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vention of dementia

검색결과 208건 처리시간 0.025초

치매안심센터 간호사의 업무 중요도와 수행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Work Importance and Work Performance of Nurses in the Dementia Relief Center)

  • 장현정;마예원;박혜선;임선영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87-202
    • /
    • 2022
  • Purpose :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establish basic data for stable operation of dementia relief center as a part of national responsibility system for dementia and to establish the role of the professional workforce. Methods : This study is a survey study involving 126 nurses working at 19 dementia relief cent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3.0. Results : The importance tasks that nurses think of were Dementia Diagnosis, Counseling, Register and Classification and Dementia Preventive Projects. In addition, tasks that showed high performance were in the order of Dementia Diagnosis, Counseling, Register and Classification, Management of Dementia subjects. As a result, the final items of work areas and contents included 45 subcategories of work content for eight work areas. Conclusion :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investigate the overall work area and content of nurses at the Dementia relief Cent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work description suitable for nurses who are medical personnel specializing in dementia safety center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work description suitable for nurses who are medical personnel specializing in dementia safety centers. In connection with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it is necessary to operate a systematic and continuous program to manage dementia patients and thos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in the community.

실버인지건강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th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by Cognitive Health Program)

  • 김능연;정현종;장아령
    • 한국노년학
    • /
    • 제39권4호
    • /
    • pp.801-824
    • /
    • 2019
  • 현 고령화 사회로 치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치매예방에 대한 국가 차원의 프로그램이 미흡한 실정이다. 치매 예방 프로그램과 보급을 위해, 인지 기능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인지 기능 변별력, 구성력, 사고력, 기억력, 집중력으로 나누어 평가하여, 이러한 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 기능에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실버인지 건강 프로그램을 편성하고, 실험 군과 대조군을 모집해 3개월 동안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실험 군과 대조군을 대상으로 MMSE-DS, 노인 우울척도, 인지영역테스트 실시하여 설문조사 방법을 통해 전후를 비교, 분석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프로그램 진행 전과 후의 인지 기능, MMSE-DS, 노인 우울척도를 비교한 결과 인지건강프로그램이 인지기능, MMSE-DS 및 노인우울척도 개선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2. 인지 기능을 5개 영역으로 나누어 테스트한 결과 기억력, 사고력, 집중력, 변별력, 구성력 순으로 향상되었다. 3. 인지건강 프로그램 실시 후 기억력과 사고력이 가장 많은 변화를 보였는데 뇌의 노화가 기억력과 사고력 부분에 많이 일어나므로, 이에 대한 집중적인 교육이 더 좋은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치매노인들의 바이오피드백 훈련에 따른 뇌파 변화 (The Change of Electroencephalogram According to Bio-Feedback Training in Dementia)

  • 김연주;이승주;박래준;이윤미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313-322
    • /
    • 2010
  • Purpose :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cognitive rehabilitation training on the cognitive decline of dementia patien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brain activation according to bio-feedback training in dementia. Methods : Ten dementia patients were recruited this study. Experiment was performed for 30min per session, five times a week through 4 week and two measurements before and after bio-feedback training. Brain activity was measured by Korea Electroencephalogram(EEG) system. Statistical analysis was used Wilcoxon signed rank test to know difference of EEG between pre and post-test in each group and Mann-Whitney U test was to know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Results : Significant improvement of slow-alpha wave was observed following bio-feedback in experiment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Conclusion : In this study, the bio-feedback train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slow-alpha wave in dementia patients. It is suggested that bio-feedback training with dementia patients can be useful to ameliorate the cognitive decline. And it will be effective for prevention of cognitive function decline.

치매 인식과 태도가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ementia Perception and Attitude on Aging Anxiety)

  • 유용식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277-28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노화불안을 줄이고 효과적인 치매예방 및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충북 J시에 거주하는 시민 50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치매 인식과 태도가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노화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치매 인식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치매 인식이 낮을수록 노화불안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치매 태도는 노화불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정책제언을 하면 첫째, 치매 인식 증진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과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치매 인식개선을 위한 홍보 강화가 필요하다. 셋째, 치매 인식 향상을 위한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치매파트너 간호학생의 치매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Knowledge and Attitudes of Dementia Partner Nursing Students on Dementia)

  • 조상희;김은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317-323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파트너로서 활동을 경험한 간호학생의 치매에 대한 지식과 태도의 정도를 파악하여 치매예방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치매파트너로서 활동을 경험한 간호학생 157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들은 치매에 대한 지식수준이($9.77{\pm}2.55$점, 범위 0~15점), 치매에 대한 태도가($39.76{\pm}4.00$, 범위 0~60점)으로 나타났고, 치매 지식과 치매 태도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213, p=.001). 결론적으로 치매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함양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국가 차원의 다양한 정책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치매의 진단, 예방 및 완화를 위한 스마트폰용 게임 애플리케이션 개발 (Integration of Application Program for Dementia Diagnosis using Biometric Sensor and Oxygen Chamber)

  • 윤성민;최효선;조면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953-2961
    • /
    • 2014
  • 치매는 한번 발병하면 치유가 어려운 병이지만 조기에 발견하면 치료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과 생체센서를 이용하여 치매를 조기에 진단 및 관리 할 수 있는 앱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치매진단의 결과에 따라 치매를 사전에 예방하고 치매를 지연 및 완화 할 수 있는 기능성 게임을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써 치매의 진단, 예방 및 완화 등의 기능을 한 번에 제공하는 통합 치매관리 도구를 제공하였다. 특히 제안한 치매완화용 게임은 단순한 화살표 조작인 아닌 양팔을 이용한 공간감각과 평형감각을 요구하므로, 치매의 치료 효과가 배가된다. 만약 제안하는 치매 관리용 스마트폰용 앱을 이용하여 꾸준히 치매를 진단하고 예방하며, 게임을 통해 완화시킨다면 치매로 인한 사회적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비대면 치매 예방 교육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인식 조사 (A Survey of Occupational Therapists' Perceptions of Telerehabilitation Dementia Prevention Education)

  • 김민지;신원미;양영애
    • 재활치료과학
    • /
    • 제11권1호
    • /
    • pp.35-47
    • /
    • 2022
  •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여 비대면 치매 예방 교육 제공 의도 및 비대면 치매 예방 교육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21년 3월 13일부터 3월 19일까지 부산, 울산, 경남 지역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배부된 설문지는 총 100부였으며 회수된 설문지는 총 70부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인 SPSS 23.0을 사용하여 빈도 분석 및 기술 통계를 실시하였다. 결과 : 영역별 평균 점수는 다음과 같다. 적합성의 평균 점수는 3.92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교육 제공 의사 3.89점, 지역사회 중심 재활 인식 3.81점, 비용 절감 3.78점, 유용성 3.75점, 접근성 3.62점, 의료서비스의 질 3.49점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 작업치료사들의 지역사회 중심 재활 참여 및 비대면 치매 예방 교육 프로그램 참여 여부를 묻는 항목 모두 각각 높은 점수로 나타나며 작업치료사의 적극적인 참여 의사를 보여주는 것을 알 수 있다. 추후 비대면 치매 예방 교육 활성화를 위하여 후속 연구와 더불어 정부 및 지자체 내에서의 접근성 증진을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MIND 식단교육을 이용한 치매예방 영양프로그램이 고위험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ementia Prevention Nutrition Program Using MIND Diet on the Changes in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with High-Dementia Risks)

  • 송재은;최성혜;홍창형;정지향;문소영;나해리;박희경;박유경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7권4호
    • /
    • pp.248-262
    • /
    • 2021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he Mediterranean-DASH Intervention for Neurodegenerative Delay (MIND) diet of the Korean multi-domain dementia prevention program on the cognitive function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risk factors. We developed the program including nutrition, exercise, cognitive training, vascular disease prevention, and motivation. One- hundred and fifty-three participants aged 60~79 years with at least 1 dementia risk factor were randomly assigned in a 1:1:1 ratio to the facility-based intervention (FMI), home-based intervention (HMI), and the control group.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10 classes over 24 weeks: the FMI received 7 group sessions and three 1:1 sessions, the HMI received 4 group sessions and three 1:1 sessions with 3 homework sessions. The Nutrition Quotient for Elderly (NQ-E) and the Mini Nutritional Assessment (MNA) were used to evaluate nutritional status. The Repeatable Battery for the Assessment Neuropsychological Status (RBANS),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and the Cognitive Complaint Interview (CCI) were used to evaluate cognitive functions. A total of 136 people completed the program with an 11.1% dropout rate. The NQ-E (P=0.009) and RBANS (P=0.001) score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FMI (N=45) and HMI (N=49)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N=42) after the study. The changes in the score of MNA and CCI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groups. In conclusion, the nutritional intervention which focused on the MIND diet as a part of a multi-domain intervention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healthy eating habits and cognitive function scores in the high-risk dementia group.

한·일 대학생의 노인복지 인식, 치매 인식, 치매태도가 치매정책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Korean-Japanese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Welfare, Dementia Perception, and Dementia Attitude on Dementia Policy Perception)

  • 류애란;이국권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349-355
    • /
    • 2023
  • 본 연구는 한·일 대학생의 노인복지 인식, 치매 인식, 치매태도가 치매정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일 대학생의 치매정책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한·일 대학생 노인복지 인식, 치매 태도가 치매정책 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결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과 일본은 저출산 고령사회 속에서 노인을 위한 사회보험제도를 발전시켜 왔으며, 양국의 문화에 맞는 부양방식의 서비스를 개발하여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한·일 대학생들의 치매정책 인식에 있어 한국의 노인장기요양보험과 일본의 개호보험의 영향으로 대학생들에 노인복지 인식, 치매 태도의 변화를 가져왔다. 하지만 치매인식이 치매정책 인식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을 나타나 대학생들의 치매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 치매인식은 여러 가지 치매관련 서비스 또는 치매정책 개발에 대한 요구를 증가시킬 수 있지만 치매인식이 낮으면, 치매에 대해 오해하거나 부정적인 인식이 나타날 수 있다. 이는 치매정책인식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치매와 관련된 사회적 지원, 예방, 치료 등의 서비스와 정책이 충분히 발전하지 않을 수 있다. 앞으로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대학생에 대한 치매인식 개선과 이해를 돕기위한 정부와 사회 등 다양한 정보의 제공과 의식향상을 통한 인식개선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일부 지역 노인의 전신건강과 구강건강상태가 치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eneral and oral health status on dementia in the elderly in some areas)

  • 김유린;허성은;장경애;강현경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51-158
    • /
    • 202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general and oral health status on dementia. Methods: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KDSQ-C (Korean Dementia Screening Questionnaires-Cognition) and to investigate the oral health status of the participants. An independent t-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general health and oral health status depending on the normal and suspected dementia group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ssess the effects of general and oral health status on dementia. Results: Regarding the health status of the subjects assessed by the KDSQ-C, the higher the current health status and the higher the exercise status, the lower was the dementia level (p<0.05). During the assessment of oral health conditions in KDSQ-C subjects, dementia was more suspected in subjects with dental decay and periodontal disease than in those without dental decay (p<0.05). Conclusions: Dementia has been confirmed to be closely related to general and oral health conditions. Therefore, oral health-related programs are essential for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Since dental hygienists are best suited for providing oral care to older adults with dementia, it is considered essential to reflect their occupation in future national poli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