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valence rates

검색결과 720건 처리시간 0.03초

비만, 폐쇄성 수면무호흡증과 대사장애 (Obesity, Obstructive Sleep Apnea, and Metabolic Dysfunction)

  • 김진관;표상신;윤대위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285-295
    • /
    • 2021
  • 수면은 필수적인 생리적 기능일 뿐만 아니라 인간의 성장, 성숙 및 전반적인 건강을 증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수면과 수면 장애가 대사성 질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일반적인 건강 문제이며, 지난 10년 동안 비만율의 증가로 인해 더 두드러진 대사 질환과 함께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유병률이 현저하게 증가했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에 의한 대사성 질환을 유발하는 근본적인 메커니즘은 다인성일 가능성이 높으며, 완전히 밝혀지지 않고 있지만, 염증과 산화 스트레스의 활성화와 식욕 조절 호르몬의 조절 장애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게 나타나는 대사 기능 장애와 비만의 중요한 병리 생리학적 성분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폐쇄성 수면무호흡증과 대사질환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현황과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 이러한 질병을 유발하는 병리생리학적 메커니즘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과 비만, 그리고 폐쇄성 수면무호흡증과 대사 기능 장애 사이의 잠재적인 상호작용을 이해할 수 있다.

최근 5년간 국내 소아청소년에서 분리된 Haemophilus influenzae의 항생제 감수성 분석 (Trend of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Haemophilus influenzae Isolated from Children, 2014-2019)

  • 이은택;박세라;김미나;이진아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7권3호
    • /
    • pp.147-157
    • /
    • 2020
  • 목적: 최근 β-lactam 계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보이는 Haemophilus influenzae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5년간 서울아산병원 어린이 병원에서 분리된 H. influenzae 균주의 항생제 내성 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2014년 3월부터 2019년 4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어린이병원을 내원한 18세 미만의 소아청소년 환자의 임상 검체에서 분리된 H. influenzae 균주를 대상으로 항생제 내성 양상을 분석하였다. 결과: 최근 5년간 총 69례의 H. influenzae가 분리되었으며 이들 환자의 연령 중앙값은 5.0 (2.8-8.6)세였다. 총 69례 중 3례(4.3%)가 혈액 배양에서 분리되었으며, 66례(95.7%)가 비침습성 균주로서 대부분 호흡기 검체(59례)에서 분리되었다. 항생제 감수성 분포는 ampicillin (AMP) 감수성/amoxicillin-clavulanate (AMC) 감수성 균주 15례(21.7%), AMP 내성/AMC 감수성 21례(30.4%), AMP 내성/AMC 내성 33례(47.8%)였으며, 최근 5년에 걸쳐 AMP 내성/AMC 내성 균주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014-2015: 42.1% [8/19], 2016-2017: 46.4% [13/28], 2018-2019: 54.5% [12/22], P for trend=0.342). 2014-2015년에 비해 2018-2019년 기간에는 cefuroxime과 ceftriaxone에 대한 내성률은 각각 31.6%에서 77.3% 및 0.0% 에서 59.1% 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for trend 0.003 및 <0.001). 결론: 최근 국내의 3차 의료기관에 입원한 소아에서 분리되는 H. influenzae 균주는 AMP및 AMC에 대해 모두 내성인 경우가 흔하며, cefuroxime 및 ceftriaxone 에 대한 내성률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균주의 내성 기전 분석과 함께 이의 출현과 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수적이다.

울산지역 초등학교 학생에서 대기중 꽃가루 비산 수준과 흡입 알레르겐 감작률과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Airborne Pollen Counts and Sensitization Rate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Ulsan)

  • 오연서;최승원;오인보;이지호;심창선;방진희;김양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735-749
    • /
    • 2020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irborne pollen counts, inhalant allergen sensitization rate, and allergic disease prevalence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Ulsan, South Korea during 2012-2018. Methods: Burkard samplers for pollen were installed on rooftops in suburban and urban areas in Ulsan. A 24-hour sampling of airborne allergens was conducted six days/week from January 1, 2013 to November 31, 2018. Skin prick tests were done with a total of 4,246 primary school students residing in urban and suburban areas in 2012, 2014, 2016, and 2018. This study examined sensitization to 20 major inhalant allergens. Results: The highest monthly counts of airborne pollen were observed in April and September each year. Among the pollen identified over the six years, pine showed the highest pollen counts (44.3%), followed by oak (22.3%), alder (6.3%) and Japanese hops (4.3%). Tree pollen predominated from March to June, and weed pollen predominated from August to October. Higher sensitization rates for inhalant allergens were observed in Dermatophagoides farinae (42.4%),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43.6%), cat fur (12.1%), birch (9.9%), oak (9.6%), and alder (8.7%). The inhalant allergen sensitization rate was highest in the group with comorbidity (asthma and/or rhinitis and atopic dermatitis), and respiratory allergic disease (asthma and/or rhinitis) was higher than that of atopic dermatitis. Conclusion: Both the counts of tree pollen in the air and the sensitization rate for tree pollen were high in Ulsan. The temporal change in respiratory allergic diseases was similar to that for the sensitization rate of tree pollen, such as oak. In the future, it is considered that additional continuous research on various inhalant allergens and pollen should be conducted.

결핵균의 항결핵제 내성 전환 패턴 (The Patterns of Conversion to Anti-Tuberculosis Drug Resistance in Mycobacterium tuberculosis)

  • 정무상;이규택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25-132
    • /
    • 2022
  • 다제내성결핵과 광범위내성결핵은 결핵 치료의 문제가 되고 있으며 발생빈도 역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10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녹십자의료재단 의뢰된 환자를 대상으로 Löwenstein-Jensen 고체배지와 pyrazinamide for pyrazinamidase를 이용하여 약물감수성시험(DST)을 시행하여 내성으로 전환되는 항결핵제 패턴과 평균 추적 기간을 분석하였다. 항결핵제 중 1개 이상의 항결핵제 내성을 보인 증례들에서 초기 의뢰 시 INH 항결핵제에 내성인 경우가 55명(33.1%)으로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내성으로 전환된 항결핵제는 EMB 17명(26.6%), RFP 14명(21.9%), QUI 14명(21.9%), PZA 12명(10.9%) 순으로 조사되었다. 10개의 항결핵제에 모두 감수성인 증례들에서는 INH 항결핵제에 대한 내성 전환은 43명(7.2%)으로 가장 빈도가 높았으며, 평균 추적 기간은435.6일로 조사되었으며, 내성으로 전환되는 항결핵제의 내성전환율은 INH 43명(7.2%), RFP 23명(3.9%), SM 11명(1.9%), QUI 4명(0.7%), AMK 3명(0.5%), EMB 3명(0.5%)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항결핵제에 대한 감수성에서 내성으로의 전환은 특히 다제내성결핵과 광범위 내성결핵의 전환되는 환자에게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이며, 결핵 치료에서 환자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토픽모델링을 이용한 국내 미세먼지 연구 분류 및 연구동향 분석 (A Study on the Research Topics and Trends in South Korea: Focusing on Particulate Matter)

  • 박혜민;김태용;권대웅;허준용;이주연;양민준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8권5_3호
    • /
    • pp.873-885
    • /
    • 2022
  • 전 세계적으로 미세먼지(particulate matter, PM)와 사망률 및 유병률 증가의 관련성이 보고되면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대 후반을 기점으로 PM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PM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먼지' 관련 연구들의 주제를 분류하고, 각 주제별 연구 동향을 확인하기 위해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에 게재된 미세먼지 관련 2,764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Latent Dirichlet Allocate (LDA)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총 10개의 주제로 분류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였으며, 미세먼지 관련 연구주제는 '미세먼지 저감(Topic 1)', '정부 정책 및 관리(Topic 2)', '미세먼지 특성(Topic 3)', '미세먼지 모델(Topic 4)', '환경교육(Topic 5)', '바이오(Topic 6)', '교통수단(Topic 7)', '황사(Topic 8)', '실내 미세먼지 오염(Topic 9)', '인체 위해성(Topic 10)'의 주제로 분류할 수 있었다. 특히, '정부 정책 및 관리(Topic 2)', '미세먼지 모델(Topic 4)', '환경교육(Topic 5)'. '바이오(Topic 6)' 관련 연구주제들이 시간에 따라 전체 논문에 대한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성행하는 것을 확인하였다(linear slope>0). 본 연구의 결과는 미세먼지 관련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에게 새로운 문헌 고찰의 방법론을 제시하고, 미세먼지 분야의 역사와 발전에 대한 이해를 제공했음에 의의가 있다.

Low serum 25-hydroxyvitamin D levels, tooth loss, and the prevalence of severe periodontitis in Koreans aged 50 years and older

  • Kim, Hyunju;Shin, Min-Ho;Yoon, Suk-Ja;Kweon, Sun-Seog;Lee, Young-Hoon;Choi, Chang-Kyun;Kim, OkJoon;Kim, Young-Joon;Chung, HyunJu;Kim, Ok-Su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50권6호
    • /
    • pp.368-378
    • /
    • 2020
  • Purpose: Vitamin D deficiency may cause bone loss and increased inflammation, which are well-known symptoms of periodontal disease.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serum 25-hydroxyvitamin D (25(OH)D) levels are associated with periodontal disease status and tooth loss. Methods: Cross-sectional data from 5,405 individuals aged ≥50 years (2,253 males and 3,152 females) were obtained from the 2008-2010 Dong-gu study, a prospective cohort study of risk factors for chronic diseases. Periodontal examination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the periodontal probing depth (PPD), the clinical attachment level (CAL), and bleeding on probing. The percentages of sites with PPD ≥4 mm and CAL ≥4 mm were recorded for each participant. The severity of periodontitis was classified using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nd the American Academy of Periodontology case definitions. Serum 25(OH)D levels were classified as reflecting severe deficiency, deficiency, insufficiency, or sufficiency.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ssess the associations of serum 25(OH)D levels with periodontal parameters and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after adjusting for confounders including age, smoking status, alcohol consumption status, month of blood collection, and physical activity.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serum vitamin D levels and severe periodontitis. An overall statistical analysis and a stratified analysis by sex were performed. Results: Overall, the rates of severe deficiency, deficiency, insufficiency, and sufficiency were 6.5%, 67.9%, 22.4%, and 3.2%, respectively. After adjustment for confounders, vitamin D levels were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an association that was significant in males, but not in females. Sufficient serum 25(OH)D was associated with a low frequency of severe periodontitis. Conclusions: This population-based cross-sectional study indicates that low serum 25(OH) D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ooth loss and severe periodontitis in Koreans aged 50 years and older.

국내 40세 이상 위암 환자의 성별에 따른 혈액생화학적 특성, 영양섭취비교: 제7기(2016-2018)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횡단연구 (Comparison of bloo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dietary intake by sex in gastric cancer patients over 40 years in Korea based on 7th (2016-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 cross-sectional study)

  • 이현주;오성원;김숙배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8-60
    • /
    • 2023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ex-associated differences in the dietary intake of gastric cancer patients in Korea. Methods: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the 7th (2016-2018) were analyzed in the present study. The subjects included 122 gastric cancer patients aged over 40 years (75 male, 47 female). General characteristics (age, marital status, household income, education, food security, comorbidities, alcohol drinking, and smoking),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s (height, weight, body mass index, and blood pressure), bloo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fasting plasma glucose (FPG), blood urea nitrogen (BUN), creatinine,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nd HDL-cholesterol)], and quantity and quality of dietary intake were compared between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Results: Males had higher rates of having a spouse, prevalence of hypertension, alcohol drinking, and smoking than females. The proportion of males with a normal range of FPG, BUN, and HDL-cholesterol was lower than that in females. The total cholesterol levels above the normal range were higher in females than in males. We also found that females had a higher percentage of intakes below the estimated energy requirement (EER) and intakes below the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EAR) for carbohydrates, niacin, phosphorus, and iron than males. The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INQ) for phosphorus and folate, nutrient adequacy ratio (NAR) for vitamin C, thiamine, niacin, folate, calcium, and phosphorus, and the mean adequacy ratio (MAR) were lower in females than males. Conclusions: In Korean gastric cancer patients, management of comorbidities such as diabetes and hypertriglyceridemia, lowering FPG, and raising HDL-cholesterol level management is required for males, whereas management of lowering total cholesterol and raising hematocrit is required for females.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nutritional intakes were poor in gastric cancer patients, especially in females, who had a lower nutritional intake than males. We suggest that nutritional interventions are needed to improve the overall nutritional intake in both male and female gastric cancer patients. In particular, we propose that support is urgently needed for females whose nutritional intake is lower than that of males. In addition, family, social, and national support for nutritional management of female gastric cancer patients is highly necessary.

가정폭력 치료 프로그램 이수자 아내의 능동적 대처가 재폭력에 미치는 영향 : 아내의 문제해결과 도움요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ctive Coping of Spouses of Domestic Violence Perpetrator who Completed Batterer Intervention Program and Recidivism: Study of Follow-up Evaluation for Domestic Violence Batterer Intervention Program)

  • 김재엽;정윤경;송아영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4호
    • /
    • pp.217-238
    • /
    • 2011
  • 본 연구는 가정폭력가해자 프로그램 이수 후 가해자들의 재폭력에 피해 여성의 능동적 대처방식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08년에서 2009년에 걸쳐 가정폭력 행위자 치료 프로그램 장기 효과 연구에서 수집되었다. 프로그램 이수 후 피해 여성을 3차에 걸쳐 추적 조사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1, 2차 시점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표본의 수적 한계와 연구의 특성을 고려하여 PLS(Partial Least Square)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정서적 폭력의 경우 1차와 2차 각각 발생률이 77.6%, 41.3%로 나타났으며 신체 폭력의 경우 시점 각각 43.1%, 18.4%의 발생률을 보였다. 모형 분석 결과 남편의 정서적 재폭력에 대해서는 여성의 문제해결의 능동적 대처방식이 조절효과를 나타내었으며(p<.001), 신체 재폭력에 있어서는 문제해결이 아닌 도움요청이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폭력 재폭력에 대응하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위암과 대장암 경험자의 신체구성 및 신체활동 참여 실태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Body Composition in Colorectal and Gastric Cancer Survivor)

  • 이미경;민지희;전용관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5권3호
    • /
    • pp.465-472
    • /
    • 2016
  • 본 연구는 위암과 대장암으로 진단 받은 암 경험자를 대상으로 신체구성과 신체활동량을 비교 분석하고 성별, 연령에 따른 신체활동 참여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2014년 6월부터 2015년 4월까지 서울 시내 소재 Y대학병원 암예방센터에 방문한 위암과 대장암으로 진단 받은지 4년이 지난 암경험자 354명(위암: 169명, 대장암: 18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신체활동량은 국제신체활동설문지(Glob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GPAQ)의 한글판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추가로 주당 걷기운동량과 근력운동 횟수를 설문하였다. 연구 결과 대장암 경험자가 위암 경험자보다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체지방률, 혈압 및 당뇨 유병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중강도 신체활동 150분 또는 고강도 신체활동 75분 이상 참여하는 위암 경험자는 41.4%, 대장암 경험자는 26.5%로 위암 경험자의 신체활동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일주일에 2회 이상 근력운동에 참여한 환자는 전체 평균 13.6%로 나타났다. 위암과 대장암 경험자 중 남자가 여자보다 신체활동참여율이 높았고, 65세 미만이 65세 이상 그룹보다 신체활동량이 높게 나타나고 좌식생활은 낮게 나타났다. 대장암과 위암 경험자들의 신체활동 참여율을 증진시키지 위한 대안이 제시되어야 하며, 특히 여성과 노인의 신체활동 참여율의 증진에 힘써야 한다.

심부전의 한약 임상연구에 활용된 한약재에 대한 기구축 DB(K-HERB NETWORK)를 활용한 네트워크 분석 (Network Analysis Using the Established Database (K-herb Network) on Herbal Medicines Used in Clinical Research on Heart Failure)

  • 박수빈;김예지;배기상;김철현;윤인애;임정태;추홍민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13-353
    • /
    • 2023
  • Objectives: Heart failure is a chronic disease with increasing prevalence rates despite advancements in medical technology. Korean medicine utilizes herbal prescriptions to treat heart failure, but little is known about the specific herbal medicines comprising the network of herbal prescriptions for heart failure. This study proposes a novel methodology that can efficiently develop prescriptions and facilitate experimental research on heart failure by utilizing existing databases. Methods: Herbal medicine prescriptions for heart failure were identified through a PubMed search and compiled into a Google Sheet database. NetMiner 4 was used for network analysis, and the individual network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herbal medicine classification system to identify trends. K-HERB NETWORK was utilized to derive related prescriptions. Results: Network analysis of heart failure prescriptions and herbal medicines using NetMiner 4 produced 16 individual networks. Uhwangcheongsim-won (牛黃淸心元), Gamiondam-tang (加味溫膽湯), Bangpungtongseong-san (防風通聖散), and Bunsimgi-eum (分心氣飮) were identified as prescriptions with high similarity in the entire network. A total of 16 individual networks utilized K-HERB NETWORK to present prescriptions that were most similar to existing prescriptions. The results provide 1) an indication of existing prescriptions with potential for use to treat heart failure and 2) a basis for developing new prescriptions for heart failure treatment. Conclusion: The proposed methodology presents an efficient approach to developing new heart failure prescriptions and facilitating experimental research. This study highlights the potential of network pharmacology methodology and its possible applications in other diseases. Further studies on network pharmacology methodology are recomme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