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mature Infants

검색결과 362건 처리시간 0.032초

산모의 모유를 통하여 감염된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의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 (Postnatal cytomegalovirus infection in an extremely premature infant transmitted via breast milk: A case report)

  • 김지혜;정은진;박현경;문수지;최수미;오성희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9호
    • /
    • pp.1053-1058
    • /
    • 2009
  • 거대세포바이러스(CMV)는 신생아에서 가장 흔한 선천성 감염의 원인 중 하나이며, 모든 정상 출산아 중 약 0.3-2.4%에서 감염되어 있다. 혈청에서 거대세포바이러스 양성인 모체 중 40-96%에서 모유를 통한 바이러스의 배출이 증명되었으며, 거대세포바이러스에 감염된 모유를 통한 감염은 전체 영아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의 약 1/3을 차지한다. 본 증례에서는 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모유를 통하여 발생한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을 기술하였다. 환아는 생후 7일 경부터 모유 수유를 하였으며, 심한 혈소판감소증, 빈혈, 그리고 패혈증과 유사한 임상 양상에 대하여 반복되는 혈소판 수혈, 적혈구 수혈, 면역 글로불린 요법을 시행받았다.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은 생후 2개월 경 혈청 CMV IgM 양성 및 소변 CMV 배양 검사 양성 소견을 통하여 진단하였다. 출생 당시 혈청 CMV IgM 및 소변 CMV 배양 검사가 음성이었으므로 선천성 감염은 배제할 수 있었다. 환아의 혈청과 모유의 핵산 배열 순서 분석을 통하여 동일한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임을 증명하였다. 저자들은 국내에서 최초로 nucleotide sequencing 방법을 이용, 모유 수유를 통한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이 발생한 극소 저체중 출생아의 예를 보고하는 바이다.

신생아집중치료실 입원아의 혈청 IGF-1과 성장 및 질병 사이의 관련성 (The association between serum IGF-1 and neonatal growth and disease in a NICU)

  • 김정옥;임해리;김행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2호
    • /
    • pp.176-180
    • /
    • 2009
  • 목 적 : 신생아의 IGF-1 정상치를 설정하고 신생아 성장 및 질병상태와 IGF-1치의 연관성을 조사하여 신생아 성장 및 질병 경과를 추정하는 지표로 사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7년 3월부터 7월까지 5개월 동안 경북대학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환아들을 대상으로 입원 시 1회 채혈하여 RIA법으로 IGF-1를 측정하였다. 아울러 환아들의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출생 시 체중, 재태 주령, 분만 방법, 동반 질환 등을 조사하였다. 결 과 : 출생 직후 채혈이 가능했던 만삭아 22명과 미숙아 30명의 혈중 IGF-1은 각각 $53.4{\pm}40.0$, $31.6{\pm}27.3$ ng/mL로 미숙아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0.05). 건강한 만삭아와 질환을 동반한 만삭아의 IGF-1은 각각 $64.1{\pm}39.5$, $46.0{\pm}40.2$ ng/mL로 질병 동반 시 유의하게 낮았다(P<0.05). 건강한 미숙아와 질환 동반 미숙아의 IGF-1은 각각 $33.2{\pm}23.3$, $30.6{\pm}30.4$ ng/mL로 두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이들 모두 건강한 만삭아에 비해 의의 있게 낮았다(P<0.05). 출생 8일후 이후 입원, 채혈한 신생아는 27명으로 이들 중 입원 시 체중이 출생체중에 비해 감소한 환아의 IGF-1은 $13.3{\pm}19.9$ ng/mL, 입원 시 체중이 출생체중에 비해 증가한 환아의 IGF-1은 $70.8{\pm}36.2$ ng/mL로 체중 감소군의 IGF-1이 유의하게 낮았다(P<0.001). 성별 및 분만법에 따른 IGF-1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 미숙아는 만삭아에 비해 출생 당일의 IGF-1치가 낮았으며, 출생 후 체중이 감소한 만삭아의 IGF-1은 체중이 증가한 만삭아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이러한 소견으로 보아 신생아의 혈청 IGF-1은 재태 주령, 출생 후 체중 증가와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Influence of a Breastfeeding Coaching Program on the Breastfeeding Rates and Neonatal Morbidity in Late Preterm Infants

  • Jang, Gun Ja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6권3호
    • /
    • pp.376-384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a breastfeeding coaching program (BCP) for mothers of late preterm infants (LPIs) on the breastfeeding rate and neonatal morbidity within 1 month after discharge. Methods: This was a non-randomized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 time series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40 LPIs and their mothers who were hospitalized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at a university hospital. Nineteen LPI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and 21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mothers of the LPI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BCP once on the discharge day and then once a week for 1 month. Neonatal morbidity was defined as an outpatient department or emergency room visit due to an LPI's health problem. Results: The breastfeeding rate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control group at the fourth week after discharge (χ2=7.17, p=.028). Five and two LPIs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respectively, visited a hospital due to neonatal jaundice. Neonatal morbid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χ2=1.95, p=.164). Conclusion: The BCP was useful for improving the breastfeeding rates of LPIs and may have potential to reduce neonatal morbidity.

2 mm 흉강경을 이용한 동맥관 개존증 폐쇄술 -1례보고- (PDA Clipping by Using 2mm Thoracoscope)

  • 문승철;양진영;구원모;이건;이헌재;임창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1호
    • /
    • pp.85-87
    • /
    • 2000
  • Patent ductus arteriosus(PDA) is a common congenital heart disease encountered in premature neonates infants and children. Patent ductus arteriosus was the first surgically managed congenital heart disease,. Classic surgical interruption of patent ducturs arteriosus was partially replaced by a transcatheter endovascular closure, After a 5-7 mm video-assisted thoracoscopic interruption of the patent ductus arteriosus first applied in 1991, this minimally invasive technique came to be used in many centers, Video-assisted thoracoscopic interruption of the patent ductus arteriosus is feasible in low-weight infants whereas transcatheter endovascular closure of the ductus is usually not possible. We experienced successful outcome for the treatment of patent ductus arteriosus with 2 mm video-assisted thoracoscopic titanium clipping, We believed that this technique is a simple safe and rapid method for closure of the patent arteriosus.

  • PDF

Evidence for adverse effect of perinatal glucocorticoid use on the developing brain

  • Chang, Young Pyo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7권3호
    • /
    • pp.101-109
    • /
    • 2014
  • The use of glucocorticoids (GCs) in the perinatal period is suspected of being associated with adverse effects on long-term neurodevelopmental outcomes for preterm infants. Repeated administration of antenatal GCs to mothers at risk of preterm birth may adversely affect fetal growth and head circumference. Fetal exposure to excess GCs during critical periods of brain development may profoundly modify the limbic system (primarily the hippocampus), resulting in long-term effects on cognition, behavior, memory, co-ordination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and regulation of the endocrine system later in adult life. Postnatal GC treatment for chronic lung disease in premature infants, particularly involving the use of dexamethasone, has been shown to induce neurodevelopmental impairment and increases the risk of cerebral palsy. In contrast to studies involving postnatal dexamethasone, long-term follow-up studies for hydrocortisone therapy have not revealed adverse effects on neurodevelopmental outcomes. In experimental studies on animals, GCs has been shown to impair neurogenesis, and induce neuronal apoptosis in the immature brains of newborn animals. A recent study has demonstrated that dexamethasone-induced hypomyelination may result from the apoptotic degeneration of oligodendrocyte progenitors in the immature brain. Thus, based on clinical and experimental studies, there is enough evidence to advice caution regarding the use of GCs in the perinatal period; and moreover, the potential long-term effects of GCs on brain development need to be determined.

Effects of Oxygen Saturation Fluctuations on Retinopathy in Infants Younger than 30 Weeks' Gestational Age

  • Jeon, Chae Woo;Kim, Ji Su;Park, Bumhee;Lee, Jang Hoon
    • Neonatal Medicine
    • /
    • 제28권1호
    • /
    • pp.7-13
    • /
    • 2021
  • Purpose: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and effects of fluctuations in oxygen saturation on the occurrence and severity of retinopathy of prematurity (ROP). Methods: From January 1, 2013 to January 31, 2020, 260 patients hospitalized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of Ajou University Hospital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Results: Sixty-six patients (25%) were diagnosed with ROP; of them 39 required treatment. In the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of ROP severity, the odds ratio (OR) of gestational age was 0.32 (95% confidence interval [CI], 0.22 to 0.47; P<0.0001). The OR of saturation of peripheral oxygen (SpO2) fluctuations at the 4th week after birth was 1.02 (95% CI, 1.02 to 1.12; P=0.041). Conclusion: SpO2 fluctuations in premature infants younger than 30 weeks' gestational age affects ROP severity, especially at the 4th week of life.

선천성 부신 과형성증(21-hydroxylase 결핍)의 신생아 선별 검사 후 진단 알고리즘 (A Diagnostic Algorithm after Newborn Screening for 21-hydroxylase Deficiency)

  • 조성윤;고정민;이경아
    •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70-78
    • /
    • 2016
  • 선천성 부신 과형성증 중 가장 흔한 21-hydroxy-lase deficiency (21-OHD)는 신생아 선별검사에서 17-hydroxyprogesterone (17-OHP)의 증가로 조기 진단이 가능하다. 17-OHP가 애매하게 증가되는 경우에는 ACTH 자극 검사가 필요하며, 이 검사는 nonclassical (NC형) 21-OHD 진단의 gold standard이다. 전형적인 임상 증상이 없는 경우, 예를 들어 남성화가 심하지 않은 여아, 경한 simple virilizing (SV)형 남아나 신생아 선별 검사에서 발견되지 않을 수 있는 NC형 환자의 경우, 분자유전학적 검사가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이는 예후 에측 및 유전 상담에도 도움이 된다. 미숙아와 저체중 출생아의 경우는 17-OHP가 위양성을 보이기 쉬우므로 출생 주수나 출생 체중에 따른 cutoff 값 설정이 필요하다. 높은 위양성률을 극복하기 위해 기존 RIA방법에 비해 최근 LC-MS/MS가 민감도와 특이도를 높이는 검사로 주목 받고 있다. 21-OHD 신생아 선별 검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SW형 남아를 조기에 발견하고, 여아에서 성별 결정을 조기에 올바르게 하고, NC형 환자를 찾아내고, 미숙아/저체중 출생아/아픈 신생아에서 위양성률을 낮추어서 불필요한 재검 및 경제적/심리적 부담을 최소화 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21-OHD가 임상적으로 확실하게 의심되는 경우에는 확진 검사에 앞서 적절한 치료가 조기에 시작되어야 한다. 저자들은 본 종설에서 21-OHD의 신생아 선별 검사 후 진단 알고리즘에 대해 최신 문헌들에 근거하여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바이다.

  • PDF

Longitudinal Study of Iron Concentration in Korean Preterm Human Milk

  • Lim, Gi-Na;Koo, Mi-Sung;Kim, Ellen Ai-Rhan;Min, Won-Ki;Yoon, Sung-Chul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1호
    • /
    • pp.104-110
    • /
    • 2011
  • 목적: 미숙아에게 필요한 영양성분을 알기 위해서는 그들의 모유 성분을 분석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저자들은 미숙아 모유의 장기적인 철분함량의 변화를 관찰하고 만삭아 모유와 비교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모유수유만 하는 미숙아에서 철분 보충의 필요성과 지침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재태연령 34주 미만이거나 출생체중 1,800 g 미만의 미숙아를 출산한 산모 103명으로부터 생후 1, 2, 4, 6, 8, 12주의 모유를 수집하였고, 만삭아의 모유는 24명의 산모로부터 생후 1주째에 수집하여 철분함량을 분석하였다. 결과: 생후 2주에서 8주 사이의 미숙아 모유내의 철분함량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36.3${\pm}$23.1~45.8${\pm}$26.0 $\mu$g/dL), 이는 생후 1주째의 미숙아모유 (23.1${\pm}$14.6 $\mu$g/dL)나 만삭아 모유(25.2${\pm}$7.55 $\mu$g/dL)의 철분함량보다는 유의하게 높았다. 교정나이로 만삭이 된 미숙아의 모유(42.2${\pm}$19.4 $\mu$g/dL)는 만삭아의 모유보다 유의하게 높은 철분함량을 나타내었다. 결론: 미숙아 모유의 철분함량은 생후 3개월까지 큰 차이가 없었으며, 이는 필요량보다 적어 모유수유만 할 경우 AAPCON(2004)에서 권유하는 대로 2 mg/kg/day의 철분을 보충하는 것이 좋겠다.

Fecal calprotectin concentration in neonatal necrotizing enterocolitis

  • Yoon, Jung Min;Park, Ju Yi;Ko, Kyung Ok;Lim, Jae Woo;Cheon, Eun Jeong;Kim, Hyo Jeo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7권8호
    • /
    • pp.351-356
    • /
    • 2014
  • Purpose: Among the many factors associated with acute intestinal mucosal infection, numerous studies have proposed the usefulness of fecal calprotecti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fecal calprotectin in the diagnosis of necrotizing enterocolitis (NEC). Methods: We collected 154 stool samples from 16 very low birth weight and premature newborns at the Konyang University Hospital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or neonatal nursery. The stool samples were collected using the Calprest device, and the fecal calprotectin level was measured with the $B\ddot{U}HLMANN$ Calprotecti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kit. Results: Fecal calprotectin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EC group than in the non-NEC group (P=0.02).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fecal calprotectin level and number of days after birth (P=0.00) in the gestational age <26 weeks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calprotectin level and number of days after birth (P=0.03) in the gestational age ${\geq}26$ weeks and <30 weeks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alprotectin levels according to the type and method of feeding between the NEC and non-NEC groups. Conclusion: Fecal calprotectin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premature infants with NEC. The fecal calprotectin test is a noninvasive, easy, and useful tool for the diagnosis of NEC.

산모(産母)의 B형 간염(肝炎) Virus 보유(保有)가 신생아(新生兒) 건강(健康)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s of Maternal HBs antigenemia on the Neonatal Health)

  • 박정한;윤성도;김창윤;이성관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7권1호
    • /
    • pp.47-55
    • /
    • 1984
  • 산모(産母)의 B형 간염(肝炎) virus감염에 관련되는 위험요소와 HBsAg 보유(保有)가 신생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개명대학교 동산의료원 산부인과에서 1982연(年) 2월(月) 1일(日)부터 동년(同年) 5월(月) 30일(日) 사이에 분만한 729명의 산모(産母)를 대상으로 혈청 HBsAg과 anti-HBs를 조사하였다. 산모(産母)의 HBsAg 양성율은 729명중 43명으로 5.9%, anti-HBs는 246명으로 33.7%의 양성율을 보여 전체적인 B형 간염(肝炎) 감염율은 39.6%였다. HBsAg 양성인 산모(産母) 43명과 음성 산모(産母) 210명을 무작위로 뽑아 면접 조사하여 비교한 결과 침술력이 HBsAg 보유(保有)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p<0.005) 침술을 통해 B형 간염(肝炎)이 상당히 전파되었을 가능성을 보였다. 또한 HBsAg 양성 산모(産母)가 음성 산모(産母)에 비해 생활수준이 일반적으로 낮아 B형 간염(肝炎) 감염에 환경적 요소가 관여한다는 설(設)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HBsAg 양성 산모(産母)에서 태어난 신생아 43명의 제대혈액에서는 한명도 HBsAg 양성 발견이 없었다. 43명의 신생아중 생후 3개월까지 추적 가능하였던 35명중 한명이, 그리고 6개월까지 추적 가능했던 32명중 한명이 HBsAg 양성 발현을 보였는데 이는 동일아(同一兒)였다. 대조군으로 본 조사에 응했던 HBsAg 음성 산모(産母)에서 태어난 신생아 20명을 3개월, 6개월 2차에 걸쳐 추적 검사한 결과 한명의 HBsAg 양성 발현을 볼 수 없어 한국을 비롯한 동남아의 B형 간염(肝炎)은 주산기(周産期) 감염이 주전파경로(主傳播經路)라는 설(說)과는 일치하지 않았다. 조산아 출산율은 HBsAg 양성 산모(産母)(27.9%)가 음성 산모(産母)(11.7%)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았다(p<0.05). 저체중아 출산율은 HBsAg 양성 산모(産母)가 23.3%로 HBsAg 음성 산모(産母)의 14.1%보다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 수준에는 미달하였다(p=0.16). 조기파막의 빈도는 HBsAg 양성 산모(産母)(25.5%)가 음성 산모(産母)(11.1%)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5). HBsAg 양성. 산모(産母)와 음성 산모(産母) 사이에 사산(死産)과 선친성 기형아 출산율에는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없었다. HBsAg 양성 산모(産母)가 음성 산모(産母)보다 높은 조기파막의 빈도와 조산아 출산율은 HBsAg 보유(保有) 그 자체에 기인하는 것인지 아니면 HBsAg 보유(保有) 산모(産母)의 낮은 생활수준에 기인한 것인지는 연구대상자 수가 적어 규명할 수 없었다.

  • PDF