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term low birth weight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4초

Catheter-related bloodstream infection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 Lee, Jung-Hyu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4권9호
    • /
    • pp.363-367
    • /
    • 2011
  • Central venous catheters (CVCs) are regularly used in intensive care units, and catheter-related bloodstream infection (CRBSI) remains a leading cause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particularly in preterm infants. Increased survival rate of extremely-low-birth-weight infants can be partly attributed to routine practice of CVC placement. The most common types of CVCs used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NICUs) include umbilical venous catheters, peripherally inserted central catheters, and tunneled catheters. CRBSI is defined as a laboratory-confirmed bloodstream infection (BSI) with either a positive catheter tip culture or a positive blood culture drawn from the CVC. BSIs most frequently result from pathogens such as gram-positive cocci,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and sometimes gram-negative organisms. CRBSIs are usually associated with several risk factors, including prolonged catheter placement, femoral access, low birth weight, and young gestational age. Most NICUs have a strategy for catheter insertion and maintenance designed to decrease CRBSIs. Specific interventions slightly differ between NICUs, particularly with regard to the types of disinfectants used for hand hygiene and appropriate skin care for the infant. In conclusion, infection rates can be reduced by the application of strict protocols for the placement and maintenance of CVCs and the education of NICU physicians and nurses.

Effect of early postnatal neutropenia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born to mothers with pregnancy-induced hypertension

  • Park, Yang Hee;Lee, Gyung Min;Yoon, Jung Min;Cheon, Enn Jung;Ko, Kyung Ok;Lee, Yung Hyuk;Lim, Jae Woo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5권12호
    • /
    • pp.462-469
    • /
    • 2012
  • Purpose: In this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the perinatal clinical conditions of very low birth weight (VLBW) infants born to mothers with pregnancy-induced hypertension (PIH) focusing on the effects of early postnatal neutropenia.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91 VLBW infants who were born at Konyang University Hospital, between March 2003 and May 2011.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infants and their mothers and compared the incidence of perinatal diseases and mortality of the infant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maternal PIH and neutropenia on the first postnatal day. Results: Infants born to mothers with PIH showed an increased incidence of neutropenia on the first postnatal day (47.4%), cesarean delivery, and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When the infants born to mothers with PIH showed neutropenia on the first postnatal day, their incidence of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 was increased (P=0.031); however, the difference was not found to be significant through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 all the VLBW infants, neutropenia on the first postnatal day was correlated with the development of RDS. The incidence of the other perinatal diseases involving sepsis and mortality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neutropenia in infants born to mothers with PIH. Conclusion: In VLBW infants born to mothers with PIH, the incidence of neutropenia on the first postnatal day was increased and it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development of perinatal diseases involving RDS, sepsis, and mortality.

Implementation of the Feed and Swaddle Technique as a Non-Pharmacological Strategy to Conduct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 Yoo, Yeong Myong;Park, Ji Eun;Park, Moon Sung;Lee, Jang Hoon
    • Neonatal Medicine
    • /
    • 제28권3호
    • /
    • pp.108-115
    • /
    • 2021
  • Purpose: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is a useful tool for evaluating brain injury and maturation in preterm infants and often requires sedation to acquire images of sufficient quality. Infant sedation is often associated with adverse events, despite extreme precautions. In this study, the swaddling technique was investigated as an alternative non-pharmacological strategy to obtain brain MRIs of sufficient quality. Methods: We applied the feed and swaddle technique during routine brain MRI as a quality improvement project and compared its morbidity with that of sedation in a historic age-matched group. Seventy-nine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of Ajou University Hospital (Suwon, Korea) were enrolled. Thirty-two (40.5%) infants were in the feed and swaddling group, and 47 (59.5%) were in the sedation group. Results: The morbidity associated with the cardiopulmonary system (swaddling group vs. sedation group: 53.13% [n=17] vs. 63.83% [n=30], P=0.723) and central nervous system (40.63% [n=13] vs. 29.79% [n=14], P=0.217)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The MRI failure rat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swaddling group vs. sedation group: 12.5% [n=4] vs. 4.3% [n=2], P=0.174). The MRI scanning time was longer in the swaddling group than in the sedation group (76.5±20.3 minutes vs. 61.5±13.6 minutes, P=0.001). Cardiopulmonary adverse events were significantly less common in the swaddling group than in the sedation group (3.13% [n=1] vs. 34.04% [n=16], P=0.002). Conclusion: The success rate of MRI was comparable between the swaddling technique and sedation. Furthermore, despite the drawback of prolonged scan time, cardiopulmonary adverse events are fewer with swaddling than with sedative agents. Therefore, swaddling can be an alternative to sedation or anesthesia when performing neonatal MRI scans.

Temporary Surgical Management of Intraventricular Hemorrhage in Premature Infants

  • Eun-Kyung Park;Ja-Yoon Kim;Dong-Seok Kim;Kyu-Won Shim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6권3호
    • /
    • pp.274-280
    • /
    • 2023
  • Post-hemorrhagic hydrocephalus (PHH) in preterm infant is common, life-threatening and the main cause of bad developmental outcomes. Ventriculoperitoneal (VP) shunt is used as the ultimate treatment for PHH. Low birth weight and low gestational age are the combination of worse prognostic factors while the single most important prognostic factor of VP shunting is age. Aggressive and early intervention have better effect in intraventricular hemorrhage and intracranial pressures control. It reduces infection rate and brain damage resulted in delayed shunt insertion. It is extremely important to let PHH infants get older and gain weight to have internal organs to be matured before undergoing VP shunt. As premature infants undergo shunt after further growth, shunt-related complications would be reduced. So temporary surgical intervention is critical for PHH infants to have them enough time until permanently shunted.

극소 저체중 출생아의 자궁 외 성장 지연 (Ex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 김은선;손진아;이은희;최은진;이현주;이진아;최창원;김이경;김한석;김병일;최중환
    • Neonatal Medicine
    • /
    • 제17권1호
    • /
    • pp.53-63
    • /
    • 2010
  • 목 적 : 극소 저체중 출생아(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VLBWIs)의 자궁 외 성장지연(ex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EUGR)은 NICU에서 중요한 문제로 제기되고 있고, 향후 성장과 뇌신경발달 이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단일 기관에서의 NICU에서 EUGR의 빈도와 위험요인들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교정이 가능한 요인들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5년 11월부터 2009년 4월까지 만 3년 6개월간 서울대학교 병원에서 출생하여 서울대학교 NICU에 입원하였던 출생 체중 1,500 g 미만이면서 출생 시재태 주령이 32주 이하인 VLBWIs의 의무기록지를 후향적인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퇴원시의 체중이 그 시점의 자궁 내 재태 주령에 해당하는 체중에 비해 10백분위 수 미만일 때 EUGR로 정의하였다. 결 과:전체 대상 환아 중 EUGR은 67% (111/166)였고, EUGR과 관련된 요인들을 다변량 분석을 하였을 때 SGA여부가 EUGR의 가장 큰 위험요소였고(OR 9.9, P=0.000), 출생 체중과 생후 첫 28일까지 kg당 하루평균 체중 증가가 적은 것도 EUGR의 독립적인 위험요소였다(P=0.034, P=0.003). SGA가 아닌 환아들의 56% (64/114)에서 EUGR이 되었기 때문에 non-SGA 그룹에서도 EUGR의 예측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Non-SGA 그룹에서 적은 출생 체중과 호흡곤란증후군, 저혈압, 패혈증과 같은 질병 이환이 EUGR과 관련된 위험요인들이었고, 다변량 분석하였을 때, non-SGA 그룹에서 도 생후 첫 28일까지 kg당 하루 평균 체중 증가가 적은 것이 독립적인 EUGR의 위험요인이었다(P=0.001). 결 론:극소 저체중아에서 EUGR의 유병률은 높았고, SGA 여부가 EUGR의 가장 중요한 위험 요소였다. Non-SGA 환아들의 반 이상에서도 EUGR이 발생하였고, 생후 첫 28일간 kg당 하루 평균 체중 증가가 적은 것이 중요한 예측 요인이어서 생후 초반에 적절한 성장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이후에 따라잡기 성장이 힘든 것을 알 수 있었다. 극소 저체중아의 생후 초반기는 임상적으로 불안정한 시기여서 영양 공급과 성장의 문제가 뒷전에 놓일 수 있지만, EUGR의 발생과 관련하여 초기 영양 공급의 적절성에 대한 모니터 및 교정이 좀 더 적극적으로 필요하다.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경피적 산소포화도의 적정 범위 (The Optimal Pulse Oxygen Saturation in Very Low Birth Weight or Very Preterm Infants)

  • 유선영;강혜진;김민정;장미영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2호
    • /
    • pp.320-327
    • /
    • 2011
  • 목적: 조산아는 산화 방지 시스템이 미성숙하여 과산소증 및 저산소증에 노출되면 이차적으로 중추 신경계, 호흡계, 혈액계 등 다른 체내 기관에 손상이 올 수 있다. 저자들은 1,500 g 미만 또는 32주 미만의 조산아에서 동맥혈 산소 분압을 50-70mmHg근처로 유지하기 위하여 경피적 산소 포화도를 90-94%로 유지하여 과산소증 및 저산소증을 회피하는 전략 하에 치료하였던 군(T)과 고식적인 경피적 산소 포화도 감시를 하였던 군(C)에서 사망률, 입원 기간 및 이환율에 대해 비교하였다. 방법: 충남대학교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하였던 신생아 중 1,500 g 미만 또는 32주 미만의 조산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2008년 8월부터 2010년 7월까지 경피적 산소포화도를 90-94%으로 유지하였던 조산아들을 T군으로 하였고 2007년 1월에서 2008년 8월까지 경피적 산소 포화도 감시의 지침 없이 고식적인 관리를 하였던 조산아들을 C군으로 하였다. 양 군 간에 입원 중 사망률, 입원기간, 만성폐질환으로 이행 및 치료 여부, 괴사성 장염, 미숙아 망막증, 뇌실 내 출혈, 동맥관 개존증 등을 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결과: 양 군의 기본 특징은 성별 외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사망률은 T군에서 C 군 보다 적은 경향은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5.3% vs. 16.7%, P=0.127). 두 군간에 입원기간, 만성폐질환, 산소 사용 기간과 괴사성 장염의 빈도는 차이가 없었다. ICROP 제 3기 이상의 중증 미숙아 망막증은 T군이 C군 보다 적은 경향을 보였으며(2.6% vs. 10%, P=0.203), 뇌실 내 출혈의 발생 빈도는 T군에서 C군 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18.4% vs. 40.0%, P=0.051). 치료가 필요하였던 동맥관 개존증의 빈도는 양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결론: 극소 저체중 출생아 또는 극소 조산아에서 경피적 산소포화도를 90-94%으로 유지하는 전략은 과산소증 및 잠재적인 저산소증에의 노출을 최소화함으로서 합병증의 증가 없이 단기적 예후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Effect of Prenatal Antibiotic Exposure on Neonatal Outcomes of Preterm Infants

  • Kim, Hyunjoo;Choe, Young June;Cho, Hannah;Heo, Ju Sun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8권3호
    • /
    • pp.149-159
    • /
    • 2021
  • 목적: 산모의 산전 항생제 사용은 여러가지 면에서 태아 및 신생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극소 미숙아 또는 극소 저체중출생아에서 산모의 산전 항생제 투여 기간이 신생아 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방법: 2015년 9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에서 출생한 재태주수 32주 미만 또는 출생 체중 1,500 gram 미만인 신생아 및 산모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산모의 산전 항생제 투여 기간에 따라 미투여 군, 7일 이하 군, 7일 초과 군의 세 군으로 나누어 산모의 특성, 환아의 특성 및 합병증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총 145명 중 93명의 환아가 산전 항생제에 노출되었으며, 그 중 35명(37.6%)는 7일 이하 군, 58명(62.4%)는 7일 초과 군이었다. 7일 초과 군은 미투여 군에 비해 재태 연령에 따른 출생체중의 Z-score가 교란변수 보정 후에도 유의미하게 높았다(beta, 0.258; standard error, 0.149; P<0.001).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분석에서 7일 초과 군은 사망(adjusted odds ratio [aOR], 8.926; 95% confidence interval [CI], 1.482-53.775), 그리고 사망, 괴사성 장염, 후기 패혈증의 복합 평가 결과와 연관이 있었다(aOR, 2.375; 95% CI, 1.027-5.492). 결론: 산모의 장기간 산전 항생제 투여는, 극소 미숙아 또는 극소 저체중출생아에서 재태 연령에 따른 출생체중의 Z score을 증가시키며, 사망 뿐 아니라 사망, 괴사성 장염, 후기 패혈증의 복합 평가 결과의 위험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미숙아의 효과적인 조기 정맥영양 (Early Effective Parenteral Nutrition for Preterm Infants)

  • 이병섭
    • Neonatal Medicine
    • /
    • 제16권2호
    • /
    • pp.110-120
    • /
    • 2009
  • Mimicking fetal nutrition is the goal of early paretneral nutrition (PN)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however the limited metabolic capacity of immature organs raises concern about the toxicity of metabolites to the developing brain. Starting parenteral amino acids from the first day of life, with a rate of 1.0 to 1.5 g/kg/day, is generally recommended to prevent endogenous protein breakdown by maintaining a positive nitrogen balance. A greater of amino acid infusion rate in the range of the fetal transfer rate (3.5-4.0 g/kg/day) is well tolerated during the early days after birth in VLBWI, however the influence on growth and long-term neurodevelopmental outcome remains unknown. Limited data are available from controlled trials regarding the effects of early supplementation with lipid emulsions on neonatal morbidity. Considering the role of long-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the neurodevelopment, the choice of an optimal lipid emulsion should be based on the quality as well as the quantity of the lipid contents. Little is known about the clinical benefit of higher rates of glucose infusion by permitting high serum glucose level or co-administration with insulin.

Transfusion practice in neonates

  • Kim, Do-Hyu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1권9호
    • /
    • pp.265-270
    • /
    • 2018
  • Neonates, especially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are among the groups of patients undergoing transfusion frequently. Since they are exposed to higher specific transfusion risks compared to the patients of other age groups, there are many special aspects that must be considered for transfusion therapy in neonates. The transfusion risks in neonates include adverse outcomes specific for preterm infants as well as increased metabolic, immunologic, and infectious complications. To reduce the risks of transfusion-transmitted cytomegalovirus infection and transfusion-associated graft-versus-host disease, leukoreduced and irradiated cellular blood products should be used for all neonates. This review summarizes the risks of neonatal transfusion therapy, specific methods to reduce risk, and current trends and practices of red blood cell and platelet transfusions in neonates, to facilitate decision-making for neonatal transfusion.

초극소저출생체중아에서 출생체중별 발관시기 및 첫 발관 시의 성공/실패 예측인자 (Extubation Time by Birth Weight and the Predictors for Success/Failure at the First Extubation in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 최창원;박성은;전가원;유은정;황종희;장윤실;박원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5호
    • /
    • pp.488-494
    • /
    • 2005
  • 목 적 : 본 연구는 초극소저출생체중아에서 출생체중에 따른 발관 양상을 알아보고 첫 발관에서의 성공/실패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들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0년 1월부터 2004년 6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하였던 113명의 출생체중 1,000 g 미만의 초극소저출생체중아들을 대상으로, 첫 발관 성공군과 실패군 간에 첫 발관 성공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는 인자들의 차이를 비교하여 보았다. 결 과 : 출생체중이 작아질수록 발관 성공일은 유의하게 지연되었다 : 900-999 g에서 $16{\pm}3$일; 800-899 g에서 $20{\pm}3$일; 700-799 g에서 $35{\pm}4$일; 600-699 g에서 $37{\pm}9$일; 599 g 이하에서 $49{\pm}12$일. 113명의 대상환아들 중 25명(22%)이 첫 발관에 실패하였다. 경계역의 유의성으로 조기양막파수는 발관 성공과 관련이 있었고, 공기 누출 증후군은 발관 실패와 관련이 있었다. 첫 발관 시도 시의 출생 후 나이, 교정연령, 체중, 영양상태와 인공환기기 설정은 발관 성공/실패 여부와 관련이 없었다. 첫 발관에 실패한 환아들은 첫 발관에 성공한 환아들에 비해 발관 성공일이 유의하게 지연되었고, 후발 패혈증의 빈도와 사망률도 유의하게 높았다. 결 론 : 저자들은 첫 발관 성공/실패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들을 찾지 못하였다. 첫 발관에 실패한 경우에는 후발 패혈증과 사망의 위험이 증가하였다. 향후 발관 성공/실패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들을 찾아내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