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nce Experience

검색결과 497건 처리시간 0.021초

메타버스 특성요인과 학습 몰입 및 학습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게더타운을 대상으로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Metaverse Characteristic Factors, Learning Immers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With Gather Town)

  • 김나랑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1권1호
    • /
    • pp.219-238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interest, interaction level, presence,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metaverse, learning immers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which are learning factors. Design/methodology/approach A questionnaire survey technique was us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2 to December 5, 2021, with students with experience in non-face-to-face classes using Gather Town and a total of 114 copies of the questionnaire excluding those with insincere answer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SPSS Win ver.23.0 was used for basic statistical analysis, and AMOS 22.0 was used for the establishment and analysis of a structural equation model. Findings According to the study findings, interest and interaction levels had effects on learning immersion and learning presence, self-efficacy on learning presence, and learning immersion and learning presence on learning satisfac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to find variables for improving learning immersion by conducting classes based on metaverse.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interest and interaction, which are the biggest characteristics of metaverse, sustain learning participation and immersion and increase presence thereby enhancing learning satisfaction so that the possibilities of metaverse as a next generation education platform passing the limit of existing real time video platforms can be peeped.

몰입형 가상현실에서의 협업 기반 다수 사용자 상호작용의 현존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sence of Collaboration based Multi-user Interaction in Immersive Virtual Reality)

  • 박성준;박원준;허하영;김진모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11-20
    • /
    • 2018
  • 본 연구는 몰입형 가상현실에 존재하는 다수의 HMD 사용자들에게 보다 향상된 현존감과 만족스러운 경험을 제공하기 위하여 협업기반 다수 사용자 상호작용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다수 사용자 상호작용의 핵심은 가상현실 환경에 존재하는 HMD 사용자가 각자 구분된 역할과 행동을 기반으로 소통과 협업을 통해 상호작용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가상협업환경에 존재하는 사용자 각각은 손을 활용하여 가상 환경 또는 가상의 객체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기본 구조를 바탕으로 사용자간 소통과 협업을 통해 공동의 목표를 수행해 갈 수 있는 방식(동기화, 의사소통)을 함께 설계한다. 그런 다음 제안하는 다수 사용자 상호작용을 통해 향상된 현존감과 만족하는 경험을 제공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소통과 협업을 고려한 아케이드 장르의 가상현실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한다. 그리고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실험을 진행한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제안한 몰입형 가상협업환경에서의 상호작용이 사용자 모두에게 만족하는 현존감과 경험을 제공함을 확인한다.

비대칭 가상현실에서의 현존감을 위한 HMD 사용자와 Non-HMD 사용자간 몰입형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mersive Interaction Between HMD User and Non-HMD User for Presence of Asymmetric Virtual Reality)

  • 이지원;김민규;김진모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1-10
    • /
    • 2018
  • 본 연구는 비대칭 가상현실 환경에 존재하는 HMD 사용자와 Non-HMD 사용자 모두에게 향상된 현존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체험 환경에 최적화된 몰입형 상호작용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몰입형 상호작용의 핵심은 HMD 사용자와 Non-HMD 사용자 사이의 비대칭 환경의 차이를 구분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상호작용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 각각에게 주어지는 비대칭 가상현실 환경에서 향상된 몰입을 제공하여 현존감을 높이기 위하여 HMD 사용자에게는 공간의 몰입을 향상시키는 걷기 상호작용을, Non-HMD 사용자에게는 직접적인 조작을 통해 상황을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관리함으로써 몰입을 향상시키는 손 기반 인터페이스를 설계한다. 마지막으로 몰입형 상호작용을 통해 모든 사용자가 향상된 현존감을 제공받으면서 동시에 각각의 체험에 환경에 특화된 경험을 하였음을 설문실험을 통해 검증한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하여 제안한 상호작용이 비대칭 가상현실에서 Non-HMD 사용자도 보조자가 아닌 참가자로써 HMD 사용자와 함께 몰입할 수 있음을 확인한다.

아동 소비자의 소비생활문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umption Problem for Child Consumer)

  • 송미애;이승신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81-97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hildren's consumption level and related factors in an effort to lay the foundation for teaching children to lead rational consumer life and for improving consumer welfare, as it's assumed in this study that children's consumption problems would affect themselves throughout their lives. This study specifically intended to find out (1) child consumer problems, (2) how children's consumption problems were affected by their demographic variables, (3) whether consumer-education experience made any differences to their consumption problems at school, home and society, and (4) what types of demographic and consumer-education variables exercised influence on consumption problem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 investigated were found to have middle level of consumption problems. Purchasing goods scored the lowest, and using goods scored the highest among consumption problems. Second, it turned out that boys suffered more consumption problems than girls. The reason seemed that as boys generally have lower experience in consumption attitude. Third, as to the correlation of the children's consumption problems to their consumer-education experience, money managemen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or absence of experience to learn at school how to manage and save allowances. Also, the experience of consumer education by parents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children's consumer consciousness and attitude varied with their experience to receive consumer education from mass media.

부사관학과 학생들의 소방안전교육 경험과 생활안전의식에 관한 연구 (Research for the Experience of Fire Fighting Aafety Education and Living Safety Consciousness of Department of Noncommissioned Officer in College Students)

  • 이원주;권신영;강순형;나윤채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59-167
    • /
    • 2015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wareness survey on the experience of fire fighting safety education and living safety consciousness of colleg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noncommissioned officer. Additionally, making provision of basic references and the effective fire fighting safety education is another important purpose of this study. In order to evaluate the awareness, the survey consist of 43 queries based on 6 queries for general characters, 9 queries for experiences of fire fighting safety education and 30 queries for living safety consciousness. The collected data from survey was analyzed using SPSS 20.0 win program. The interrelationship for general characters was confirmed using analysis of frequency, percentage, independent T-tset, ANONVA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the experience of fire fighting safety education and living safety consciousness of students from the combatant branch and ordnance corps are higher than those students from quartermaster corps. This may be attributed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safety relevant courses on a curriculum. Therefore, the presence of safety courses on a curriculum should be one of important points for improving the experience of fire fighting safety education and living safety consciousness of these college students.

체감형 헬스게임에서 사용자경험과 자기효능감이 게임 만족도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 (A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 Experience, Self-efficacy and Game Performance in Healthcare Serious Gam)

  • 노기영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5-29
    • /
    • 2012
  • 동작인식 인터페이스를 적용한 헬스게임이 대중화에 성공하면서 체감형 헬스게임의 성과를 결정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이론 및 실용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는 체감형 헬스게임의 성과를 예측하기 위해 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실험연구와 설문조사를 결합한 플레이테스트 방법을 이용하여 몰입, 실재감과 사회인지 요인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첫째 사회인지요인인 자기효능감은 헬스게임의 기능적 만족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몰입경험은 가설에서 설정된 방향대로 기능적 만족도와 오락적 만족 모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로 실재감경험은 헬스게임의 기능적 만족도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오락적 만족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로 기능적 만족도는 오락적 만족도와 미래 이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오락적 만족도 역시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존의 디지털게임의 사용자경험과 자기효능감이 게임성과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이론적 명제들이 체감형 헬스게임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함으로써 개념과 이론의 확장성에 기여하고 있다.

메타버스 체험경제 요인과 광고 수용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averse Experience Economy Factors and Advertisement Acceptance Intention)

  • 이상호;김태규;조광문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99-109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버스를 활용한 체험경제 요인이 신기술을 반영한 광고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와 J도에 소재하며 메타버스 경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설문조사는 2022년 8월 1일부터 9월 10일까지 비대면으로 150명이 참여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3단계 매개회귀분석으로 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메타버스 체험이 광고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관계적 체험, 교육적 체험, 일탈적 체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메타버스의 관계적 체험과 교육적 체험은 메타버스 유용성을 부분매개로 하여 광고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메타버스의 관계적 체험과 교육적 체험은 메타버스 현존감을 부분매개로 하여 광고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메타버스의 일탈적 체험은 메타버스 현존감을 완전매개로 하여 광고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메타버스의 일탈적 체험은 메타버스 사용용이성을 완전매개로 하여 광고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메타버스의 다양한 플랫폼을 활용한 광고 시장에서 새로운 플랫폼 구축에 기여하길 기대한다.

Students' Online Fashion Studio Class Experience and Factors Affecting Their Class Satisfaction

  • Lee, Jungmin;Lee, MiYoung
    • 패션비즈니스
    • /
    • 제24권6호
    • /
    • pp.135-147
    • /
    • 2020
  • This study explored students' online fashion studio class experiences, and investigated the factors affecting their class satisfaction. An online survey of college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online studio classes within apparel and fashion-related departments during the spring of 2020 was conducted in June 2020. Responses from a total of 213 participants were included in the final data. Respondents rated lecture clips as the most useful, followed by teacher demonstration and feedback, PowerPoint (PPT) supplements, and Q&As. Frequently mentioned areas of improvement were online platform stability and video quality. Many respondents also stated that more streamlined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channels, immediate and meticulous teacher feedback, the adoption of course contents developed specifically for an online environment, and provisions for equipment usage would be desirable. Student satisfaction of an online fashion design studio clas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eaching presence, social presence, online learning system stability, perceived usefulness of teacher's demonstration, and affective response toward COVID-19. Students satisfaction of an online garment construction studio clas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eaching and social presence, online learning system stability, and perceived usefulness of teacher's demonstr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we recommend developing teaching contents and methods that allow students to feel included in class and establish an online system with various functions to enhance the sense of social connection that can enable two-way communication.

수정된 라이브커머스 스케이프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유용성과 플로우의 매개역할 (Effect of Modified Livecommercescapes on Repurchase Intention: Mediating Roles of Perceived Usefulness and Flow)

  • 김상민;황재명;김영원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15권2호
    • /
    • pp.17-37
    • /
    • 2024
  • Purpose: This study used the SOR model to analyze the impact of live commerce's modified livecommercescape factors (interactivity, presence, playfulness, convenience, and broadcaster characteristics) on repurchase intention through usefulness and flow.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1,149 respondents with live commerce purchase experience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SPSS 25.0 and SmartPLS 4.0 statistical package programs. Results: Presence and playfulness were found to have the highest influence on flow and usefulness. In particular, Presence and broadcaster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be the factors tha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flow. Playfulness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impact on usefulness, and two-way communication was found to have the lowest influence among the five servicescape factors. Broadcaster characteristics also affect flow but not usefulness, and convenience only affects usefulness and does not affect flow. Flow shows results that affect usefulness and repurchase intention. Conclusion: Our findings provide a richer understanding of causal relationships within the SOR framework, demonstrating that broadcaster characteristics, two-way communication, presence, and playfulness can influence flow, perceived usefulness, and, consequently,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HMD(Head Mounted Display) 가상현실 광고가 현존감과 인게이지먼트 수준에 따라 태도와 기억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Presence and Engagement in HMD(Head Mounted Display) Virtual Reality Advertising on Attitude and Memory)

  • 한광석;조재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39-146
    • /
    • 2019
  • 본 연구는 HMD 가상현실 광고를 경험한 사용자가 현존감(인지적, 감성적, 미디어 현존감)과 인게이지먼트 수준에 따라 광고태도와 기억 효과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기억 효과의 경우 사용자가 광고를 통해 기억 하는 정보를 '개별적인 속성 기억정보(ARM: Attribute-Related Memory)'와 '종합적인 평가 기억정보(GRM: Global-Related Memory)'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HMD 기반 가상현실 광고에 대한 태도는 현존감의 유형에 상관없이 모두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였다. 둘째, 가상현실 광고에서는 인게이지먼트 수준이 낮으면 제품 속성 중심의 정보들을 기억하는 ARM이 증가하나 반대로 인게이지먼트 수준이 높으면 제품에 대한 태도 중심의 평가적 정보에 대한 기억인 GRM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지적 현존감과 미디어 현존감은 모두 인게이지먼트 수준이 낮으면 ARM이 GRM보다 많이 기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의 일반화를 위해 피험자 수를 늘리고 가외 변인을 줄일 수 있는 실험물 조작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