방프로그램의 핵심인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였다는 점이다. 예방프로그램은 수정이 가능한 요인들에 초점을 두고 요인들의 변화를 유도해야 한다. 부모-자녀 간의 관계 증진을 목표로 하는 개입은 사회복지사들에게 매우 익숙하기 때문에 사회복지사는 청소년 음주 및 약물남용 예방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부모가 미성년 자녀의 음주에 대한 명확한 메시지를 자녀에게 전달하고 자녀의 행동에 대한 규칙을 세우며 부모와 자녀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양육방식과 관련된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원조해야 할 것이다.

  • PDF

한 결핵전문병원의 입원 결핵환자 사망에 대한 기술통계학적 고찰 (A Descriptive Study on the Tuberculosis Mortality in a Tuberculosis-Centered Hospital)

  • 김수영;변주남;최진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5호
    • /
    • pp.595-601
    • /
    • 1993
  • 연구배경 : 우리나라의 결핵은 그 예방 및 치료에 괄목할 만한 진전이 있었음에도 사망 순위 10위 안에 들어 있으므로 결핵환자 사망에 대한 역학적 조사를 통하여 분포특성을 제시하여 보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방법 : 1986년부터 1990년까지의 5년동안에 걸쳐 한 결핵전문병원에 내원하여 사망하였던 총 68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일반 역학적 정보와 질병정보를 중심으로 조사하여 변수간의 연관성을 검정하였다. 결과: 1) 5년간의 총 결핵 입원환자 3441명중 684명 인 19.9%가 사망하였다. 2) 남자가 81.0%였으며 남자의 경우는 연령별 분포의 차이가 없었으나 여자의 경우 39세 이하군이 46.3%로 유의하게 많았다. 3) 사망의 의료보장별 분포는 의료보호군이 의료보험군의 42.3%로 매우 많았으며 비보장군도 전체의 11.8%나 차지하였다. 4) 치료를 중단한 경험이 있는 경우나 78.2%를 차지하여 지속적이지 못함을 나타내었다. 결론 : 대상병원의 특이성도 있지만 아직도 많은 폐결핵환자가 사망하고 있고 이들의 대부분이 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었고 병의 정도가 중증인 경우와 재발한 경우가 많아 지속적인 공중보건학적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한국 장애인의 건강수준과 구강보건행태 및 우식경험영구치지수와의 융합적 관련성 연구 (Health status of Korean disabled people and oral health behavior Relation between the cariogenic experience index and permanent index.)

  • 윤현경;이종화;황다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123-133
    • /
    • 2018
  • 본 연구는 전반적인 장애인의 건강수준과 구강보건행태를 평가하여 우식경험영구치지수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013년 제 6기 1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만 19세 이상 성인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성별에 따른 일반적 특성, 장애요인, 사회경제요인, 건강요인, 구강건강행태요인은 복합표본 교차분석을 하였고, 장애인의 우식경험영구치 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복합표본 일반선형모형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우식경험영구치 지수는 여자에 비해 남자가, 연령이 높을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전신건강상태(EQ-5D)가 나쁠수록, 저작기능이 불편 할수록,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더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 성인 장애인의 전반적 구강건강상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장애인의 구강보건을 증진시킬 수 있는 포괄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이 개발과 장애인의 구강건강 예방 및 관리에 대한 정책적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장애인의 폭력 및 차별경험과 자살생각에 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Violence, Discriminat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Person with Disabilities)

  • 김석환;이현주;김지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347-35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에 대한 차별과 폭력경험이 자살생각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자료는 2014 장애인실태조사를 이용하였으며, 6,332명을 최종분석대상자로 하였다. 자살생각은 최근 1년 동안 실제로 자살시도를 해 본적이 있는지 여부로 정의되었다. 참조군은 자살생각 없음이며,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살생각을 가진 장애인은 18.5%(n=1,171)였다. 장애인이라는 이유로 언어폭력과 정신적 폭력을 당한 경험이 있는 경우에서 자살생각 위험이 높게 나타났다. 성희롱, 성추행, 성폭력을 경험한 시기가 청소년기인 경우에서 자살생각 위험이 16.7배(CI=4.22-66.18), 가해자가 모르는 사람인 경우 5.85배(CI=2.34-14.6), 대처방법이 무시하거나 참는 경우 4.08배((CI=2.05-8.12) 자살생각 위험이 높았다. 결혼 시 차별경험을 받은 경우 1.60배(CI=1.24-2.08), 장애로 인한 차별을 항상 느끼는 경우 2.73배(CI=4.22-66.18) 자살생각 위험이 높았다. 차별경험과 폭력경험으로 인한 자살생각은 자살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정신적 안녕을 위해 가족 및 사회의 관심과 배려 및 지역사회 차원의 예방프로그램이 함께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한국인의 고위험 음주 예측모형 개발 연구 (Developing the high-risk drinking predictive model in Korea using the data mining technique)

  • 박일수;한준태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6호
    • /
    • pp.1337-1348
    • /
    • 2017
  • 본 연구는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한 전국 규모의 자료인 지역사회건강조사 2014년 자료를 이용하여 고위험 음주자들의 특성 및 요인을 파악하고 고위험 음주 예측모형을 개발했다. 예측모형 개발은 데이터마이닝 방법 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의사결정나무, 신경망 분석 3가지 방법을 적용했으며,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주요 결과로는 40대 남자의 위험도가 높았고, 사무직과 판매서비스직의 위험도가 높았다. 특히 현재 흡연자인 경우 고위험 음주 위험도가 높았다. 3가지 방법 중 AUROC (area under a receiver operation characteristic curve) 측면에서 신경망 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고위험 음주 예방을 위한 우선 관리 대상자를 선정함에 있어 신경망 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개발된 예측모형의 사후확률을 기초로 두 가지 모형 모두 예측분포의 상위 10%인 집단에 해당되는 경우를 선정한 결과 신경망 분석이나 로지스틱 회귀모형 1가지 모형으로 적용하는 것보다 반응률 및 향상도가 다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고위험 음주 예측모형과 우선 관리 대상자 선정 방법은 문제적 음주 예방 및 개선 교육, 절주 프로그램 개발 등에 보다 세분화되고 효과적인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대학생들의 건강관련행위 (Health Practices of University Students)

  • 이원재;반덕진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57-171
    • /
    • 1999
  • This paper analyzed health practices of students in an university in Chollabukdo Province. It attempted to study how many university students had what kinds of health practices. Furthermore, it tried to find out what are the major problems in health practice among university students. To study health practices of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sampled 1,469 students randomly. Many of the students had poor practices of teeth care. In tooth-brushing, many students (35.8%) brushed their teeth before breakfast in the morning. Most of the students (95% or more) visit dental clinic only when they had problem(s) in their teeth. For weights, there exists a great gap between perception and BMI (Body Mass Index), especially among female students. Among the female students who perceived their weights were above average, 96.4% of them were normal according to BMI. Many of the students were drinking greater amount of alcohol than safe amount suggested by the National Health and Medical Research Council of Australia. The proportion of the students drinking harmful or hazardous amount of alcohol were 79.5% of the male students and 74.9% of the female students. It suggests that health promotion fund or tax need to be levied on alcohol to frustrate unhealthful drinking. More than half (59.0%) of the male students and about 6.0% of the female students were smoking cigarettes. The smoking initiation ages were 17.8 for male and 18.2 for female students. It means that many of the students started smoking in their junior high or high schools. It implies that smoking prevention and smoking cessation programs need to be emphasized in these schools. For perception on sex, 27.8% of the male students and 60.9% of the female students thought to keep their virginity before their marriage. The female students were more conservative in perception on sex. The average number of sexual intercourses per year of male students was 17.0 times with their lovers, 7.9 times with prostitutes, and 7.0 times with maids. The female students had sexual intercourses 5.0 times with their lovers and 4.0 times with waiters per year. The proportion of students who had experience of sexual intercourse with homosexual partners was 1.0%. The finding this study was that the university students were vulnerable to poor health practices. It is suggested that public health intervention program be provided for university students to keep them in good healthy lifestyle.

  • PDF

자일리톨 섭취에 따른 Streptococcus mutans의 글루칸 생성관련 유전자 발현 억제효과 (INHIBITION OF GLUCAN SYNTHESIS RELATED GENE EXPRESSION OF STREPTOCOCCUS MUTANS BY XYLITOL TREATMENT)

  • 김지혜;이영은;안상헌;최연희;남순현;송근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31-53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장기적인 자일리톨의 섭취가 Streptococcus mutans의 대표적인 독성인자 중 하나인 글루칸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글루칸 합성효소인 glucosyltansferase의 mRNA 발현을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통해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24개월 동안 자일리톨껌을 섭취한 군에서 타액 내 Streptococcus mutans의 colony 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2. 비수용성 글루칸 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gtfB, gtfC의 발현은 자일리톨껌을 섭취한 군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의 하게 감소하였다(p<0.05). 특히 gtfB의 발현은 12개월과 24개월째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고, gtfC의 발현은 24개월째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3. 수용성 글루칸 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gtfD의 발현 역시 자일리톨껌을 섭취한 군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또한 gtfD의 발현은 12개월과 24개월째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보았을 때, 자일리톨의 섭취는 구강 내 Streptococcus mutans의 글루칸 합성 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을 억제시킴으로써 Streptococcus mutans의 수적인 감소를 가져오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운동에너지탄에 의한 전투시스템의 순간화재 발생가능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Flash Fire of Combat System by Kinetic Energy Ammunitions)

  • 박영주;이은민;이해평;황미정;이창현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89-97
    • /
    • 2014
  • This study analyzed various possibilities of flash fire which could occur in a variety of combats, in order to predict that of flash fire of combat system armor using Autodyn program. The possibility was judged by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fuels, which was caused by the impact of parts of fuel systems through an armor, in the event of getting shot by external ammunition. Diverse variables could affect the possibility of flash fire: external ammunition(Type A: penetration 570 mm, Type B: penetration 410 mm), fuels(Gasoline, Diesel, Kerosene), the thickness of an armor(100, 200, 300, 400, 500 mm), the gap of a fuel tank and an armor(45, 95, 145, 195, 245, 295 mm). As a result, when an armor was 20 mm think, the temperature of 3 fuels ranged like this: Gasoline 372~387 K, Diesel 442~408 K, Kerosene 384~395 K. Although they made a little difference among them, they all didn't reach their ignition points. When an armor was 200 mm think, each fuel reached the maximum temperature, not reaching its ignition points as well. The thicker an armor was, the lower the temperature got. When Type B ammunition was used, the temperature of fuels went up 19~59 K higher than Type A was used. In the case that the gap of fuel tank and an armor was 20 mm thick,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Gasoline showed 389~450 K, the maximum temperature appeared in the gap of 145 mm, and the minimum temperature 295 mm. For Type B,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fuels ranged 386~401 K, the maximum temperature appeared in the gap of 245 mm, and the minimum temperature 45 m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cases, and neither of them reached its ignition point. Accordingly, as the tested fuels of combat systems didn't reach their ignition points, it is thought that the possibility of flash point of an armor is l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